심채경
![]() | |
---|---|
작가 정보
| |
출생 | 대한민국 |
국적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직업 | 천문학자, 작가 |
학력 | 경희대학교 우주과학과 학사 졸업, 동대학원 석사 졸업, 우주탐사학과 박사 졸업 |
주요 작품
| |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
심채경은 대한민국의 천문학자이다.
생애[편집]
2001년에 경희대학교 우주과학과에 입학한 후 천문학 전공으로 같은 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학술연구교수를 거쳐 2023년 현재는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학력[편집]
경력[편집]
- 2014년 ~ 2020년, 경희대학교 응용과학대학 우주과학과 박사후연구원 및 학술연구교수 역임
- 2020년 ~ ,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선임연구원
주요 저작[편집]
- 2021년 2월,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주요 공저[편집]
- 2021년 3월, 《질문이 답이 되는 순간》
- 2022년 4월, 《스페이스 오페라》
- 2023년 5월, 《일잘잘 : 일 잘하고 잘 사는 삶의 기술》
주요 역서[편집]
- 2021년 11월, 《우아한 우주》
방송[편집]
- 2022년 4월 3일, JTBC 《차이나는 클라스-질문 있습니다》 제236회 '우주시리즈 5부작 - 3부 우리 달 보러 가지 않을래' 편
- 2022년 12월 ~ 2023년 1월, tvN 《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인간 잡학사전》 (8회 출연)
기타[편집]
- 2021년 2월 26일, 팟캐스트 《과학하고 앉아있네》 시즌7 제1편 '대보름 특집! 네이처 선정 달과학자 심채경 박사'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심채경 석사학위 논문, 〈Atmospheric model of the Global Haze on Titan using high-resolution echelle spectra between 7100 and 9200Å : Titanian atmosphere's extinction coefficients and single scattering albedos retrieved from inversion radiative transfer program = 7100 and 9200Å 에서의 고분산 에셸 스펙트럼을 이용한 타이탄 연무 대기 모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년 2월
- ↑ 심채경 박사학위 논문, 〈타이탄 연무의 적외선 스펙트럼 특성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년 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