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시링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시링올[1]
Syringol
이름
우선명 (PIN)
2,6-dimethoxyphenol
별칭
syringol
2-hydroxy-1,3-dimethoxybenzene
pyrogallol 1,3-dimethyl ether
식별자
3D 모델 (JSmol)
1526871
ChEBI
ChEMBL
ChemSpider
ECHA InfoCard 100.001.856
EC 번호
  • 202-041-1
UNII
  • InChI=1S/C8H10O3/c1-10-6-4-3-5-7(11-2)8(6)9/h3-5,9H,1-2H3 예
    Key: KLIDCXVFHGNTTM-UHFFFAOYSA-N 예
  • InChI=1/C8H10O3/c1-10-6-4-3-5-7(11-2)8(6)9/h3-5,9H,1-2H3
    Key: KLIDCXVFHGNTTM-UHFFFAOYAG
  • O(c1cccc(OC)c1O)C
성질
C8H10O3
몰 질량 154.16 g/mol
겉보기 회색~밝은 갈색 고체
밀도 1.15857 g/cm3 (60 °C)[2]
녹는점 50–57 °C (122–135 °F; 323–330 K)
끓는점 262 °C (504 °F; 535 K) [2]
약간 용해
증기 압력 15.8 Pa (60 °C)[2]
위험[1]
인화점 140 °C (284 °F; 413 K)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예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시링올(영어: syringol)은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방향족 유기 화합물이다. 시링올은 피로갈롤다이메틸 에터이다.

자연적인 생성[편집]

과이어콜과 함께 시링올과 그 유도체는 시나필 알코올 단량체열분해로부터 유도되는 리그닌의 열분해의 특징적인 산물이다. 이처럼 시링올은 장작 연기의 중요한 성분이다.

용도[편집]

음식 준비[편집]

훈제 음식을 준비할 때 시링올은 연기가 자욱한 냄새를 담당하는 주요 화학 물질이며, 과이어콜은 주로 에 기여한다. 인공 액체 또는 고체 연기 향미료에는 화학 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평균적으로 해당 제품의 질량 기준으로 각각 13.73% 및 13.42%를 구성한다.[3]

화학 원료[편집]

목질 바이오매스에서 추출한 바이오 연료열분해 오일은 부산물로 시링올을 생성하도록 최적화되어 있으며, 잠재적으로 석유 유래 페놀에 대한 수요를 대체할 수 있다.[4] 예를 들어 연구에 따르면 시링올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합판용 방수 접착제페놀 폼알데하이드 수지의 대체 공급원료 역할을 할 수 있다.[5]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2,6-Dimethoxyphenol at Sigma-Aldrich
  2. Baird, Zachariah Steven; Uusi-Kyyny, Petri; Pokki, Juha-Pekka; Pedegert, Emilie; Alopaeus, Ville (2019년 11월 6일). “Vapor Pressures, Densities, and PC-SAFT Parameters for 11 Bio-compounds”. 《International Journal of Thermophysics》 40 (11): 102. doi:10.1007/s10765-019-2570-9. 
  3. Mrak, E. M., Chichester, C. O., & Schweigert (1984). 《Advances in Food Research, Volume 29》. London: Academic Press, Inc. 129–130쪽. ISBN 9780080567488. 
  4. Dinesh Mohan; Charles U. Pittman Jr.; Philip H. Steele (2006). “Pyrolysis of Wood/Biomass for Bio-oil: A Critical Review”. 《Energy & Fuels》 20 (3): 863. doi:10.1021/ef0502397. 
  5. Bridgwater, A.V.; Effendi A; Gerhauser H (2008). “Production of renewable phenolic resin by thermochemical conversion of biomass: A review”.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12 (8). doi:10.1016/j.rser.2007.04.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