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가락 두드리기 검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손가락 두드리기검사(finger tapping test,FTT) 또는 두드리기 비율(tapping rate)는 신경근 시스템의 무결성을 평가하고 운동 제어를 검사하기 위해 제공되는 심리 테스트중 하나이다. 손가락 두드리기 테스트(FTT)는 관성 및 세그먼트 간 상호 작용이 매우 작아서 운동에 대한 생체 역학적 영향이 감소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순수한 신경학적으로 구동되는 운동 과제로 평가될수있는 장점이 있다.[1] 손가락 두드리기에는 시간, 공간 진폭 및 주파수의 세 가지 중요한 기능이 포함한다.[2] 연구에 따르면 10 초 간격 당 평균 탭 횟수는 경미한 외상성 뇌 손상 환자와 건강한 대조군을 구분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3][4][5][6] 오랜동안 훈련된 권투 선수와 공을 자주 헤딩한 축구선수 그리고 경미한 외상성 뇌 손상을 입은 사람의 한 달 후에서 FTT의 두드리기 비율(tapping rate)은 더 낮다라고 보고된다.[4][7] 손가락 두드리기 검사 및 두드리기 비율은 또한 초기 외상성 뇌 손상의 중증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4] 경미하고 중등도의 외상성 뇌 손상으로부터 회복을 평가하는 데 사용할 수도 있다.[8]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1. Collyer CE, Broadbent HA, Church RM (1994). “Preferred rates of repetitive tapping and categorical time production”. 《Perception & Psychophysics》 55 (4): 443–453. doi:10.3758/bf03205301. PMID 8036123. 
  2. Liu W, Forrester L, Whitall J (2006). “A note on time-frequency analysis of finger tapping”. 《Journal of Motor Behavior》 38 (1): 18–28. doi:10.3200/JMBR.38.1.18-28. PMC 2670435. PMID 16436360. 
  3. Geldmacher DS, Hills EC (1997). “Effect of stimulus number, target-to-distractor ratio, and motor speed on visual spatial search quality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Brain Injury》 11 (1): 59–66. doi:10.1080/026990597123818. 
  4. Haaland KY, Temkin N, Randahl G, Dikmen S (1994). “Recovery of simple motor skills after head injury”.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16: 448–456. doi:10.1080/01688639408402655. 
  5. Hills EC, Geldmacher DS (1998). “The effect of character and array type on visual spatial search acuity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Brain Injury》 12: 69–76. doi:10.1080/026990598122872. 
  6. Prigatano GP, Borgaro SR (2003). “Qualitative features of finger movement during the Halstead finger oscillation test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9: 128–133. doi:10.1017/s1355617703000134. 
  7. Murelius O, Haglund Y (1991). “Does Swedish amateur boxing lead to chronic brain damage? A retrospective neuropsychological study”. 《Acta Neurologica Scandinavica》 83: 9–13. doi:10.1111/j.1600-0404.1991.tb03952.x. 
  8. Dikmen SS, Machamer JE, Winn HR, Temkin NR (1995). “Neuropsychological outcome at 1-year post head injury”. 《Neuropsychology》 9: 80–90. doi:10.1037/0894-4105.9.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