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생산 기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생산 기술[편집]

생산은 인간이 생활하는 데 필요한 각종 물건을 만들어 내는 실천적 활동이고, 기술은 과학 이론을 실제로 적용하여 사물을 인간 생활에 유용하도록 가공하는 수단 또는 사물을 잘 다룰 수 있는 방법이나 능력이다. 그리고 생산 기술이란 산업 내부에서 더 큰 효용과 가치를 얻기 위하여 재료의 형상, 형태, 상호 관계 따위를 변화시키는 기술적 방법이다.[1] 이를 종합하여 재규정하면 생산 기술이란 객관적 지침에 따라 도구를 사용하여 사물을 만들어내는 방법적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학문의 통일에서 탐구 방법을 체계화하는데 필요한 핵심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기술에서 과학적 이론은 인간활동을 인도하는 객관적 지침이고, 도구는 대상을 인간 생활에 유용하게 변형하는데 필요한 사물이며, 이 도구는 사용하는 방법과 결합해야 실천에 나설 수 있다.

지침[편집]

지침은 생활이나 행동 따위의 지도적 방법이나 방향을 인도하여 주는 준칙이다.[2] 그렇기 때문에 생산 지침은 수단을 가지고 활동하는 생산자의 행동을 인도하여 주는 준칙이다. 지침은 수단을 선택하여 대상에 적용하는 합법칙적 기준, 올바른 도리로서 사회규범, 지도적 방법(매뉴얼), 올바른 활동 방향, 합리적인 활동 범위, 적정한 활동 수준, 사물의 적합한 취급, 제작 규격, 판단과 계량의 표준, 시료 등을 제시하여, 유효하고 합리적이고 안전하고 능률적인 목적을 달성하도록 인간활동을 인도하여 주는 준칙이다. 지침의 형태는 이론과 경험으로 존재하는 지식과, 표준 규격이나 기본 단위 및 분석에 쓰이는 물질과 같은 시료, 법과 관습과 같은 사회규범 등이다.[3]

수단[편집]

수단은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한 방법 또는 도구다.[4] 즉 수단은 도구방법의 통일이다. 도구는 대상에 직접 작용을 가하는 모든 사물이다. 그래서 대상에 변형을 나타나게 하는 인간과 대상 간에 존재하는 매개자다. 도구는 대상을 변형할 수 있는 모든 것이다. 물리적 힘을 전달하든 의사를 전달하든 대상에 작용을 하여 대상을 변화시키면 되는 것이다. 그래서 도구는 물질적인 것, 관념적인 것, 행위적인 것, 인격적인 것의 형태를 하고 있다. 행위적인 것은 수화를 생각하면 되고, 인격적인 것은 대리를 생각하면 된다. 방법은 사유와 활동의 공정 내지는 절차다.[5] 즉 방법은 목표를 달성하기 까지 거쳐야하는 단계다. 밥 짓는 과정을 생각해 보라. 방법은 크게 활동 방법배치 방법이 있다. 활동 방법은 대상을 변형시키기 위해 대상에 가하는 활동의 단계이고, 배치 방법은 변형하는 대상이 특정한 활동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지나가게 만드는 것이다. 생산 라인을 생각해 보라. 일정한 행동만 하는 기계나 인간의 단계를 지나가면서 마지막에는 완성품이 되는 것을.

생산 기술 체계[편집]

생산 기술도 하나의 체계를 구성할 수 있다. 생산은 인간활동 자체로서 의미를 가지고, 기술은 지침과 도구와 방법을 요소로 한다. 인간활동은 그 방향성에서 보면 인간과 자연과 생산물을 대상으로 하고, 인간과 자연과 생산물에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생산 기술은 보편적인 인간활동 방식이다. 지침에 따라 도구를 가지고 절차(방법)를 수행하는 인간활동이 기술이다. 그렇다면 생산 기술을 체계화하면 생산과 기술로 나누고, 생산은 방향성에 따라 인간에 대한 작용과 자연에 대한 작용과 생산물에 대한 작용으로 나눈다. 기술은 그 요소에 따라 지침과 도구와 방법으로 나눈다. 지침은 객관적 지식으로 이론과 경험을, 사회규범으로서 법·관습·도덕·교리·터부·강령·매뉴얼 등을, 기준으로는 국제도량형·시료 등이다. 도구는 사실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것이다. 굳이 나눈다면 자연적인 것과 인공적인 것으로 나눌 수 있다. 무엇이든 인간의 목적 활동에서 대상을 변형시킬 수 있는 것이면 도구가 되기 때문이다. 방법은 활동 방법과 배치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방법은 목적 실현을 위한 계획 단계에서 활동 계획과 배치 계획으로 나누는 것에서 근거한다.[6] 계획은 방법을 찾는 생산 단계이기 때문이다.

참고 문헌[편집]

한국철학사상연구회.⟪철학대사전⟫. 동녘, 1989

안태용 ⟪섹시한 학문의 통일⟫. 지식과 감성, 2022


[1] 표준국어대사전

[2] 표준국어대사전

[3] ⟪과학의 통일 통일의 과학⟫. 안태용. 책과나무, 2015. 504~507쪽

[4] 표준국어대사전

[5] ⟪철학사전⟫. 엘리자베스 클레망 외 3인. 이정우(역). 동녘, 1996

[6] ⟪철학대사전⟫. 한국철학사상연구회. 동녘, 1989. 95쪽

  1. 1
  2. 2
  3. 3
  4. 4
  5. 5
  6.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