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성 (유전학)
(상염색체 우성에서 넘어옴)
우성(優性, 영어: dominance)은 멘델의 유전법칙에서 도입된 단어이다.
서로 다른 대립형질(allele)을 가진 두 순종끼리 교배하여 태어난, 잡종 제1대에서 이 잡종의 어버이(두 순종) 중에서 한 쪽 형질이 주도적으로 나타났을 때 그 형질을 ‘우성’이라 한다. 그리고, 나타나지 않고 숨겨져 있는 형질을 ‘열성’이라 한다.
완전 우성과 불완전 우성[편집]
우성 유전자가 한 개여도 호모, 즉 같은 유전자가 두 개 있는 경우와 동등한 형질 발현 능력이 있으면 표면에 드러나는 형질(표현형)은 부모 중 한쪽과 잡종 제1대가 같아진다. 이것이 ‘완전 우성’이다.
그러나 만약 한 쪽이 절반의 작용밖에 할 수 없다면 잡종 제1대의 표현형은 우성 호모인 부모와 열성 호모인 부모의 중간 형이 될 것이다. 분꽃의 꽃색깔은 그 예로 자주 인용되는데, 이 같은 경우를 ‘불완전 우성’이라 한다.[1] 퓨넷 바둑판법(en)으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B | B | |
W | BW | BW |
W | BW | BW |
그 외에 유전자간 우열 관계가 분명하지 않고 여타 유전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경우도 불완전 우성 유전이라 할 수 있다.
각주[편집]
- ↑ 불완전 우성, 《글로벌 세계 대백과》
같이 보기[편집]
참고 자료[편집]
![]() |
이 글은 생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