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눈확틈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상안와열에서 넘어옴)

위눈확틈새
앞에서 본 눈확. 뼈를 각기 다른 색깔로 칠했다. 위눈확틈새가 중간에 위치한다.
정보
상위 구조나비뼈
기관계골격계
식별자
라틴어fissura orbitalis superior
영어superior orbital fissure
TA98A02.1.05.023
A02.1.00.083
TA2488
FMA54799

위눈확틈새(superior orbital fissure) 또는 상안와열(上眼窩裂)은 사람의 머리뼈에 존재하는 구멍 또는 틈새로, 나비뼈작은날개큰날개 사이에 위치한다. 눈돌림신경, 도르래신경, 갓돌림신경, 눈정맥, 해면정맥굴신경얼기교감신경 섬유 등이 위눈확틈새를 통해 지나간다.[1][2]

위눈확틈새

위눈확틈새의 너비는 성인에서 보통 22mm이며,[3] 가쪽보다 안쪽에서 훨씬 크다. 아래쪽 경계는 나비뼈의 작은날개, 안쪽 경계는 큰날개가 형성한다.[1]

위눈확틈새 증후군(상안와열 증후군, superior orbital fissure syndrome) 또는 로숑뒤비뇨 증후군(Rochon-Duvigneaud's syndrome[4][5])은 위눈확틈새 골절로 인해 발생하는 신경 이상이다. 위눈확틈새를 지나가는 여러 뇌신경에 문제가 생겨 복합 마비 증상이 생긴다. 발생 가능한 증상으로는 복시, 바깥눈근육 마비, 안구돌출, 눈꺼풀처짐 등이 있다.

각주[편집]

  1. Barral, Jean-Pierre; Crobier, Alain (2009년 1월 1일). 〈9 - Manipulation of the plurineural orifices〉. 《Manual Therapy for the Cranial Nerves》 (영어). Churchill Livingstone. 51–57쪽. doi:10.1016/B978-0-7020-3100-7.50012-4. ISBN 978-0-7020-3100-7. 
  2. Patel, Swetal (2015). 〈20 - The Oculomotor Nerve〉. 《Nerves and Nerve Injuries》. 1: History, Embryology, Anatomy, Imaging, and Diagnostics. Academic Press. 305–309쪽. doi:10.1016/B978-0-12-410390-0.00021-4. ISBN 978-0-12-410390-0. 
  3. Weinzweig, Jeffrey; Taub, Peter J.; Bartlett, Scott P. (2010). 〈46 - Fractures of the Orbit〉. 《Plastic Surgery Secrets Plus》 2판. Chicago: Mosby. 299–307쪽. doi:10.1016/B978-0-323-03470-8.00046-6. ISBN 978-0-323-03470-8. 
  4. synd/3387 - Who Named It?
  5. A. Rochon-Duvigneaud. Quelques cas de paralysie de tous les nerfs orbitaires (ophthalmoplegie totale avec amaurosse en anesthésie dans le domaine de l’ophthalmique d’origine syphilitique). Archives d'ophthalmologie, Paris, 1896, 16: 746-760.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