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돼지 (희곡)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산돼지 (희곡)
저자김우진 (1897년)
장르장막극, 표현주의극
주제식민지 지식인의 새로운 삶의 방향 모색과 좌절
출판사《조선지광》(1926)

산돼지》는 극작가 김우진 (1897년)이 쓴 대표적인 희곡이다. 《산돼지》는 장막극이자 표현주의극으로 그 성격이 상당히 실험적이고 상징적이란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시간적 배경을 1920년대 일제강점기로 잡고 주인공을 식민지 지식인으로 설정했다. 주제는 식민지 지식인의 새로운 삶의 방향 모색과 좌절이다. 1926년에 조선지광에서 출간되었다.

줄거리[1][편집]

[발단] 최원봉이 차혁과 바둑을 둔다. 청년회 간부인 원봉은 자신의 주관으로 연 바자회의 수익금 50원을 써 버리고, 이러한 사실을 덮어 주려는 차혁과 싸운다.

[전개] 사람들은 원봉을 ‘산돼지’라 부르고 원봉은 자신의 행동에 대해 정신적 갈등을 일으켜 몽환병에 시달린다. 최 주사의 유언에도 불구하고, 원봉과 정숙, 영순과 차혁이 각각 교제한다.

[절정 · 하강] 원봉은 자기를 둘러싸고 있는 비밀(꿈속에서 토벌 병정에 쫓기는 동학군이었던 아버지와 관군에게 쫓기다가 원봉을 낳고 죽은 어머니의 일)을 꿈을 통해 알게 된다. 원봉은 자신에게 지워진 사회 개혁의 사명과 현실과의 괴리로 고민한다.

[대단원] 꿈에서 현실로 돌아오고, 원봉에게 실망해 일본 동경으로 떠났던 원봉의 애인 정숙이 돌아온다. 둘은 서로의 나아갈 방향을 논의하며 갈등을 해소한다.

인물소개[편집]

  • 최영순 : 최 주사의 딸이며 원봉과 함께 자란 사이로 차혁과 애인 사이다. 그녀는 전통적인 여인으로 원봉의 건강을 걱정하며 극진하게 돌보는 여성이다.
  • 차혁 : 원봉의 친구이자 청년회 관계자다. 그는 목적을 위해서라면 수단은 어떤 방식이든 관계없다고 믿는다. 이에 청년회 공금을 유용한 원봉의 부정을 숨겨주려 한다.
  • 최원봉 : 청년회 간부다. 부친이 동학군이란 이유로 부모가 관군에게 죽임을 당하고, 최 주사에게 양육되었다.
  • 최 주사 댁 : 원봉과 영순의 어머니다. 남편의 유언에 따라 원봉과 영순을 결혼시키려 했지만, 영순에 대한 애정 때문에 태도를 바꾸는 인물이다.
  • 정숙 : 원봉의 약혼녀이자 신세대 여인이다. 여인. 원봉이 병에 걸리자 동경에서 돌아와 원봉과 지식인으로서의 미래를 이야기한다.

"산돼지"의 의미[편집]

산돼지는 최원봉의 성격을 두고 붙은 별명이다. 최원봉은 저돌적이며 사회환경에 쉽게 타협하지 않는 지식인의 면모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즉 이 희곡 안에서 원봉은 사회개혁을 이끌어나가고자 하는 역동적인 인물이다. 원봉은 꿈속에서 죽은 아버지가 자신에게 산돼지 탈을 씌우려는 꿈을 꾸는데, 이는 무력한 현실에서 아버지가 남긴 사명을 부담스러워하는 원봉의 내면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제목 산돼지는 자신에게 주어진 숙명과 현실적인 무기력함 사이에서 극심한 정신적 갈등을 느끼는 최원봉의 모습이자 1920년대 식민지 지식인의 모습을 의미한다.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각주[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