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륵의 8곡 사자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자기에서 넘어옴)

사자기(師子伎)는 악사(樂師) 성열현(省熱縣) 사람 우륵(于勒)의 12곡 가운데 제8곡명으로 유희적인 사자탈춤과 관련한 향가이다.

사자기(師子伎) 곡명의 원전사료[편집]

사자기(師子伎) 곡명의 지명설[편집]

사자기(師子伎) 곡명과 관련한 산예(狻猊)[편집]

  • 사자기(師子伎)는 음력 정월 보름날 사자탈을 쓰고 하는 민속놀이의 하나. 두 사람이 나무로 만든 사자탈을 뒤집어쓰고, 마을을 다니면서 곡식․금전 등을 얻어 들이는데, 이 금품은 마을을 위한 공공사업에 씀. 사자놀음. 사자놀이. 신라 진흥왕우륵이 지었다고 전하는 가얏고 12곡 중의 하나.[4]라고 민속놀이의 사자탈춤으로 수록하였다.
  • 사자기(師子伎)는 김동일(金東旭)은 개장(開場)의 액(厄)풀이 악(樂), 양주동(梁柱東)은 산예(狻猊)와 관계, 김태식(金泰植)은 산예(狻猊)와 비슷한 기악(伎樂)[5]으로 비정했다.
  • 여덟번의 사자기는 신라의 산예와 같은 것으로서 사자 비슷한 가면을 쓰고 노는 사자춤에 쓰인 음악이라 풀이하고 있다.[6][7]
  • 동도향악(東都鄕樂)에금환(金丸)․월전(月顚)․대면(對面)․속독(束毒)․산예(狻猊)의 다섯 가지 검무희(劍舞戱)가 있는데, 최치원(崔致遠)이 각각 오기 절구시(五伎絶句詩)를 지었다.
산예시(狻猊詩)에,
만리 사막 먼먼 길 왔는데 遠涉流沙萬里來
털옷 다 헤어져서 먼지가 보인다. 毛衣破盡着塵埃
머리 흔들고 꼬리치며 어진 덕에 길들여졌으니 搖頭掉尾馴仁德
웅장한 기상은 어찌 뭇 짐승의 재주와 같을까? 雄氣寧同百獸才[8]
  • 최치원(崔致遠, 857∼?)은 신라말기의 인물로서 551년 진흥왕 때 5곡을 정악으로 채택한 시기와 차이가 있으나 향악으로 전승 발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 우륵의 12곡 가운데 8곡 사자기(師子伎)는 사자탈춤을 추면서 부르는 유희 향가로 유추한다.[9]

각주[편집]

  1. 三國史記  卷第三十二 雜志 第一 樂
  2. 金泰植《加耶聯盟史
  3. 《청풍 성열현인 악성 우륵의 사료집성》(2013)
  4. 李熙昇《국어대사전》(2000)
  5. 金泰植《加耶聯盟史
  6. 金泰植,《加耶史硏究》1997
  7. 사천시지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국역,《증보문헌비고 제106권
  9. 《청풍 성열현인 악성 우륵의 사료집성》(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