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YujeongKim/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모르핀[편집]

  1. 모르핀이란?

모르핀(영어: morphine)은 아편의 주요 성분인 알칼로이드이며 아편 진통 의약품이다. 통증을 줄이기 위해 중추 신경계 (CNS)에 직접 작용한다. 급성 통증과 만성 통증 모두에 사용된다. 모르핀은 심근 경색이나 통증 때문에 자주 사용된다. 입으로, 근육에 주사에 의해, 척수 주위의 공간으로 피부 아래, 정맥 내로, 또는 직장으로 주사한다. 효과는 정맥 내 투여시 약 20 분, 구강 투여시 약 60 분, 효과 지속 시간은 3 시간에서 7 시간 사이이다. 잠재적으로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호흡 수 감소와 저혈압이 있다. 모르핀은 중독과 남용의 가능성이 높다.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졸음, 구토 및 변비가 있다. 모르핀은 아기에게 영향을 미치므로 임신 중이거나 모유 수유 중에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모르핀은 Friedrich Serturner에 의해 1803 년과 1805 년 사이에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식물에서 활성 성분의 첫 번째 고립으로 여겨진다. Merck는 1827 년 상업적으로 마케팅을 시작했다. 모르핀은 1853-1855 년에 피하 주사기가 발명 된 이후에 널리 사용되었다. Sertürner는 처음에는 꿈의 그리스 신인 모피어스 (Morpheus)의 이름을 딴 물질 모르핀이라고 명명했다. 모피어스 (Morpheus)가 모르핀과 마찬가지로 잠을 자게하는 능력이 있기 때문이다.

2013 년에 523,000 kg의 모르핀이 생산되었다. 약 45,000 kg이 통증에 직접적으로 사용되어 지난 20년 동안 4시간 동안 증가했다. 이 목적을 위해 대부분의 사용은 선진국에서 사용되었다. 모르핀의 약 70 %는 하이드로 몰폰, 옥시 몰폰, 헤로인과 같은 다른 아편 유사 물질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그것은 미국의 Schedule II 약제이며, 영국의 Class A, 캐나다의 Schedule I이다. 세계 보건기구 (WHO)의 필수 의약품 목록에 있으며, 건강 시스템에 필요한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의약품이다. 모르핀은 여러 상표명으로 판매된다

  • 요약

아편의 주성분인 알칼로이드이다

  • 분자식

C17H19O3N.

의학적 이용 [편집]

  1. 1 진통

모르핀은 주로 급성 및 만성의 심한 통증을 완화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데 진통의 지속 기간은 약 3-7 시간이다. 모르핀은 또한 전통적으로 급성 폐부종의 치료에 사용되어왔다 . 그러나 2006 년 리뷰는 이러한 관행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거의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2016 Cochrane review는 모르핀이 암 통증 완화에 효과적이라고 결론지었다. 부작용으로 메스꺼움과 변비가 있으나 이것이 일반적으로는 치료를 중단시킬만큼 심각하지는 않다. 모르핀은 특히 심근경색증에 유용한 진통제로 사용되어 왔었으나, 2010년 이후 2010년 심폐소생술 지침에 의해서는 특별한 경우외에는 효과가 없다고 하여 특별한 경우에만 진통제로 사용한다. 일반 진통제로 통증 조절이 잘 안되는 통증, 특히 암성 통증 등에 사용한다. 다만 담낭 질환이나췌장 질환에는 오디 괄약근을 수축시켜 통증을 악화 시킬 우려가 있어 사용하지 않는다. 마약성 진통제이므로 습관성, 중독성이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1. 2 호흡곤란

모르핀은 암 및 비암 원인 으로 인한 호흡 곤란 증상을 줄이는 데 유용하다. 호흡 곤란이나 진보된 암 또는 말기 심장 동성 질환과 같은 상태에서의 최소한의 노력으로 규칙적이고 저용량의 서방 형 모르핀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익한 효과를 유지하며 호흡 곤란을 크게 감소시킨다.

모르핀의 역사 [편집]

분자식 C17H19O3N. 아편(阿片)의 주성분. 아편에 9~14% 함유되어 있다. 모르핀은 1805년 독일의 약사 F. W. A. 제르투너가 처음으로 분리했고, 1952년 M. 게이츠 등이 화학적으로 합성했다. 알칼로이드로 분자량 285.3, 녹는점 254℃. 냄새는 없으나 맛이 쓴 무색결정이고, 약물로는 염산염 또는 황산염이 사용된다.마취제로 진통·진해·진정·최면에 효력이 있고 통증에 수반되는 불안을 제거하며 불쾌한 감각을 없애주고 쾌감을 느끼게 하여 도취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은 성질은 습관성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며, 차츰 용량을 늘리지 않으면 처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없는 상태, 즉 내성이 커지는 동시에 모르핀 의존이나 모르핀 중독을 일으키므로 마약으로 지정되어 있다.


생리작용[편집]

적은 양으로 강한 진통작용이 있고 호홉억제작용을 하여 잠들게 한다. 위의 운동을 억제시키며 위산의 분비를 감소시킨다. 유문괄약근을 수축시키기 때문에 음식은 위내에 머물기 쉽고 또 장관 평활근의 긴장을 고조시키며 연동운동을 억제하고 수분의 흡수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강한 지사작용을 한다. 이 작용에는 괄약근의 수축과 배변반사의 억제도 포함된다.

중독증상[편집]

일반적인 부작용은 호홉억제 외에 오심·구토·변비 등의 소화관증상으로 나타난다. 대량 섭취에 의한 급성중독에는 혼수·축동·체온하강·호흡억제 등이 차례로 출현하며 호흡정지에 이르러 죽게 된다. 급성중독, 특히 호흡억제에는 길항제인 날로르핀이나 레발로르판 등을 투여한다. 소아·노인·쇠약자에게는 특히 호흡억제작용이 강하다. 또 태아에게도 이행하며 분만시 모체에 주사한 모르핀으로 신생아가 호흡억제를 일으키기도 하고 모유에 이행하므로 임신부나 수유부에게 투여하는 것은 금물이다. 모르핀 반복섭취에 의한 만성중독은 이른바 정신적 의존에 더하여 신체적 의존에 이른 상태이므로, 약의 섭취를 중단할 수 없다. 만약 중단하면 의존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하품을 하고 눈물·콧물을 흘리며 땀·열이 나고 산동·진전·식욕부진·불안·구토·설사·호흡수증가·혈압상승·체중감소 등 증상이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