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UijeongWoW/위민온웹(Women on Web)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UijeongWoW/위민온웹(Women on Web)
본부Toronto, Canada
서비스Access to safe abortion services
위민온웹(women on web)
</img>
설립 2005년 11월 10일 ; 16년 전 ( 2005-11-10 )
설립자 레베카 곰퍼츠(Rebecca Gomperts)
유형 비영리단체
본부 캐나다 토론토
지역
전세계 서비스 제공 서비스 안전한 임신중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

(한국어버전)

https://abortion.kr

위민온웹(Women on Web)는 여성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안전한 임신중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캐나다의 비영리 단체입니다. [1] 안전한 임신중지 시술이 필요한 경우, 사람들은 Women on Web 웹사이트에서 온라인 상담을 진행한 후 의료진에게 낙태약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2] Women on Web 헬프데스크는 한국어를 비롯해 아랍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일본어, 헝가리어, 인도네시아어, 이탈리아어, 페르시아어, 폴란드어, 포르투갈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태국어 및 터키어와 같이 총 16개 언어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단체는 2005년 네덜란드 의사인 Dr. Rebecca Gomperts 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3]


한국 여성들이 위민온웹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시작한 것은 2010년부터이며, 2014년 여성인권영화제에서 레베카 곰버츠의 첫번째 프로젝트를 담은 영화 'Vessel'이 상영되면서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2015년 위민온웹은 한국어 헬프데스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2019년까지 약 12,385명의 한국 여성들에게 약물적 임신중지와 관련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해 왔습니다.

연구 [4] 에 따르면 안전한 임신중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없는 여성들은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임신중지 시술 자격이 없는 비전문가를 통해 임신중지를 시도합니다. 이는 여성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문제로 이어집니다. 위민온웹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모든 여성이 안전한 임신중지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여성들이 임신중지에 대한 낙인과 수치심에서 벗어나 원격 임신중지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약물적 임신중지 자가 수행(self-managed medical abortion) 은 병원에 방문하지 않고 여성이 스스로 임신중지 과정 전반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임신중지 방법을 의미합니다. 임신 12주 이전이라면, 적절한 의료지침에 따라 의료전문가의 통제 없이고 집에서 여성 스스로 미페프리스톤 과 미소프로스톨 을 사용하여 임신중지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5] [6] 미페프리스톤과 미소프로스톨은 98-99%의 효능으로 유산 과 유사한 임신중지 를 유도하여 임신을 종결시킵니다. [2] 영국 산부인과 저널(British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에 발표된 2008년 연구에 따르면 적절한 정보와 지침이 제공될 경우 의사의 직접적인 도움 없이도 여성이 집에서 미페프리스톤과 미소프로스톨을 자가 투여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6]

2022년 2월부터 위민온웹은 원치 않는 임신에 대비하고자 하는 여성들에게 사전적으로 임신중지 약물을 보관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대해 위민온웹 팀은 "이 새로운 서비스의 시작을 통해, 여성은 선제적으로 원치않는 임신중지에 대비해 임신중지 약물을 요청할 수 있게 됐습니다. 위민온웹의 의료진은 아직 임신하지 않았지만, 향후 예상되는 필요에 대비하기 위해 약물을 보관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직접 약물을 처방할 계획입니다" 라고 밝혔습니다. [7]


관련 연구[편집]

임신중지 및 위민온웹 서비스를 사용한 여성의 경험에 대한 다양한 과학적 연구들은 원격 임신중지의 안전성과 높은 효과성 및 접근성을 입증했습니다. [8] [9] [10] [11] [12] 세계보건기구(WHO) 역시 위민온웹이 수행하고 있는 이러한 원격 임신중지 방법이 안전하다는 것을 인정했습니다. [13]

이에 더해 위민온웹은 안전한 임신중지에 접근할 수 있는 권리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임신중지가 불법인 국가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영국과 네덜란드, 헝가리, 미국 등의 국가를 조사한 결과 병원에서만 임신중지가 가능할 경우 많은 여성들이 임신중지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8]

위민온웹에 대한 검열[편집]

많은 국가들은 위민온웹의 홈페이지에 대한 검열을 시도합니다. 그러나 메인 웹사이트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임신중지를 위한 온라인 상담서를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검열에 대비하고 서비스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해, 위민온웹은 현지 웹사이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위민온웹이 운영 중인 현지 웹사이트의 목록은 아래를 참고하십시오.

홈페이지 방문이 어려울 경우, Women on Web으로 직접 이메일을 보낼 수 있으며 이는 각국의 헬프데스크에 의해 처리됩니다. 모든 답장은 24시간 내 이루어집니다.

함께 볼 문서들[편집]

참고문헌[편집]

  1. “About Women on Web”. 《Daily Telegraph》 (영국 영어). 2020년 5월 29일. ISSN 0307-1235. 2020년 5월 29일에 확인함. 
  2. “의약품으로 하는 안전한 임신 중단”. 《abortion korea》. 2022년 3월 26일. 2020년 5월 29일에 확인함. 
  3. Grant, Rebecca. “The Website Providing Abortion Without Borders” (영어). 2018년 10월 21일에 확인함. 
  4. “Preventing unsafe abortions”.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년 5월 29일. 2020년 5월 29일에 확인함. 
  5. “Abortion”. 《Journal of Midwifery & Women's Health》. 62(3): 383-384. 2017년 5월 29일. 
  6. Gomperts, Rj; Jelinska, K; Davies, S; Gemzell-Danielsson, K; Kleiverda, G (2008년 8월 1일). “Using telemedicine for termination of pregnancy with mifepristone and misoprostol in settings where there is no access to safe services”. 《BJO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 Gynaecology》 (영어) 115 (9): 1171–1178. doi:10.1111/j.1471-0528.2008.01787.x. ISSN 1471-0528. PMID 18637010. 
  7. “Women on Web starts providing abortion pills in advance”. 《Women on Web》. 2022년 2월 23일에 확인함. 
  8. Abigail R. A. Aiken; Jennifer E. Starling; Alexandra van der Wal; Sascha van der Vliet; Kathleen Broussard; Dana M. Johnson; Elisa Padron; Rebecca Gomperts; James G. Scott (Jan 2020). “Demand for Self-Managed Medication Abortion Through an Online Telemedicine Service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10 (1): 97. doi:10.2105/AJPH.2019.305369. PMC 6893344. PMID 31622157. 
  9. Abigail R.A. Aiken, Kathleen Broussard, Dana M. Johnson, Elisa Padron (2018년 7월 11일). “Motivations and Experiences of People Seeking Medication Abortion Online in the United States”. 《Perspectives on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50 (4): 157–163. doi:10.1363/psrh.12073. PMC 8256438. PMID 29992793. 
  10. Les, Krisztina; Gomperts, Rebecca; Gemzell-Danielsson, Kristina (2017년 11월 22일). “Experiences of women living in Hungary seeking a medical abortion online”. 《The European Journal of Contraception & Reproductive Health Care》 22 (5): 360–362. doi:10.1080/13625187.2017.1397112. PMID 29164948. 
  11. Abigail R.A. Aiken; Katherine A. Guthrie; Marlies Schellekens; James Trussell; Rebecca Gomperts (2017년 9월 20일). “Barriers to accessing abortion services and perspectives on using mifepristone and misoprostol at home in Great Britain”. 《An International Reproductive Health Journal Contraception》 97 (2): 177–183. doi:10.1016/j.contraception.2017.09.003. PMC 5801070. PMID 28941978. 
  12. Rebecca Gomperts; Marlies Schellekens; Peter Leusink; Gunilla Kleiverda (2019년 11월 6일). “Abortushulp kent te veel barrières”. 
  13. Sarah Boseley (2017년 9월 27일). “Almost half of all abortions performed worldwide are unsafe, reveals WHO”. 《Guardian》. 

외부 링크[편집]

[[분류:여성주의자 웹사이트]] [[분류:Category:페미니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