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Sotiale/CUA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 체크유저의 재량/판단/결정에 따라 검사 수행/총의나 투표에 따라 검사 수행, 2-1. 다른 권한, 2-1-1. 관리자 권한 불가능하다면 체크유징을 위해 숨겨진 내용 필요할 때 제공 요청은? 2-2. 관련자 차단 수행 가능/불가능, 3. 필요에 따라 비공개 요청의 수락/공개 요청만 가능 4. 기록은 일일이 공개/비공개 5. 비공개 토론 진행 가능 여부 6. 선출 방법 - 공동체 or 중재위원회 7. IP 사용자의 요청 8. 체크유저 자신과 관련된 요청에 대해서 9. 체크유저에게 숨겨진 역사, 문서 등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권한을 줄까? 10. 검사관은 최소 몇 명 이상? 11. 검사관 2명만 있을 때 제한 조치 12. 한국어 정책에는 검사관이 모든걸 다 알 수 없다, 다중 계정 검사는 패턴, 행동을 통해 파악해야한다는 논지 등을 추가해야할까?(검사관 도움말에 있는 내용을 정책에 포함하여 안내해야할까?)->다중 계정 검사에 대해 오해를 하는 사용자가 더러 있고, 오해를 줄 수 있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그러한 부분에 대해서 정책이나 지침 자체에 소개하는 것도 괜찮을 듯 13. 메타에서는 사무장이 다중 계정 검사하고 나서 다중 계정 여부/가능성 등에 대해서만 판단하고 그 근거(ISP 동일, IP 대역 동일, IP 동일 등)는 밝히지 않는 관례가 있는데 그 부분에 대해 확인 필요 14. 중재위의 결정에 의한 검사 진행에 대해 바로 진행? or 중재위에서 다중 계정 검사 요청 후 공동체에서 다시 판단?(개인정보를 다루는 부분이므로 생각해볼 필요) 15. 검사관에 대한 다중 계정 검사 요청은? 16. 검사 요청 공간 Klutzy 님의 제안 검토(다중 계정 토론 공간 운영 or 다중 계정 검사와 검사관 요청 공간 분리) 16. 초보 검사관이 검사관 기능 시험을 위해 본인이나 본인의 다중 계정 혹은 기능 시험을 위한 동의를 구한 사용자에 대한 검사 수행은? 17. 스스로 자신에 대한 체크유징을 요청하는 경우는? 허용한다면 그 기준은?

  • 체크유저의 재량/판단/결정에 따라 검사 수행/총의나 투표에 따라 검사 수행
    재량에 따라 검사 불가능. 근거를 갖고 검사관 요청란에서 요청한 뒤 검사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됨.
  • 2-1-1. 관리자 권한 불가능하다면 체크유징을 위해 숨겨진 내용 필요할 때 제공 요청은?
    관리자 요청을 통하여 삭제된 문서 등을 열람할 수 있도록 요청하고, 메일을 통해 보냄
  • 2-2. 관련자 차단 수행 가능/불가능
    체크유징을 시행한 관리자의 차단이나 조치가 가능. 영어판 위키백과에서는 체크유저의 차단 및 조치에 대한 관리자 행동의 번복은 먼저 해당 체크유저의 차단 및 조치에 대하여 문의를 하고 논의가 끝난 뒤에 번복하도록 함.
  • 3. 필요에 따라 비공개 요청의 수락/공개 요청만 가능
    공개 요청만 가능 for 투명성
  • 기록은 일일이 공개/비공개
    어떤 체크유저가 달마다 몇 회의 정보를 열람하였는지 기재하도록 할 수 있음. 이는 공동체가 기록을 요구하는 논의를 거치면 하면 됨
  • 비공개 토론 진행 가능 여부
    관리자 및 사무관들과의 토론은 가능하되 그 때라도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자료를 누설해선 안 됨. 일단 이 부분은 논의가 더 필요함, 추후 논의.
  • 선출 방법 - 공동체 or 중재위원회
    공동체
  • IP 사용자의 요청
    메타에서 허용 안 함. 대체로 신용도가 떨어져서 시행을 안 함.
  • 체크유저 자신과 관련된 요청에 대해서
    다른 CU가 시행. 정 안되면 Stewards가 시행
  • 체크유저에게 숨겨진 역사, 문서 등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권한을 줄까?
    주어도 무방함
  • 검사관은 최소 몇 명 이상?
    3명이 적정한데 그 이상도 가능함
  • 검사관 2명만 있을 때 제한 조치
    2명만 있어도 CU는 사용 가능함. 1명일 때만 불가능한데, 어차피 1명인 경우 자동으로 권한이 회수되므로 무방함(관례에 따라 1명만 남으면 권한 임시 회수가 원칙)
  • 한국어 정책에는 검사관이 모든걸 다 알 수 없다, 다중 계정 검사는 패턴, 행동을 통해 파악해야한다는 논지 등을 추가해야할까?(검사관 도움말에 있는 내용을 정책에 포함하여 안내해야할까?)->다중 계정 검사에 대해 오해를 하는 사용자가 더러 있고, 오해를 줄 수 있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그러한 부분에 대해서 정책이나 지침 자체에 소개하는 것도 괜찮을 듯
    당연함. CU 결과보다 편집 패턴은 훨씬 중요하며 CU결과는 부가적이라고 설명하고 있음. 메타에서도 확실한 근거가 있으면 체크유저 결과보다 더 중요시함.
  • 메타에서는 사무장이 다중 계정 검사하고 나서 다중 계정 여부/가능성 등에 대해서만 판단하고 그 근거(ISP 동일, IP 대역 동일, IP 동일 등)는 밝히지 않는 관례가 있는데 그 부분에 대해 확인 필요
    자세한 내용(IP/ISP/IP대역 일치)은 공개하지 않음. '기술적 관점'이라고 뭉뚱그림.
  • 중재위의 결정에 의한 검사 진행에 대해 바로 진행?
    다른 언어판에선 대체로 그렇게 하는 것으로 보임.
  • 중재위에서 다중 계정 검사 요청 후 공동체에서 다시 판단?(개인정보를 다루는 부분이므로 생각해볼 필요)
    유사성만 확인해주고 아이피정보 등 제공 안하므로 어떤 개인정보인지 구체화 필요
  • 검사관에 대한 다중 계정 검사 요청은?
    다른 CU가 시행. 정 안되면 Stewards가 시행
  • 검사 요청 공간 Klutzy 님의 제안 검토(다중 계정 토론 공간 운영 or 다중 계정 검사와 검사관 요청 공간 분리)
    현행 다검 → 검사관 요청으로 변경
  • 초보 검사관이 검사관 기능 시험을 위해 본인이나 본인의 다중 계정 혹은 기능 시험을 위한 동의를 구한 사용자에 대한 검사 수행은?
    기본적으로는 하지 않는 편이 좋음. 정 모르겠으면 체크유저 메일링 리스트나 스튜어드에게 자문 구해도 됨.
  • 스스로 자신에 대한 체크유징을 요청하는 경우는? 허용한다면 그 기준은?
    스스로가 검사관이 아니라 검사 대상자 본인이라면 정책에 따라 검사가 시행 가능하지만 재량에 따라 신중할 필요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