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SeanSentIGPc/한자 종이접기/기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개요[편집]

한자 종이접기를 할 때 쓰는 기술을 적은 것이다.

목록[편집]

모바일 사용자를 위해 가나다순으로 정렬해야 합니다.

대문 접기[편집]

이 기술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획들이 나 있는 간단한 한자를 접을 수 있게 한다. 主, 州, 王, 手자를 접는 데 사용된다.

병풍 접기[편집]

필자는 아직 쓰지 않은 기술. 이 기술은 종이 전체 또는 일부를 병풍처럼 접어 복잡한 모양을 접는 데 쓰이며, 대문 접기의 단점을 보완하여 聽, 獻, 籬, 鷄자와 같이 접는 데 많은 종이가 쓰이는 한자를 좀 더 적은 수의 종이로 접을 수 있을 거라 기대된다. 한자 帥자를 종이 1장으로 접는 데 사용되는 기술이다.

쌍배 접기[편집]

이 기술은 간단한 한자를 네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을 접을 수 있게 한다. 여러 방법으로 응용하는 데 수월해서 필자가 매우 애용하는 기술이다. 和, 舛, 女, 尗,[1] 心, ,[2] 米, 井, 比, 文, 春의 윗부분, 紙[3]자 등의 한자를 접는 데 사용된다.

열십자 접기[편집]

말 그대로 한자를 방석 모양으로 접어 十자를 접는 기술로, 田자[4]를 접을 때 쓴다. 이것을 응용하면 日, 习[5]도 접을 수 있다. 대문 접기와 섞어 쓰면 用, 四자도 접을 수 있을 걸로 보인다. 통상적으로 쓰이는 기술은 아니다.

티읕자 접기[편집]

종이를 2분의 1까지 접지 않고 종이 윗부분을 접어 ㅌ 모양으로 접는 기술이다. 勿, 目자를 접는 데 쓰인다.

  1. 叔의 왼쪽 부분
  2. 진짜로 단독으로만 쓰인다.
  3. 원래 쓰인 종이보다 9배 작게 나온다.
  4. 이 한자는 대문 접기나 쌍배 접기로 접을 수 없다.
  5. 羽의 반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