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Leeeunsuk/연습장1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의 다문화 가정[편집]

한국의 다문화 가정한국문화에 대한 배경이 없는 사람들로 구성된 가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 가정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의 수도 같이 증가했다.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이 직면한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정책들이 만들어졌다.

정의[편집]

한국의 다문화 가정을 지원하기 위해 고안된 정책은 한국 국적을 취득한 사람들이 있는 가정을 대상으로 한다.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은 한국인의 배우자와 문화적 배경이 다른 외국인 거주자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로 정의된다.[1]

아이들의 분류[편집]

국제결혼이민자의 자녀[편집]

첫째, 국제결혼 이민자들의 자녀들이 있다. 부모 중 한 명은 한국 국적을 가지고 있고 다른 한 명은 외국 국적을 가지고 있는 아이들이다. 둘째, 외국인 노동자 가족의 자녀들이 있다. 셋째, 탈북자 가족의 자녀들은 탈북자로 '새터민'으로 불렀다.[2]

이민 청소년[편집]

이민 청소년은 부모가 한국인과 재혼하거나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가 청소년기에 부모 중 한 나라에서 성장한 뒤 한국에 오는 청소년을 말한다.

한국의 혼혈아[편집]

한국에서 혼혈아가 된다는 것은 삶이 소수자로 시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통적으로 한국은 단일 민족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인종을 혼합하는 것은 전통적으로 지지받아 온 것이 아니다.  하지만, 다른 나라의 여성들과 한국 남성들 사이의 결혼의 수 때문에 혼혈아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상황[편집]

2015년 다문화가정 자녀 수는 207,693명입니다. 6세 미만 자녀는 110,000명으로 60%를 차지한다. 초·중·고 교육을 받아야 하는 학령기 청소년은 매년 7,000~10,000명씩 증가하고 있으며, 유아기에도 마찬가지다.[3]

법적 측면[편집]

다문화가족지원법은 2008년 제정되어 다문화가족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2016년에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생애주기 조정을 위한 조치가 취해졌다.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측면[편집]

사회적 측면[편집]

현황: 2015년 초중고 다문화가정 학생수는 83,000명이다. 다문화가정 학생은 전체 학생의 약 1.4%이다. 다문화가정 학생은 2015년 기준 초등학생이 약 73%, 중학생이 약 16.8%, 고등학생이 10.2%이다.[4]

다문화 가정의 학생 수
다문화 가정 학생과 학생의 학교 출석률

지원정책: 한국 중앙정부의 다문화교육 복지 정책은 공교육 내부에 위치하는 다문화교육 정책과 공교육 외부에 위치하는 다문화교육 정책으로 나누어진다.[5]

경제적 측면[편집]

현황: 15세 이상 다문화가정 자녀의 취업률은 2015년 27.1%로 전체 아동 38,052명 중 10,329명만이 취업한 셈이다. [6]

지원정책 : 다문화가정아동지원센터 중 무지개청소년센터에서 다문화가정 자녀의 직업교육 프로그램인 '내일을 잡(job)아라'로 운영하고 있다.[7]

문화적 측면[편집]

현황: 일반적으로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은 자신의 정체성 에 대해 혼란스러워 한다.[8]

지원정책 : 한국에서는 지자체별로 다문화가정 자녀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청주시 다문화

가족지원센터에서는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함양군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한 '다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9]


참조[편집]

  1. 박솔지(Park Solji)(2010.2).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The Influence of Multi Cultural Family Children’s Self Esteem and Learning Motivation on School Life Adjustment
  2. 박현숙 ( Hyun Sook Park ),김광웅 ( Kwang Woong Kim ), "다문화가정 자녀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Regardi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한국놀이치료학회지(Korea play psychotherapy journal)(놀이치료연구=Play psychotherapy study)/15(4), 2012., 459-485, 한국놀이치료학회(Korea play psychotherapy academy)
  3. “[취재후] 다문화 자녀 20만 명, 제도는 바뀌었지만…”. 2023년 4월 1일에 확인함. 
  4. 2016 청소년 통계(2016 teenager statistic)
  5. 공경윤(공경윤)(2014).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 이후 지원에 관한 연구=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6. “KOSIS”. 《만 15세 이상 다문화 가족 자녀 취업시기 2015(다문화가정 자녀 취업현황 통계자료 2015)》. 2023년 4월 1일에 확인함. 
  7. “무지개청소년센터, 내-일을 잡아라’ 직업훈련 실시”. 2023년 4월 1일에 확인함. 
  8. 김현희(Kim Hyeonhui). 다문화복지 ∙ 청소년의 실태와 과제= 아동·청소년을 위한 다문화복지의 실태와 과제 청소년지도보호연구11(청소년보호지도연구) (2007): 75-92.
  9. 초점뉴스(Focus News), 남광균 기자(남광균 기자), 함양군, 다문화가정 자녀의 성장을 돕는 '다(多)재다능' 프로그램(함양군, 다목적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