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LBO6390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 이름: 임비오 (林비오)

2. 본관: 예천(禮泉) 임씨(林氏) 양양사직공파 33대손

3. 출생지: 경상북도 김천시 평화동 후생주택 19호

4. 생년월일: 1968년 9월 29일

5. 군대: 해병대 2사단 청룡부대 1연대 본부 & 3대대 3중대 본부 중대 (병과 – 보병)

6.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lbo6390

7. 유튜브: 운동박사 임비오 tv (https://www.youtube.com/channel/UC_WEycCACcA6qeNlL9EwVgg)


8. 학력 사항

1) 초등학교: 김천서부초등학교(1975년 입학)

2) 중학교: 김천중학교(1981년 입학)

3) 고등학교: 김천고등학교 51회(1984년 입학)

4) 대학교: 대구대학교 인문대학 체육학과(1987년 입학, 1995년 2월 체육 학사)

5) 대학원(석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1995년 입학, 1997년 2월 교육학 석사)

6) 대학원(박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1999년 입학, 2003년 8월 체육학 박사)

7) 박사후과정(PostDoc): Texas Women’s University


9. 경력 사항

1)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학과, 연구 조교 & 운동역학 실험실장(1995.01-1996.08)

2) 한국스포츠 정책과학원, 꿈나무 선발 요원 & 연구 조교(1996.08-1998.02)

3)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학교, 기간제 체육 교사(1999.09-2000.02)

4) 서울대학교 체육 연구소, 선임연구원(2003.08-2004.08, 2006.06-2010.05)

5) Texas Women’s University & Baylor University, Visiting Research Professor

6) 서울대학교, 중앙대학교, 한양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인천대학교, 인하대학교, 광운대학교, 고려대학교, 선문대학교, 호서대학교, 상명대학교, 대구대학교 시간 강사

7) 광운대학교 생활체육학과 겸임교수(2007.09-2008.08)

8) 인천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2007.09-2010.08)

9) 중앙대학교 생활 스포츠 지도사연수원 부원장(2015.01-2017.12.31.)

10)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학과 교수(2014.09-현재)


10. 자격 사항

1) 심폐소생법(CPR) 강사, 한국적십자, 1991

2) 레크레이션 지도자 2급, 한국 YMCA, 1992

3) 응급처치법 강사, 대한적십자, 1992

4) 배구 심판(C급) 및 코치, 대한배구협회, 1992

5) 스포츠맛사지사, 대한스포츠의학교육연구원, 1992

6) 수상안전강사, 대한적십자, 1992

7) 축구 심판 3급, 대한축구협회, 1994

8) 국가기술자격증(사무관리기술분야, 워드프로세서 2급), 대한상공회의소, 1994

9) 중등학교 2급 정교사(체육), 교육부, 1994

10) 탁구 심판 3급, 생활체육전국탁구연합회, 1995

11) 생활체육 지도자 자격증 3급, 탁구, 문화체육관광부, 1999

12) 생활체육 지도자 자격증 3급, 배드민턴, 문화체육관광부, 2001

13) Heartsaver AED & CPR Licenc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4

14) 생활체육 지도자 자격증 3급, 테니스, 문화체육관광부, 2007

15) 운동사, 대한운동사회, 2008


11. 학위논문

임비오. (2003). 농구용 휠체어의 캠버 및 핸드림 크기가 추진 동작에 미치는 효과 (국내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임비오. (1997). 성인 남자들의 연령별 보행 형태 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12. 저서 (단행본)

임비오. (2020). 꿈을 이야기했을 때 비웃지 않는다면 그 꿈은 작은 것이다. 서울: 부크크(Bookk).

임비오 외 14인. (2019). 별별 여행. 서울: 부크크.

임비오 외 14인. (2018). 스포츠 손상: 해부학적 평가 핸드북. 서울: 영문출판사.

임비오 외 10인. (2017). (선수트레이너를 위한) 감별진단 가이드: 시각적 학습 접근. 서울: 영문출판사.

임비오 외 17인. (2015). (운동사를 위한) 근력 훈련과 컨디셔닝. 서울: 한미의학.

임비오 외 17인. (2015). (운동사를 위한) 퍼스널 트레이닝. 서울: 한미의학.

임비오 외 28인. (2015). 스포츠 의학: 무릎 관절의 손상과 재활. 서울: 영창.

임비오 외 16인. (2013). (근골격계 손상을 위한) 치료적 운동. 서울: 영문.

임비오 외 20인. (2013). 스포츠 손상: 해부학적 평가. 서울: 영문.


13. 저서 (문제집)

임비오 외 9인. (2018). (한방에 합격하기!) 스포츠지도사. 서울: 대한미디어.

임비오 외 9인. (2017). (스포츠지도사) 적중핵심문제집. 서울: 대한미디어.

임비오 외 9인. (2016). 적중예상문제집. 서울: 대한미디어.

임비오 외 9인. (2015). 스포츠지도사 자격검정대비. 서울: 대한미디어.

임비오 외 6인. (2015). 체육지도자 필기시험 대비 요약문제집: 운동역학. 충청남도: 엔에스씨에이코리아.


14. 저서 (연수교재)

임비오 외 28인. (2016). (국민체육진흥법령 개정) 2급 생활스포츠지도사 연수교재. 대한민국: 2급 생활스포츠지도사연수원.


15. 연구보고서

임비오. (2016). 무릎관절염 환자들의 수중운동 메타분석과 수중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규명. 한국연구재단(NRF).

임비오. (2013). 전방십자인대 부상 메케니즘 규명. 한국연구재단(NRF).

임비오. (2011). 근력, 평형성, 보행 동작 훈련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보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연구재단(NRF).

임비오. (2008). 스포츠상해 예방훈련이 여자 고등학교 농구선수들의 착지 동작에 미치는 영향 –결과보고서. 한국연구재단(NRF).

임비오. (2006). 다운증후군 아동의 보행 향상을 위한 근육활동 및 보행 동작의 규명. 한국연구재단(NRF).

임비오. (2005). 근력훈련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하지 관절에 작용하는 회전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NRF).

임비오. (2003). 농구용 휠체어의 캠버 및 핸드림 크기가 추진 동작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한국연구재단(NRF).

임비오. 스포츠상해 예방훈련이 여자 고등학교 농구선수들의 착지 동작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NRF).


15. 공개 강의

운동기술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임상운동학, 중앙대학교 대학원.

운동손상과 재활, 중앙대학교 대학원.

운동기능해부학, 중앙대학교 대학원.

운동역학특강, 중앙대학교 대학원.

운동기능학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운동역학, 중앙대학교 대학원.

임상생체역학, 중앙대학교 대학원.


16. 외국 논문

https://pubmed.ncbi.nlm.nih.gov/?term=lim+bee+oh&filter=simsearch1.fha)


Fourier-Based Footfall Placement Variability in Parkinson's Disease. Shin S, Lim BO, Socie MJ, Sosonff JJ, Lee KK. Biomed Res Int. 2019 Apr 30;2019:2689609. doi: 10.1155/2019/2689609. eCollection 2019. PMID: 31183365 Free PMC article. Clinical Trial.


Prevalence of sports injuries in Korean fencers aged 14-40 years. Chung JW, Lim BO, Cho JH, Lee KH. J Sports Med Phys Fitness. 2020 Oct;60(10):1371-1376. doi: 10.23736/S0022-4707.20.10900-9. Epub 2020 Jun 30. PMID: 32608932.


Biomechanical comparison of rotational activities between anterior cruciate ligament- and posterior cruciate ligament-reconstructed patients. Lim BO, Shin HS, Lee YS.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15 Apr;23(4):1231-8. doi: 10.1007/s00167-014-2959-8. Epub 2014 Mar 26. PMID: 24667942.


Comparative gait analysis between children with autism and age-matched controls: analysis with temporal-spatial and foot pressure variables. Lim BO, O'Sullivan D, Choi BG, Kim MY. J Phys Ther Sci. 2016 Jan;28(1):286-92. doi: 10.1589/jpts.28.286. Epub 2016 Jan 30. PMID: 26957776 Free PMC article.


Effects of menarcheal age on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risk factors during single-legged drop landing in female artistic elite gymnasts. Kim KW, Lim BO. Arch Orthop Trauma Surg. 2014 Nov;134(11):1565-71. doi: 10.1007/s00402-014-2055-z. Epub 2014 Jul 24. PMID: 25055755.


Biomechanical evaluation of cross-pin versus interference screw tibial fixation using a soft-tissue graft during transtibial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Lee YS, Wang JH, Bae JH, Lim HC, Park JH, Ahn JH, Bae TS, Lim BO. Arthroscopy. 2009 Sep;25(9):989-95. doi: 10.1016/j.arthro.2009.02.006. Epub 2009 Aug 7. PMID: 19732637


Serial assessment of knee joint moments in posterior cruciate ligament and posterolateral corner reconstructed patients during a turn running task. Lee YS, Lim BO, Kim JG, Lee KK, Park HO, An KO, Ryew CC, Kim JH. Arch Orthop Trauma Surg. 2011 Mar;131(3):335-41. doi: 10.1007/s00402-010-1168-2. Epub 2010 Sep 18. PMID: 20853003.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neuromuscular training on the prevention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in female athletes. Yoo JH, Lim BO, Ha M, Lee SW, Oh SJ, Lee YS, Kim JG.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10 Jun;18(6):824-30. doi: 10.1007/s00167-009-0901-2. Epub 2009 Sep 4. PMID: 19760399.


Effects of sports injury prevention training on the biomechanical risk factor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in high school female basketball players. Lim BO, Lee YS, Kim JG, An KO, Yoo J, Kwon YH. Am J Sports Med. 2009 Sep;37(9):1728-34. doi: 10.1177/0363546509334220. Epub 2009 Jun 26. PMID: 19561174 Clinical Trial.


17. 국내 논문

정은교, 김성훈 & 임비오. (2023). 발레 무용수 발목 근력 불균형에 따른 운동 역학적 요인 분석. 체육과학연구, 34(1), 32-40.

김세희 & 임비오. (2022).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운동 중재 효과 크기 검증을 통한 운동프로그램 고찰.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ce(AJPESS), 10(6), 49-58.

장영록 & 임비오. (2022). 스쿼트와 데드리프트 연구 동향.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ce(AJPESS), 10(1), 83-92.

황보민지 & 임비오. (2021). 과체중 여성들의 드롭랜딩 후 수직점프 시 착지오류점수와 근 활성도를 통한 전방십자인대 부상 위험 요인 분석. 체육과학연구, 32(4), 455-463.

우진용 & 임비오. (2021). 내반슬 여성의 보행 시 발의 자세와 족저압력.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ce(AJPESS), 9(1), 89-98.

이동현 & 임비오. (2021). 야구 선수의 팔꿈치 내측측부인대 부상에 대한 트레이닝적 접근 : 총설 . Journal of Sport and Dance Science, 1(2), 71-79.

임비오. (2020). 홈 트레이닝: 스쿼트와 팔굽혀펴기 제대로 알고 운동효과 높이기. 스포츠과학, 151(-), 56-66.

김성훈, 변정균 & 임비오. (2020). 성별에 따른 무릎 전후방 십자인대 수술 유병률 추이. 대한스포츠의학회지, 38(3), 151-154.

임비오. (2020). 12주간의 수중운동프로그램이 퇴행성 관절염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ce(AJPESS), 8(4), 79-86.

황은미 & 임비오. (2020). 한국무용 큰받침뜀체 동작 시 하지의 근 활성도 분석.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ce(AJPESS), 8(2), 65-74.

김성규 & 임비오. (2020). 만성요통환자를 대상으로 운동치료 및 물리치료가 통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30(1), 63-72.

이건희 & 임비오. (2020). 배드민턴 백핸드 스트로크 타구 유형에 따른 위팔노근과 긴 노쪽 손목폄근의 근 활성도 분석. 대한스포츠의학회지, 38(1), 37-42.

임승택, 문정화, 이은재, 임비오 & 조지훈. (2020). 대학 야구선수들의 스포츠 손상 실태 조사: 파일럿 연구.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8(1), 65-71.

문정화, 조지훈, 임승택 & 임비오. (2019). Analysis of Landing Error Scoring System for Evaluating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isk Factors of Muscle Mass in Female.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21(3), 15-22.

김성훈, 임비오 & 안근옥. (2019). Associa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Handgrip Strength among Korean Elderly.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21(4), 16-21.

임비오. (2019). 건강 걷기. 스포츠과학, 147(-), 73-79.

이현빈 & 임비오. (2019). 축구장 그라운드 형태가 전진 사이드 스텝 시 하지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30(2), 251-257.

임비오. (2018). 휠체어 스포츠 경기력 향상을 위한 디자인 특성. 체육과학연구, 29(1), 1-13.

조지훈, 정진욱, 이기혁 & 임비오. (2018). 엘리트 펜싱선수의 드롭수직점프 시 전방십자인대 손상위험요인 평가를 위한 착지오류점수 분석. 대한스포츠의학회지, 36(3), 107-117.

조지훈, 임승택, 임비오 & 문정화. (2018). 여자 청소년 및 성인의 앞십자인대 위험요인 평가.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6(4), 455-460.

이해인 & 임비오. (2018). Effects of Self Myofascial Release, Elastic Band, and Stretching Exercises on Lower Extremity Alignment and Gait in Female Genu Varum. 한국운동역학회지, 28(4), 207-211.

정은교 & 임비오. (2018). 내반슬 여성의 스쿼트 운동 시 발의 위치가 동적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지, 36(4), 207-213.

이용로 & 임비오. (2017). 렛 풀 다운 운동 시 그립너비와 그립방향이 상지의 근육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28(3), 556-565.

임비오 & 조지훈. (2017). 여자 축구선수의 전방십자인대 위험요인 평가를 위한 착지오류점수와 하지경직과의 상관관계.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19(4), 57-63.

김미영 & 임비오. (2016). 파킨슨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12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이 동결보행 시 하지의 근육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0(4), 415-428.

임비오 & 강성선. (2016). 무릎 관절염 환자들의 수중운동 프로그램 효과 고찰. 한국체육과학회지, 25(3), 1507-1519.

김미영 & 임비오. (2016). Evaluation of Gait Assistive Devices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한국운동역학회지, 26(3), 309-314.

정지만 & 임비오. (2016). Analysis of Lower Extremity Joint Moment and Power during Squat in Female Patients with Genu Varum. 한국운동역학회지, 26(4), 407-412.

정지만 & 임비오. (2016). 내반슬 여성과 일반인 여성의 스쿼트 동작 시 하지 근육의 활성도 차이.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0(4), 387-397.

조지훈, 안근옥, 조은옥 & 임비오. (2015). 여자 발레무용수와 여자 축구선수의 드롭수직점프 시전방십자인대 부상위험요인 평가를 위한 착지오류점수 분석. 대한스포츠의학회지, 33(2), 88-95.

김창환, 김미영 & 임비오. (2015). 파킨슨 환자들의 질환등급, 균형, 낙상 및 보행능력 평가척도 고찰. 한국운동역학회지, 25(4), 441-451.

양창수 & 임비오. (2014). 팔의 위치가 한 발 드롭 착지 시 전방십자인대 부상위험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3(1), 441-449.

김영재 & 임비오. (2014). 게이트볼 골프형 스윙과 크로케형 스윙 시 허리 및 복부 근육 활동 비교. 한국체육학회지, 53(2), 523-530.

양창수 & 임비오. (2014). 여자 배구 선수들의 스파이크 도약 시 무릎보호대가 전방십자인대 부상위험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24(1), 27-33.

김미영, 김창환 & 임비오. (2014). 파킨슨 환자들의 12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이 동결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3(3), 739-747.

이준희 & 임비오. (2014). 자연과학편 : 생활체육 부상실태 조사를 통한 원인 규명 및 예방프로그램 개발. 한국체육학회지, 53(5), 533-542.

이계산 & 임비오. (2014). 여자 농구 선수들의 착지 유형이 전방십자인대 손상위험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24(4), 385-390.

김창환, 김미영, 문제헌 & 임비오. (2014). 파킨슨 환자들의 질병등급척도가 보행 시 하지의 근육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24(3), 287-293.

임비오, 양우영 & 최범권. (2013). 알파인 스키선수의 전방십자인대 손상 메케니즘: 단일사례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2(6), 557-562.

임비오, 류영 & 김규완. (2013). 여자 체조선수들의 드롭 랜딩 시 체조화 착용유무가 전방십자인대 부상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23(3), 219-223.

양창수 & 임비오. (2013). 파킨슨 환자의 재활훈련 프로그램이 보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52(3), 507-516.

김미영, 김창환 & 임비오. (2013). 파킨슨 환자들의 질병등급척도가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2(4), 545-552.

임비오, 김규완 & 서정석. (2012). 자연과학편 : 여자 체조선수들의 한 발 드롭 착지 시 무릎보호대가 전방십자인대 부상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1(4), 419-425.

양창수 & 임비오. (2012). 파킨슨 환자의 멈춤 보행 시 하지 근전도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22(3), 333-339.

임비오 & 최범권. (2012). 자폐성 장애아동의 달리기 동작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1(5), 689-695.

조지훈, 최범권, 안근옥 & 임비오. (2012). 자연과학편 : 척추관협착증 환자의 장애물 보행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1(6), 475-481.

권영후, 임비오 & 권문석. (2012). 최근 10년간 “체육과학연구”의 연구 동향: 운동역학. 체육과학연구, 23(2), 221-231.

김미영, 최범권 & 임비오. (2011). 자폐성 장애 아동의 시공간 및 압력분포 변인을 통한 장애물보행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21(4), 459-466.

박은정, 이용석, 임비오, 김용운 & 이기광. (2011). 여자 축구선수의 사이트 커팅 동작 시 방향 예측과 피로가 하지 관절의 부하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지, 29(1), 26-36.

최범권, 김미영 & 임비오. (2011). GAITRite 보행분석시스템을 이용한 다운증후군 아동의 보행특성 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9(4), 123-134.

김규완 & 임비오. (2011). 여성들의 나이가 한 발 드롭 착지 시 비접촉성 전방십자인대 부상 위험 요인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22(1), 1693-1700.

김미숙, 김미영 & 임비오. (2010). 동작치료가 여자대학생의 보행 시 어깨, 몸통 및 골반 자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9(1), 1097-1104.

임비오 & 김규완. (2010). 근력, 평형성, 보행 동작 훈련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보행 시 지면반력에 미치는 효과. 체육과학연구, 21(2), 1115-1122.

한기훈 & 임비오. (2009). 여자 선수들의 전방십자인대 부상원인과 위험요인.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11(3), 61-83.

임비오. (2009). 여자선수 무릎 전방십자인대 부상의 위험요인. 대한운동사협회 워크숍자료집, 27(-), 75-78.

김규완, 임비오, 유연주 & 최범권. (2009). 치기 활동 프로그램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T-bar 치기 활동 시 근육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8(5), 439-444.

임비오. (2009). 후방십자인대 손상 기전과 생체역학. 대한운동사협회 워크숍자료집, 26(-), 15-18.

임비오 & 최인애. (2009). 후방 십자인대 손상 기전과 생체역학.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11(1), 75-83.

임비오 & 김규완. (2009). 자연과학편 : 근력, 평형성, 보행 동작 훈련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보행 시 하지의 근육활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48(2), 467-474.

김규완 & 임비오. (2009). 스포츠손상예방훈련이 여자 고등학교 농구선수들의 리바운드 시 최대 무릎 신전모멘트와 외번모멘트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20(1), 1-9.

임비오, 김규완 & 유연주. (2009). 근력, 평형성, 보행 동작 훈련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보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운동역학회지, 19(1), 107-115.

최인애 & 임비오. (2009). 박스 드롭 찾지 시 남자와 여자 발레 무용수들의 하지의 생체역학적 요인의 차이. 한국운동역학회지, 19(4), 647-653.

유연주, 임비오, 김석범, 남기정, 최범권 & 김민회. (2008). 다운증후군 아동의 수직점프 동작 수행 시 지면반력과 근육활동의 규명. 한국운동역학회지, 18(1), 107-115.

김미영 & 임비오. (2008). 장애물 높이가 파킨슨 환자들의 장애물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18(2), 11-17.

임비오, 정철수, 신인식, 김석범, 남기정, 이상우 & 박용현. (2008). 스포츠상해 예방훈련이 여자고등학교 농구선수들의 리바운드 점프 후 착지 시 지면반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18(1), 31-38.

한기훈 & 임비오. (2008). 다운증후군 아동의 T-ball 스윙 시 근육활동 규명. 한국운동역학회지, 18(4), 143-149.

유연주 & 임비오. (2008). 파킨슨 환자의 일어서기 동작 향상을 위한 근육활동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7(1), 449-458.

유연주 & 임비오. (2008). 다운증후군 아동의 드롭랜딩 동작의 특성. 한국체육학회지, 47(3), 547-554.

임비오. (2008). 무릎 운동손상의 기능해부학. 대한운동사협회 운동사대회자료집, 2008(-), 333-342.

임비오. (2007). 자연과학편 : 무릎보호대가 여자농구 선수들이 리바운드 점프 후 착지할 때 무릎 신전모멘트와 외번모멘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6(4), 509-514.

임비오 & 박용현. (2007). 농구 리바운드 점프 후 착지 시 성별에 따른 무릎의 근신경 생체역학적 요인의 차이 규명. 한국운동역학회지, 17(3), 23-29.

임비오. (2007). 무릎보호대는 전십자인대 손상 재발을 감소시키는가?.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9(1), 103-109.

한기훈 & 임비오. (2007). 여자 고등학교 농구 선수들이 리바운드 점프 후 착지할 때 무릎보호대가 무릎의 근신경 생체역학적 변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운동역학회지, 17(4), 107-113.

임비오, 안승현, 이상우 & 도인영. (2007). 보행 시작과 멈추는 거리가 보행 변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17(1), 17-27.

임비오 & 김미영. (2007). 파킨슨 환자들의 장애물 보행 향상을 위한 하지의 근육 활동 규명. 한국운동역학회지, 17(4), 141-148.

유연주 & 임비오. (2007). 건강한 노인과 뇌졸중 노인의 일어서기 동작 수행 시 운동학적 특성 연구. 한국운동역학회지, 17(2), 103-112.

임비오, 최치선 & 최범권. (2007). 다운증후군 아동의 보행 향상을 위한 근육활동 규명. 체육과학연구, 18(1), 9-18.

임비오. (2006). 근력훈련이 다운증후군 청년이 무릎 관절 토크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16(4), 73-81.

임비오, 한동기, 서정석, 은선덕 & 권영후. (2006). 다운증후근 아동들의 보행 비대칭성 연구. 한국운동역학회지, 16(2), 145-151.

임비오 & 이기광. (2006). 농구용 휠체어의 캠버 및 핸드림 크기가 추진 동작의 운동학 및 효율에 미치는 효과. 체육과학연구, 17(4), 58-69.

임비오, 윤재만, 정철수, 신인식 & 권영후. (2006). 근력훈련이 다운증후군 청년의 발목 관절에 작용하는 회전력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17(3), 13-22.

임비오 & 한동기. (2006). 근력훈련이 다운증후군 청년의 엉덩 관절 토크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4(4), 177-195.

임비오, 윤재만, 정철수, 신인식 & 권영후. (2006). 국제학술대회 & 아시아운동역학회 창립총회 논문집 : 근력훈련이 다운증후군의 발목 관절에 작용하는 회전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06(-), 173-183.

임비오. (2006). 여자 선수들의 전십자인대 손상 예방프로그램.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8(2), 113-127.

임비오. (2006). 근력훈련이 다운증후군 청년의 무릎 관절 토크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16(4), 73-82.

문영진, 이순호 & 임비오. (2006). 역도 인상동작 수행시 바벨 증가에 따른 EMG 경향성에 대한 연구. 한국운동역학회지, 16(4), 1-12.

임비오, 한동기, 서정석, 은선덕 & 권영후. (2006). 다운증후군 아동들의 보행 비대칭성 연구. 한국운동역학회지, 16(2), 145-152.

임비오. (2005). 다운증후군 아동의 평지 보행과 장애물 보행의 운동학 및 지면반력의 차이 규명. 체육과학연구, 16(4), 51-59.

전병환 & 임비오. (2004). 최대하 운동부하 검사 시 농구용 휠체어의 캠버와 핸드림 크기가 에너지 대사 및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13(1), 125-135.

임비오. (2004). 운동역학 : 트레드밀 상에서 휠체어 추진시 속도 변화에 따른 추진 기술의 차이 규명. 한국체육학회지, 43(2), 569-574.

신인식 & 임비오. (2004). 축구 경기에서 승리확률을 높이기 위한 기술 및 전술 요인 분석. 체육과학연구, 15(2), 1-9.

임비오. (2003). 스포츠기술과 건강 : 휠체어 디자인 특성에 따른 효율의 차이 규명. 한국운동역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03(-), 13-23.

임비오, 문영진 & 은선덕. (2003). 휠체어 디자인 특성에 따른 효율의 차이 규명. 한국운동역학회지, 13(1), 109-119.

임비오, 한동기 & 서정석. (2003). 운동역학 : 근력훈련이 다운증후군 청소년의 지면반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2(3), 735-742.

임비오 & 한동기. (2002). 근력 훈련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지면반력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12(2), 1-16.

임비오, 유연주, & 서정석 (2002). 포지션별 농구용 휠체어가 추진동작에 미치는 효과. 한국운동역학회지, 12(2), 215-227.

임비오 & 윤재만. (2002). 운동역학 : 축구 인사이드 페널티 킥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1(4), 541-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