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FriedC/노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노잉
Knowing
감독알렉스 프로야스
각본원안:
라인 더글러스 피어슨
각본:
라인 더글러스 피어슨
알렉스 프로야스
스튜어트 헤이즐다인
줄리엣 스노우든
스틸즈 화이트
제작토드 블랙
제이슨 블루멘달
스티브 티쉬
촬영시몬 더건
편집리처드 리어로이드
음악마르코 벨트라미
배급사서밋 엔터테인먼트
개봉일2009년 3월 20일
시간121분
국가미국
언어영어
제작비50,000,000 달러[1]
흥행수익93,038,353 달러[2]

《노잉》(Knowing)은 알렉스 프로야스가 감독하고 니콜라스 케이지가 주연한 2009년 SF 영화이다. 이 프로젝트는 원래 콜럼비아 픽처스의 감독들이 맡고 있었으나, 턴어라운드를 통해서 이스케이프 아티스트가 맡게 되었다. 서밋 엔터테인먼트가 제작을 후원하였다. 노잉은 호주 멜버른에서 촬영되었으며, 여러 장소들을 영화의 배경인 미국 보스턴과 비슷하게 보이도록 묘사하였다. 영화는 2009년 3월 20일 미국과 캐나다에서 개봉하였다.

Plot[편집]

1959년, 메사추세츠 렉싱턴의 윌리엄 도스 초등학교에서는 개교기념일을 맞아 학생들이 그린 미래의 모습을 타임 캡슐에 담아 묻고, 50년 후에 열어보기로 한다. 다른 아이들이 그림을 그리는데 반해, 루신다 앰브리라는 소녀는 자신의 종이에 의미 불명의 숫자들을 선생님이 가져갈 때까지 빽빽하게 가득 써내려 간다. 타임 캡슐을 묻은 날 밤, 루신다는 학교 체육관 벽장에서 손가락에 피를 흘린 채로 자신에게 들려오는 목소리를 두려워하는 모습으로 발견된다.

그로부터 50년 뒤인 2009년, 학교의 타임 캡슐이 열리고 그림들을 현재의 아이들에게 나누어준다. 캐일럽이라는 소년은 루신다의 봉투를 받게 된다. MIT 천체물리학 교수인 그의 홀아버지 존 커슬러는 그 종이를 보게 되고, 우연한 계기로 종이에 쓰여진 숫자들을 알아본 결과 그것들이 순서대로 지난 50년간의 주요 재해들의 날짜와 사망자 수를 가리키고 있다는 사실과 아직 3개의 재앙이 남아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 사이 캐일럽은 외투를 입은 불가사의한 사람들의 방문을 받게 되고, 그때마다 그들이 자신의 머리 속으로 속삭이는 소리를 듣게 된다.

교통 체증에 막혀있던 존은 비행기가 길 너머로 추락하는 것을 목격하고, 이것이 예언된 날짜, 사망자 숫자와 일치하는 것을 알게 된다. 또, 종이에서 알 수 없었던 나머지 숫자들이 재해가 일어나는 지도 좌표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한다. 존은 50년 전의 루신다의 선생님을 찾아가 루신다의 숨겨진 이야기를 듣게 되고, 약물 과다 복용으로 죽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존은 루신다의 딸인 다이애나 웨이랜드를 만나 루신다의 종이에 대해서 언급하지만 다이애나는 협조를 강하게 거부한다. 하지만 존이 종이를 토대로 예언했던 사고 (맨해튼 지하철 충돌, 존이 막고자 했지만 실패한다)가 현실로 일어나자, 다이애나는 그에게 찾아가 어머니가 자신의 죽을 날을 예언했었다고 밝힌다. 존은 종이에 마지막으로 쓰인 날짜가 다이애나가 죽는 날이라는 것과, 그날 33명이 죽을 것이라는 예언을 확인하지만, 좌표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그들은 루신다의 오래된 이동 주택을 조사한다. 다이애나는 자신의 어머니가 그곳으로 옮겨갔을 때 그곳에 있으면 안전할 것이라는 말을 했다고 전한다. 다이애나는 어머니가 그 주택에 있는 메리안의 목판화인 에스겔의 메르카바를 뚫어지게 볼 때가 많았다고 언급하고, 애비가 루신다처럼 글자를 뒤집어쓸 때가 있다고 말한다. 다이애나와 존은 종이에 적혀있던 마지막 숫자 '33'이 사실 'ƎƎ' ('EE'를 뒤집은 것)였으며, 이것이 '전 인류' (Everyone Else)를 뜻한다는 것을 알고 경악한다. 한편 집 밖의 숲에서 존은 캐일럽에게 나타났던 정체불명의 이방인과 대면하게 되고, 이방인은 강렬한 빛과 함께 사라진다. 이 사건으로 애비 또한 이방인들의 기분 나쁜 속삭임을 들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존과 동료 교수는 강력한 태양 폭풍이 지구에 도달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하고, 루신다의 종이에 쓰여진 마지막 재앙이 결국 전 세계적인 규모로 벌어질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루신다가 어렸을 때 그랬던 것처럼, 정신을 잃은 캐일럽은 종이에 숫자들을 적기 시작하고, 존이 그것을 빼앗자 손톱으로 책상에 계속해서 쓰려고 한다. 이것을 본 존은 루신다가 숨어있었던 학교 체육관 벽장 문을 가져오고, 이 문에 쓰여진 숫자가 좌표였음을 깨닫는다. 숫자들은 루신다의 오래된 이동 주택을 가리키고 있었고, 존은 이곳이 임박한 재앙으로부터 어떻게 해서든 피할 수 있는 곳이라고 추정한다. 동굴로 피하자고 제안한 다이애나는 존의 말을 믿지 않고 애비와 캐일럽을 데리고 동굴이 있는 곳으로 간다. 태양 폭풍이 공식적으로 뉴스에 보도되어 혼란이 증폭되었을 때, 이방인들은 다이애나의 차로 캐일럽과 애비를 태우고 사라진다. 다이애나는 다른 차를 타고 추격하지만 트럭에 치이게 되고, 정확히 어머니가 예언했던 날짜에 죽게 된다.

루신다의 이동 주택에서, 존은 아이들이 네 명의 이방인과 함께 있는 것을 발견한다. 하늘에서 빛나는 거대한 우주선이 내려오자, 이방인들은 인간의 모습을 벗고 빛으로 둘러싸인 반투명한 형상을 드러낸다. 캐일럽은 존에게 선택된 자들만 이방인들과 함께 지구를 떠날 수 있다고 말한다. 존은 망설이는 캐일럽에게 이방인들을 따라가서 애비를 잘 보살펴주라고 설득한다. 우주선이 두 아이를 데리고 떠나자 존은 주저앉아 흐느껴 운다. 우주에서는, 다른 우주선들 또한 모두 지구를 떠나는 모습이 보인다. 존은 보스턴으로 돌아가 여동생과 부모님을 찾아간다. 아내의 죽음으로 종교를 멀리하였던 존은 그동안 만나지 않았던 목사 아버지에게 아들 캐일럽에게 했던 말처럼, 자신의 죽은 아내를 포함하여 가족 모두가 영원히 함께 할 것이라는 것을 믿게 되었다고 말한다. 존과 가족들은 서로를 껴안고, 태양 폭풍이 지구를 휩쓸어 모든 생명을 태운다. 한편 알 수 없는 어느 곳에서는, 캐일럽과 애비가 지구와는 다른 공간에 착륙하게 된다. 두 아이가 홀로 서 있는 빛나는 나무로 달려가는 것으로 영화는 끝나게 된다.

Production[편집]

노잉은 본래 소설가 라인 더글라스 피어슨이 원안을 썼으며, 콜럼비아 픽처스에서 프로젝트를 계획했다. 로드 루리리처드 켈리가 감독으로 참여할 예정이었지만, 계획이 다른 제작사로 팔리게 된다. 프로젝트는 제작사인 이스케이프 아티스트가 맡게 되었으며, 각본은 스틸즈 화이트와 줄리엣 스노우든이 다시 쓰게 된다. 2005년 2월에는 알렉스 프로야스 감독이 프로젝트를 감독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3] 영화의 재정 지원과 배급은 서밋 엔터테인먼트가 맡게 되었다. 프로야스와 스튜어트 헤이즐다인은 제작을 위한 초안을 수정하여,[4] 2008년 25일 멜버른에서 촬영을 시작하였다.[5] 감독은 영화가 《엑소시스트》와 같이 감성을 확 건드리면서 지나치게 꾸민 느낌이 나지 않기를 원했다고 언급하였다.[6]

영화의 배경 설정은 미국의 도시 보스턴으로, 영화 제작자는 질롱 링 로드, 멜버른 박물관, 마세돈 산, 콜린스 스트리트 등의 오스트레일리아의 장소들을 활용하였다.[1] 촬영 장소에는 캠버웰 고등학교도 사용되었는데, 1959년 경의 보스턴으로 설정된 윌리엄 도스 초등학교로 개조되었다.[7] 오스트레일리아 싱크로트론의 실내는 관측소로 표현되었으며,[8][9] 메사추세츠 웨스트폴드의 헤어스택 관측소도 촬영 장소로 이용되었다.[10] 현실적인 In addition to practical locations, filming also took place at the Melbourne Central City Studios in Docklands.[11]

Proyas used a Red One digital camera, making the film the first time the director used digital cameras.[12] He sought to capture a gritty and realistic look to the film, and his approach involved a continuous two-minute take in which Cage's character sees a plane crash and attempts to rescue passengers. The take was an arduous task, taking two days to set up and two days to shoot. Proyas explained the goal, "I did that specifically to not let the artifice of visual effects and all the cuts and stuff we can do, get in the way of the emotion of the scene."[13]

캐스팅[편집]

Critical reception[편집]

로튼 토마토에서 143명의 비평가 중에서 34%가 영화에 대해 긍정적 평가를 내렸고, 평균 점수 4.7/10을 받았다.[14] 메타크리틱에서 100의 표준 점수를 기준으로 주요 평론가들의 리뷰를 조사한 결과, 27개의 리뷰로부터 평균 점수 100의 41을 받았다.[15] 총의를 통해서 모아진 평가는 "흥미로운 아이디어와 멋진 장면의 결합", "엉성한 줄거리와 지나친 진지함"으로 나타났다.[14]

뉴욕 타임즈A. O. 스캇은 "이 영화의 지루하고 비틀거리는 상영시간 2시간은 관객들로 하여금 차라리 빨리 세상이 멸망하는 편이 낫겠다고 생각하게 만들 것"이라고 평했다.[16]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의 피터 하트라웁은 "프로야스의 팬들에게 실망을 안겨주는 작품", "수많은 아이디어들을 가지고 있지만, 적절히 표현하지 못한 영화"라고 평했다. 니콜라스 케이지에 대해서는 "대본은 그를 조금씩 현실 도피를 하는 격앙된 자로 만들어 우스움의 경계에 서있게 한다."고 평했다.[17]

워싱턴 포스트의 미첼 O'설리반은 Writing for the Washington Post, Michael O'Sullivan thought the film was "creepy, at least for the first two-thirds or so, in a moderately satisfying, if predictable, way ... But the narrative corner into which this movie... paints itself is a simultaneously silly and morbidly depressing one. Well before the film neared its by turns dismal and ditzy conclusion, I found myself knowing — yet hardly able to believe — what was about to happen."[18] Betsy Sharkey of the Los Angeles Times found it to be "moody and sometimes ideologically provocative" and added, "Knowing has its grim moments — and by that I mean the sort of cringe- (or laugh-) inducing lines of dialogue that have haunted disaster films through the ages ... So visually arresting are the images that watching a deconstructing airliner or subway train becomes more mesmerizing than horrifying."[19]

Roger Ebert was enthusiastic about the film, rating it four stars and ranking it "among the best science-fiction films I've seen — frightening, suspenseful, intelligent and, when it needs to be, rather awesome" in the Chicago Sun-Times. He continued, "With expert and confident storytelling, Proyas strings together events that keep tension at a high pitch all through the film. Even a few quiet, human moments have something coiling beneath. Pluck this movie, and it vibrates."[20]

Box office[편집]

Knowing was released in 3,332 theater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on March 20, 2009 and grossed $24,604,751 in its opening weekend,[2] placing first at the box office.[21] According to exit polling, 63% of the audience was 25 years old and up and evenly split between genders.[22] On the weekend of March 17, 2009, Knowing ranked first in the international box office, grossing $9.8 million at 1,711 theaters in ten markets, including first with $3.55 million in the United Kingdom.[23] As of April 10, 2009, the film had grossed $60,419,393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and $25,032,353 in other territories for a worldwide total of $85,451,746.[2]

References[편집]

  1. Ziffer, Daniel (April 7, 2008). “Night at the museum”. 《The Age. May 21, 2008에 확인함. 
  2. “Knowing (2009)”. 《Box Office Mojo. April 10, 2009에 확인함. 
  3. Laporte, Nicole (February 16, 2005). “Proyas digs 'Knowing' gig”. 《Variety. May 20, 2008에 확인함. 
  4. Fleming, Michael (December 10, 2007). “Cage to star in Proyas' 'Knowing'. 《Variety. May 21, 2008에 확인함. 
  5. “Byrne Set for Sci-Fi Thriller Knowing”. 《VFXWorld.com》 (Animation World Network). March 4, 2008. May 21, 2008에 확인함. 
  6. Vejvoda, Jim (July 24, 2008). “SDCC 08: Knowing When to Push”. 《IGN. November 26, 2008에 확인함. 
  7. Metlikovec, Jane (March 30, 2008). “Nicolas Cage goes back to school”. 《Herald Sun. May 21, 2008에 확인함. 
  8. Bernecich, Adrian (October 28, 2008). “Powerhouse for research”. 《Waverly Gazette》. 
  9. “International Film Shot at Australian Synchrotron” (PDF). 《Lightspeed》 (Australian Synchrotron Company, Ltd). April 1, 2008. August 29, 2008에 확인함. 
  10. Minch, Jack (September 23, 2008). “Hollywood coming to Westford”. 《The Sun》. 
  11. Wigney, James (April 27, 2008). “Nicolas's golden cage an empty shell”. 《Herald Sun. May 21, 2008에 확인함. 
  12. Fischer, Paul (August 6, 2008). “SDCC Interview: Alex Proyas for Knowing. 《Dark Horizons. December 13, 2008에 확인함. 
  13. Minnick, Remy (August 12, 2008). “Alex Proyas: And Knowing Is Half The Battle”. 《Comic Book Resources. November 26, 2008에 확인함. 
  14. “Knowing Movie Reviews”. 《Rotten Tomatoes》. IGN Entertainment, Inc. April 10, 2009에 확인함. 
  15. “Knowing (2009): Reviews”. 《Metacritic》. CNET Networks, Inc. April 10, 2009에 확인함. 
  16. Scott, A. O. (March 20, 2009). “Extinction Looms! Stop the Aliens!”. 《The New York Times. March 31, 2009에 확인함. 
  17. Hartlaub, Peter (March 20, 2009). “Movie review: 'Knowing' funny for a thriller”. 《San Francisco Chronicle. March 31, 2009에 확인함. 
  18. O'Sullivan, Michael (March 20, 2009). “Few Surprises in 'Knowing'. 《The Washington Post. March 31, 2009에 확인함. 
  19. Sharkey, Betsy (March 20, 2009). “Review: 'Knowing'. 《Los Angeles Times. March 31, 2009에 확인함. 
  20. Ebert, Roger (March 18, 2009). “Knowing”. 《Chicago Sun-Times. March 31, 2009에 확인함. 
  21. McClintock, Pamela (March 22, 2009). 'Knowing' tops weekend box office”. 《Variety. March 22, 2009에 확인함. 
  22. Gray, Brandon (March 23, 2009). “Weekend Report: ‘Knowing’ Digs Up the Digits”. 《Box Office Mojo. April 5, 2009에 확인함. 
  23. McNary, Dave (March 29, 2009). 'Knowing' tops foreign box office”. 《Variety. March 30, 2009에 확인함. 

External links[편집]

이전
Race to Witch Mountain
Box office number-one films of 2009 (USA)
March 22, 2009
이후
Monsters vs. Aliens
이전
Marley & Me
Box office number-one films of 2009 (UK)
March 29, 2009

틀:Alex Proy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