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Dlcndgus/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날개견갑골(Winged Scapula)[편집]

1. 개요[편집]

날개견갑골(scapula alata)은 어깨 뼈가 등 뒤의 비정상적 위치로 튀어 나온 골격계의 상태이다. 드물게는 연접한 상지의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당기고 미는 능력을 감쇄시킬 수 있습니다. 심각한 경우에는 옷을 입거나 씻는 등의 일상 생활 활동을 방해 할 수 있습니다. 이 병리적 상태의 이름은 뒤에서 보았을 때 튀어 나와있는 견갑골의 내측 경계의 모양이 날개를 닮아 붙여졌습니다. 견갑골 익상충돌은 견갑 및 상완의 리듬을 붕괴시켜 상지의 굴곡(Flexion)과 외전(Abduction)의 감소뿐만 아니라 힘의 상실과 상당한 통증의 원인이 됩니다. 예외로 날개 견갑골은 어린 아이들에서는 정상적인 자세로 간주됩니다.

2. 증상[편집]

날개 견갑골의 증상은 영향을 받은 근육 및 신경뿐만 아니라 개인에 따라 다양합니다. 공통적인 특징으로는 모든 경우에 통증은 보이지 않는데, 얼굴, 어깨뼈 부위 근 위축증(Facioscapulohumeral)을 가진 13 명의 개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개인 중 누구도 통증에 대해 불평하지 않았습니다. 또 공통적으로 피로감이 발생하며 일상 생활에서의 활동에서 지장이 있었습니다. 날개 견갑골의 대부분의 경우에서는 전방 연골에 손상 등의 변형이 일어납니다. 앞 톱니근(Serratus anterior)은 견갑골의 내측 앞면에 부착되며, 견갑골을 흉곽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팔을 머리 위로 드는 동작은 이 근육이 수축으로 일어납니다. 긴 흉부 신경(Long Thoracic Nerve)이 이 근육을 지배하는데. 이 신경의 손상 또는 충돌이 해당 근육의 약화 또는 마비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견갑골이 흉곽에서 빠져 나와 허리에 날개 모양이 나타납니다. 이 특성은 환자가 팔을 드는 등의 운동을 할때 두드러집니다 .

3. 원인[편집]

날개 견갑골의 가장 흔한 원인은 앞 톱니근의 마비(Serratus anterior paralysis)입니다. 대표적인 원인은 이 근육을 지배하는 긴 흉부 신경(Long Thoracic Nerve)에 손상입니다. 긴 흉부 신경 손상 원인으로는 외상 (예 : 목이나 어깨에 타격, 어깨의 갑작스런 충격, 목과 어깨의 비정상적인 비틀림), 반복적 인 움직임(역도 같은 운동에서 자주 관찰), 끈에 의한 어깨 부분의 과도한 압박 (배낭 마비 참조) 및 다양한 가사 활동 (예 : 원예, 세차, 머리 숙임 등)들이 있으며, 때로는 신체의 다른 구조물, 예를 들어 염증이 있거나 커진 오훼골(coracoid process) 또는 견갑 아래 활액낭(bursa)이 신경을 압박할 수 있습니다. 임상 치료시에도 긴 흉부 신경 손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과도한 어깨 조작, 겨드랑이 절개를 동반 한 유방 절제술, 기흉의 수술적 치료, 다양한 임상적 치료를 위한 전신 마취, 전기 충격 등) 긴 흉부 신경에 대한 비 외상성 손상에는 바이러스성 질병 (예 : 인플루엔자, 편도선 - 기관지염, 소아마비), 알레르기 - 약물 반응, 약물 과다 복용, 독성 노출 (예 : 제초제, 파상풍)과 같은 원인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습니다. C7 신경근 병증 (radiculopathy), 대동맥 축착 (a coarctation of the aorta)의 원인도 있을 수 있습니다.

4. 진단[편집]

진단시에는 골절과 같은 부작용이 없게 목, 가슴, 어깨 및 흉부 입구에 대한 방사선 촬영을하는 것이 좋습니다. 컴퓨터 단층 촬영 (CT)이나 자기 공명 영상 (MRI)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지만 신경 섬유종증 관련 질병, 추간판 질환, 근미 신경 병증 및 종양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특정 진단을 배제하는 데 유용 할 수 있습니다.

5. 치료[편집]

날개 견갑골은 다양한 분류가 있으며, 여러 가지 치료 방법이 있습니다. 앞 톱니근은 견갑골을 갈비뼈 가까이에 잡아주고 있기 때문에 특히 이 근육에 대한 강도 훈련을 권하고 있습니다. 더 심한 경우에는 물리 치료가 관련 근육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오목위팔관절(glenohumeral joint) 근육의 약화가있는 경우에는 물리 치료를 하지만 근육이 수축되지 않고 3-6 개월 이상 증상이 계속되면 수술을 하게됩니다. 이외에도 신경 적출 (chordotomy), 늑간 신경 전달, 흉막 관절 융합, 관절 고정술 (scapulodesis) 또는 관절 고정술 (scapulopexy)등의 치료방법이 있습니다.

6. 역학[편집]

날개 달린 견갑골 질환은 드뭅니다. electromyographical laboratory에서는 7,000 명의 환자 중 15명이 보고되었고 Overpeck and Ghormley에서는 Mayo Clinic에서 관찰 된 38,500 명의 환자 중 단 한 사례 만이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