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Basama84/Rape culture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구 100,000명당 경찰에 보고된 강간율(2010-2012)

페미니즘 이론에서 강간 문화는 젠더와 생물학적 성에 대한 사회적 태도 때문에 강간이 만연해있고 탈정상적인 사건으로 여겨지지 않는 사회에서 형성된다고 본다. 페미니스트들은 학술적 접근을 통해 강간 문화를 사회학적 문제로 연구하고 있다. 무엇이 강간 문화인가 및 해당 사회에서 보여주는 성향이 강간 문화에 준하는가의 문제에는 의견의 불일치가 존재한다.


강간 문화와 흔하게 결부되어 나타나는 행동들은 다음과 같다 : 피해자 비난하기, 성적 대상화, 강간 사건의 중요성을 축소하기, 만연한 강간을 인정하지 않기, 성폭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에 대해 알려고 하지 않기, 혹은 앞에 언급된 행동 중 일부를 하기. 강간 문화라는 개념은 교도소 내 강간 혹은 분쟁 지역에서 전시 강간을 심리전의 일부로 이용하는 현상 등을 묘사하고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존재하는 모든 사회는 강간 문화의 혐의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강간 문화가 여타 사회적 요소와 사회적 행동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는 증거들이 있다. 강간에 대한 잘못된 믿음들, 피해자 비난하기, 강간 사건의 중요성을 축소하기 등의 행동은 분명히 인종주의, 성차별주의, 호모포비아, 노인 차별, 계급 차별, 종교적 불관용 및 여타 차별과 결부되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기원 및 사용[편집]

"강간 문화"라는 개념은 제2차 여성주의 물결에 의해 1970년대 미국에서 처음으로 생겨나 당대의 미국 문화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1970년대에, 제2차 여성주의 물결은 만연된 강간에 대해 대중을 교육시키도록 기획된 의식고양운동을 시작하였다. 캐나다의 심리학 교수 알렉산드라 루더포드에 의하면 그 이전의 미국인들은 강간, 근친, 아내를 폭행하는 일은 현실에서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고 생각했었다. 강간 문화라는 개념은 강간이 미국 문화에서 흔하고 자연스러운 일임을, 또한 강간이야말로 사회에 만연한 여성혐오와 성차별주의의 극단적인 현현이라 주장하였다.

강간 문화라는 개념이 나타난 첫번째 출판물은 노린 코넬과 카산드라 윌슨이 "뉴욕 래디컬 페미니스트" 단체에서 펴낸 <강간 : 여성을 위한 첫 사례집>(1974)이다. 책에서 뉴욕 래디컬 페미니스트는 "우리의 궁극적인 목표는 강간을 제거하는 것이며, 이 목표는 우리 사회의 혁명적인 변화 없이는 결코 가능하지 않다." 라고 썼다. 이 책은 수잔 브라운밀러의 1975년작 <우리의 의지에 반해서 : 남자, 여자, 그리고 강간>과 함께 강간에 대한 1인칭 시점의 서술을 포함한 초기작 중 하나다. 저자들은 당시의 일반적인 믿음과 달리 강간은 훨씬 흔히 일어나는 범죄임을 보여주고자 했다. 뉴욕 래디컬 페미니스트의 일원인 브라운밀러는 학계와 일반 대중 모두 강간의 존재를 무시한다고 주장했다. 그녀의 책 <우리의 의지에 반해서>는 페미니즘과 성폭력 문제에 대한 이정표적 저작이며, 현대의 강간 연구에 학문적 주춧돌 역할을 하고 있다.

사회학 교수 조이스 E.윌리엄스는 "강간 문화"의 기원과 첫번째 사용을 추적한 결과 1975년작 다큐멘터리 <강간 문화>를 발견했다. 이 다큐멘터리는 마가렛 라자루스와 레너 분더리히가 감독하고 캠브리지 다큐멘터리 필름에서 제작하였다. 윌리엄스는 이 다큐멘터리에서 처음으로 강간 문화라는 개념이 정의되었다고 말한다. 이 다큐멘터리는 강간을 정상시하는 커다란 문화적 맥락 안에서 남성과 여성의 강간 문제를 다룬다. 이 다큐는 워싱턴 D.C.의 비영리단체 DC 강간 위기 센터,  Prisoners Against Rape. Inc.와 같은 단체들, 페미니스트 철학자이자 이론가인 마리 달리, 작가 에밀리 컬페퍼와 같은 주요한 반-강간 활동가들의 활동 성과를 담고 있다. 이 다큐는 매스미디어와 대중 문화가 어떻게 강간에 대한 잘못된 태도를 영속시키는지를 보여준다. 

1992년, "강간과 성폭력에 대한 페미니즘적 재정의 : 역사적 기반과 변화" 라는 제목을 단 저널에서 패트리샤 도나트와 존 D'에밀리오는 강간 문화라는 개념이 브라운밀러의 저작에 나오는 "강간-친화적 문화"에서 연유한다고 썼다. 1970년대 중반 강간 문화라는 개념은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에서 점점 폭넓게 쓰이기 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