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2020080184 김연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솔알락명나방
솔알락명나방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절지동물문
강: 곤충강
목: 나비목
과: 명나방과
속: Dioryctria
학명
Dioryctria abietella
[출처 필요]

솔알락명나방[편집]

솔알락명나방은 나비목 명나방과의 곤충이다. 학명은 Dioryctria abietella 이다. 기주식물은 잣나무, 소나무류 구과, 새가지이고 주로 한국, 일본, 러시아(시베리아), 유럽에 분포한다.

피해양상[편집]

주로 잣송이(구과)를 가해하여 잣 수확을 감소시키며 구과 속의 가해부위에 벌레 똥을 채워 놓고 외부로도 똥을 배출하여 구과 표면에 붙여 놓는다. 또한 신초에도 피해를 준다.

형태적 특징[편집]

- 성충의 몸길이는 25mm 내외이고 황갈색~적갈색 띠가 있다.

- 유충의 몸길이는 18mm 정도이고 머리는 다갈색, 몸은 황갈색이다.

- 성충의 앞날개 길이는 11∼12mm이고, 체색은 황갈색∼적갈색을 띤다.

- 유충의 몸길이는 22mm 정도이고 머리는 다갈색이며 몸은 황갈색이다.

생태(발생경과)[편집]

유충 - 크기는 18mm 내외로 노숙의 형태

- 유충 기간은 250일 내외이고 주로 6월 하순~ 8월 중순에 잣송이 내부를 가해

- 잣 구과당 유충 수는 4마리 내외이고 구과 내 가해기간은 40일 정도임

성충 - 크기는 25mm 내외

- 우화시기는 5월 하순~ 7월 하순이나 90% 정도가 6월에 우화하여 산란

- 암컷 1마리가 평균 100개의 알을 구과의 인편 사이에 한 개씩 산란하며 알 기간은 12일 정도임

- 크기는 0.9mm 내외

- 6월 상순~ 7월 하순에 산란

번데기 - 크기는 10mm 내외

- 용화기는 5월~ 6월이고 용기간은 약 10일 내외

월동[편집]

보통 1년에 1회 발생하고 노숙유충의 형태로 땅 속에서 월동하는 것과 알이나 어린 유충의 형태로 구과에서 월동하는 것이 있다.

8~9월에 노숙한 유충은 토양 속에 고치를 짓고 월동하나 7월 이후에 우화하여 산란한 것은 알 또는 어린 유충으로 구과에서 월동한다.

또한 유충은 지표면의 낙엽 밑에서 월동한다.

방제방법[편집]

화학적 방제 - 성충 발생기인 6월에 페니트로티온 유제(50%) 6,000배액을 수관 살포

- 우화기나 산란기인 6월~ 8월에 지효성이며 저독성인 트리플루뮤론 수화제나 클로르플루아주론 유제 5%를 2회 정도 수관 살포

생물적 방제 - 포식성 천적인 풀잠자리류, 무당벌레류, 거미류 등을 보호

- 기생성 천적인 좀벌류, 맵시벌류, 알좀벌류 등을 보호

물리적 방제 - 구과를 탈각할 때 구과 내부에 들어있는 유충을 모아 잡아 죽임

각주(출처)[편집]

[1] 산림조합중앙회: http://iforest.nfcf.or.kr/forest/user.tdfa=common.HtmlApp&c=3001&d=&page=/cyber/information/Tree0611.html&mc=CYB_FIF_NMJ_ZYB_11

[2] 산림청: https://www.forest.go.kr/kfsweb/mer/fip/dbhis/selectInsectDetail.do?dbhisIdno=19&dbhisTpcd=20&searchCnd=&searchWrd=&pageIndex=1&orgId=&mn=NKFS_02_02_02_02_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