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2020012005 손세진/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참나무재주나방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Animalia
문: 절지동물문 Arthropoda
강: 곤충강 Insecta
목: 나비목 Lepidoptera
과: 재주나방과 Notodontidae
속: 배얼룩재주나방속 Phalera
학명
Phalera assimilis
Bremer et Grey, 1852

참나무재주나방의 학명은 Phalera assimilis이다.

이전에는 하늘나방으로 불렸으나 현재는 재주나방으로 불린다.[1]

우리나라 전역과 러시아(아무르, 연해주), 중국(북부, 중부, 남부, 타이완), 일본(오키나와를 제외한 전역) 등에 분포한다.[2]

형태[편집]

성충의 날개 편 길이는 수컷이 60mm, 암컷이 70mm 정도이다.[1]

수컷의 더듬이는 갈색 실 모양으로 잔털이 많으며, 암컷은 섬모상이다.[1]

아랫입술수염은 아주 짧으며, 앞날개의 바탕색은 암회갈색이고 시정 부근에 황백색의 큰 무늬가 있다.[2]

아기선과 내횡선은 암갈색으로 선명하다.[2]

콩팥 모양 무늬는 백색 바탕으로 중앙에 암갈색 선이 분명하다.[2]

뒷날개도 여린 암갈색을 띠는데 외연은 적갈색 기운이 감돈다.[2]

생활사[편집]

주로 참나무과 식물에 기주한다.[2] 연 1회 발생하며 땅속에서 번데기 상태로 월동한다.[1] 6∼8월에 성충이 나타나 잎 뒷면에 무더기로 알을 낳는다.[1] 유충은 7∼10월에 볼 수 있으나 보통 8월 중순∼9월 중순이 최성기이다.[1] 노숙한 유충은 땅으로 내려와 흙 속으로 들어가 번데기가 된다.[1]

피해양상[편집]

해에 따라 돌발적으로 대발생하여 피해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1]

유충이 모여 살면서 한 가지씩 잎을 모조리 식해한다.[1]

먹이식물로는 떡갈나무·신갈나무·졸참나무·갈참나무·밤나무 등이 알려져 있다.[3]

방제법[편집]

화학적 방제

- 농약을 이용해 방제한다.[2]

생물적 방제

- 기생성 천적인 알좀벌류, 기생봉류, 맵시벌류, 기생파리류 등을 보호한다.[2]

- 포식성 천적인 무당벌레류, 거미류, 풀잠자리류 등을 보호한다.[2]

경종적 방제

- 임지에서는 방제할 정도의 피해가 아니면 방제하지 아니한다.[2]

물리적 방제

- 유충이 무더기로 생활하므로 피해엽을 제거하여 소각한다.[2]

각주[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