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TTT../잡담보존문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개신교[편집]

도대체 몇번째인지는 모르겠지만, '성경공부 해볼 생각이 있느냐', '교회 다니지 않겠느냐'하는 말을 지나가다가 들은 적이 지겹도록 많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전 개인적으로 그쪽으로는 그닥 호감이 안가더군요. 그런데 개혁주의 논쟁을 보니 참 답답하기 그지 없습니다. 여기는 개신교도들의 위키백과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위키백과입니다. 저같이 생각하는 사람이 많아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1995년부터 2005년까지 불교가 4.0%(1032만→1073만), 가톨릭이 78%(295만→514만) 성장 할 동안 개신교는 오히려 1.8%(876만→860만) 감소하였습니다.(서울대학교 종교학과 교수님에 따르면 말입니다.)

Encyclopaedia Britannica[편집]

보통 1911년판 브리태니커라고 불리는 Encyclopaedia Britannica 11th edition 중 1권을 빌려봤습니다. 뭐, 관내대출이라 도서관 밖에 들고 나가지는 못해요. 거의 1000페이지에 달한다더군요. 한권을 모조리 복사한다고 하면 약 4만원 정도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29권을 전부 복사한다면 100만원이 넘는군요. 뭐, 어차피 가지고 있다고 해도 영어니 또 번역해야하고.... 영어판 번역이 더 쓸모있으려나?

그러고보니 영어 위키자료집에서는 이미 모조리 스캔[1]했군요. 뭐, 써먹는 것도 나쁘지는 않겠죠 ;;

화살표[편집]

화살표 하나도 정확히 몰라서야 원... 위키백과 화학 수준이 왜이럽니까? 자연과학 부분이 부실한 것은 알았지만, 화학의 대부분 문서가 정리가 상당히 요구되는 상태입니다. 솔직히 말해서 저는 상당히 실망하였습니다. 화살표라도 한번 정리해 보지요.

  • ⇔와 같은 양쪽 화살표는 공명 혼성을 뜻합니다. 예를 들자면 이런 식이지요.
  • ⇄와 같은 화살표는 화학 평형을 표시합니다.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CO + H2O ⇄ CO2 + H2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의 모든 문서에서 화학 평형에서 ⇔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상당히 안타깝군요. 아마 수식에서 ⇄와 같은 화살표를 지원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인 것 같은데, 굳이 <math></math>를 써서 화학식을 표시할 필요는 있는겁니까? 제가 작성한 화합물 관련 문서를 보시면 알겠지만, 굳이 수식을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히 표현이 가능합니다.

부산[편집]

부산에 내려오니 화학 물질 관련 편집은 어려워지는군요. 문제는 자료의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서울에 있을 때는 도서관에 걸어가면 널린게 자료였는데 말입니다... 1911년판 브리태니커가지고만 쓰면 성의없어 보인다구요 ;;

편집충돌 팁[편집]

편집충돌시,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보세요. 자신의 편집 내용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사실 저도 이걸 최근에서야 알았답니다 ;;)

다른 언어 위키백과 번역[편집]

전 개인적으로 이에 대해서는 부정적입니다. 자신이 직접 확인하지 못한 출처로 글을 쓴다는 것이 마음에 걸리거든요.

IRC[편집]

컴퓨터를 바꿨는데 IRC가 맛이 갔어요. 원인은 다음 중 한가지로 추정됩니다. (하필이면 이럴 때 다운로드 가능한 IRC 프로그램도 몇개 없고...)

  • 포트: 6667을 학교에서 막았을 가능성이 있다.
  • 안티바이러스 프로그램: 노트북에서는 맥아피를, 데스크탑에서는 V3를 쓴다. 이 차이일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방화벽 안써도 안된다.)
  • 그외 등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