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재)한국건강가정진흥원/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문화가족지원 포털 <다누리>
형태포털 사이트
웹사이트http://liveinkorea.kr

소개[편집]

  • '아름다운 소통, 함께하는 문화'를 슬로건으로 하는 다문화가족지원 포털 <다누리>는 다양한 문화를 상징하는 '다(多)'와 홈페이지늬 우리말 누리집의 '누리'의 조합어로 '다양한 가족 모두가 누리다'는 뜻으로 결혼이민자 및 다문화가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2009년 4월에 서비스를 시작한 다문화가족지원 대표 포털 사이트로써 한국생활정보, 학습정보, 전국다문화가족지원센터 정보, 자료실, 다문화 소식 등 다양한 정보를 10개 언어[1]로 제공한다.
  •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여성가족부가 운영하다가 2013년부터 민간경상보조 사업으로 공공기관인 (재)한국건강가정진흥원(전국다문화가족지원단)에 위탁하여 운영하고 있다.

연혁[편집]

  • 2009년 4월 다문화가족지원 포털 <다누리> 개설
    4개 언어 서비스(한국어, 영어, 중국어, 베트남어)
  • 2010년 2개 언어 추가 서비스(타갈로그(필리핀)어, 크메르(캄보디아)어)
    다문화가족 정보매거진 Rainbow+ 웹진 서비스
  • 2011년 2개 언어 추가 서비스(몽골어, 러시아어)
    다누리 및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홈페이지 전면 리뉴얼
  • 2012년 외부 콘텐츠 연계 기능 추가
    개인정보보호 강화 및 웹접근성 인증마크 획득
  • 2013년 2개 언어 추가 서비스(일본어, 태국어)
    신규 다문호가족지원센터 홈페이지 개설
  • 2014년 모바일 서비스(다누리 앱) 시행

제공하는 서비스[편집]

한국생활정보[편집]

  • 체류·국적 취득정보, 교육지원, 취업지원, 한국생활, 의료지원, 긴급지원, 생활지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안내하고, 주한대사관 연락처 안내

학습정보[편집]

  • 한국생활안내[2] : 한국의 생활정보를 배울 수 있는 애니메이션 동영상(똑똑한 한국살이, 편리한 한국살이, 따뜻한 한국살이, 행복한 한국살이)
  • 한국어 회화지원[3] : 결혼이민자가 자주 접하는 일상생활 속 에피소드를 통해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 동영상(다미씨의 한국살이)
  • 나라별 문화소개[4] : 결혼이민자 출신국의 언어와 문화를 놀이를 통해 배울 수 있도록 만든 애니메이션 동영상(모뇽 알고싶어요)
  • 다문화 이해 동영상[5] : 다양한 나라들의 특징과 문화차이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동영상

센터정보[편집]

  • 전국 214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주소, 전화번호 안내와 홈페이지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 센터별 채용정보, 프로그램 안내, 포토뉴스 제공

상담실[편집]

  • Q&A : 한국생활에서 궁금해하는 대표적인 질문과 안내
  • 1:1상담실 : 비공개로 운영되고 10개 언어 상담을 지원하는 1:1 상담실

자료실[편집]

  • 다문화가족과 결혼이민자의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다문화자료,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직원 및 다문화 활동가를 위한 다문화활동가 자료, 결혼이민자 현황 등을 알 수 있는 통계자료, 다문화관련 법령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정책자료 제공

다문화소식[편집]

  • (재)한국건강가정진흥원(전국다문화가족지원단) 관련 정보를 안내하는 공지사항, 다문화 관련 지역의 정보를 알려주는 지역소식, 언론보도와 다누리서포터즈(다문화가족모니터링단, 다누리기자단)의 활동 소식을 전하는 현장소식 서비스

다누리 소개[편집]

  • 다문화가족지원 포털 <다누리> 의미와 CI 안내

Rainbow+ 웹진[편집]

  • 10개 언어(다국어 9개, 한국어 병기) 다문화가족 대표 매거진 Rainbow+ 웹진[6] 운영
  • e-book, PDF 서비스 제공

한국생활가이드북 웹진[편집]

  • 대한민국 소개, 외국인지원 서비스, 체류 및 국적취득, 한국문화와 생활, 임신와 육아, 자녀교육, 건강과 의료, 사회보장제도, 취업과 근로의 총 9개 영역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주여성긴급지원센터, 출입국관리사무소 등 주요 다문화 관련 지원 기관의 정보로 구성된 부록이 수록된 한국의 생활·행정 정보를 제공하는 한국생활가이드북 웹진[7] 운영
  • e-book, PDF 서비스 제공


주석[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