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정광림/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위스파- international typography style[편집]

 -1950년대 스위스와 독일에서 발생한 디자인 운동을 스위스파,또는 더 적절하게 인터내셔널 타이포그래피 스타일이라고 부른다. 수학적으로 구축된 그리드 위에서 디자인 요소들의 비대칭적 조합을 통해 달성되는 시작적 통일성이다.시각 및 언어 정보를 분명하고 사실적인 방법으로 제공하는 카피와 객관적 사진도 이 스타일의 특징이었다. 산세리프 타이포그래피가 당시의 진보적인 시대정신을 전달했다면 수학적 그리드는 정보 구성에 가장 가독성을 높고 조화로운 수단이 되었다.

발생시기[편집]

 -1950년대

발생장소[편집]

 스위스,독일

배경[편집]

 -데스틸과 바우하우스. 1920~1930년대의 '뉴타이포그래피에 뿌리를 두고 성장
 -지역을 넘어 국제약식으로 성장
 -캐나다, 스위스와 같이 2,3개의 공용어를 사용하는 나라에서 특히 인기(조화, 질서)

주요작가[편집]

-에른스트 켈러[편집]

출생: 아라우, 스위스에서 1891

직업 :교사, 그래퍼

업적 1918 년 취리히의 유명한 Kunstgewerbeschule (응용 미술 학교)에 가입

스위스 스타일의 개발에 디자인과 타이포그래피를 가르치는동안 디자인과 타이포그래피의 여러 교육 프로그램을 설립

스위스 그래픽의 아버지

모더니즘에 중요한 역할을 함.(그의 포스트와 상업이미지들) [[File:Ernst keller image3.jpg|thumb|에르스트 켈러 아마자]


-테오 발머[편집]

출생: 바젤에서 태어남

직업: 그래픽 디자이너

업적:kunstgewerbeschule의 에른스트 켈러제자

1926년 바젤에서 제일 큰 제약회사의 그래픽디자이너로 일을 시작



-아드리안 프루티거[1][편집]
-막스 미딩거[편집]
-발터 헤르디그[편집]

특징[편집]

 -포토몽타주의 사용
 -산세리프 타이포그래피
 -흰 여백의 사용
 -객관적 포토그래피(사실적 이미지)

스위스파의 철학[편집]

 -절제
 -객관적
 -정보 전달력
 그리드 위에 구축된 비대칭적인 디자인을 시각적 통일성을 부여하엿으며 사실적인 방식으로 정보를 전달하고 명료성과 질서를 궁극적인 목표라 하였다.
 디자인을 사회적으로 유용한 활동으로 간주하고 문제 해결에서 개인적인 표현과 특이한 해법보다 보편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을 선호하였다. 또 디자인 문제의 해법은 반드시 그 내용 안에서 찾아진다고 믿었다.

그리드 시스템[편집]

--가상 형태의 안내선

그리드를 그릴때 고려하는 요소[편집]

 -컬럼의 넓이: 적당한 컬럼의 넓이는 독자들에게 기사를 편안히 집중해서 읽을 수 있도록 하분하고 경쾌한 리듬을 부여 해준다.
 -컬럼의 수  : 기능에 따라 선택
 본문의 크기: 가독성과 연관-->8p~12p가 대체적으로 적합
 본문의 행: 시각적인 혼돈을 피할 수 있게 조정-->본문 포인트의 50%가 적당
 가장자리 여백의 미: 여백은 글 읽기의 즐거움을 증대시켜줌

서체[편집]

세리프(serif)[편집]

로마시대 활자 기둥의 양끝이 돌출된 형태 기념비에 새겨진 글자 모양을 다듬어 만든 글자꼴에서 유래[편집]

산 세리프(sans- serif)[편집]

획의 굵기변화가 없이 일정하고 획 끝에 장식이 없는 글[편집]

세리프

헬베티카 서체(helvetica font)[편집]

Police-Helvetica.gif
Police-Helvetica
 제작시기 및 제작자 1957년 스위스 글꼴디자이너'막스 미딩거'와 에두아르트 호프만'
배경: 명확하고 형태 자체의 내재적인 의미가 배제되었으며 다양한 표지판에도 쓰일 수 있는 중립적인 글꼴로 만들어짐
      스위스의 전통적인 폰트
      19세기의 '악치덴츠-그로테스크'와 독일, 스위스 도안의 영향을 받음
      디자인 영역의 구분 없이 폭넓게 사용
특징: 산 세리프의 대표적인 글꼴
      글자 끝부분이 정확히 수평이거나 수직
      글자 간격이 좁은 편이라 조밀한 모양
      간결하고 깜끔한 느낌(가독석을 높임)
      정교함, 안정감, 정확함, 현대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