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익화/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충민공 익화군 김인찬장군

공은 고려 충숙왕 5년(AD1336) 병자년에 경기 익화현에서 탄생하시었으며 휘(諱)는 인찬(仁贊)이시고 자(字)는 의지(義之)이시다. 공은 천성이 영매(英邁)하고 총명하며 문무(文武)가 뛰어나서 고려와 조선 두 나라에 출사(出仕)하여 나라와 겨레를 정의로 돕고 조선 태조 원년(元年)(1392)에 익화군(益和君)과 개국일등공신(開國一等功臣)을 받으신 우리의 중시조(中始祖)이시다. 공은 비조(鼻祖) 김알지(金閼智) 대보공(大輔公)의 43세손(世孫)이시며, 경순대왕(敬順大王)의 16세손(世孫)이시며, 경순왕 제 사자(四子) 대안군(大安君) 은열(殷說)공의 제3자 김해군(金海君) 염(廉)공의 14세손이시며, 공(公)의 고조(古祖)는 전라도(全羅道) 관찰사(觀察使) 문제공(文齊公)이시며, 증조(曾祖)는 고려때 목사(牧使) 일성(鎰成) 공(公)이시며 조부(祖父)는 도승지(都承旨) 화령도(和寜道) 상원수(上元帥) 개령군(開寧君) 천익공(天益公)이시며, 부(父)는 안변(安辺) 목사(牧使)로 증(贈)숭정대부(崇政大夫) 문하시랑(門下侍郞) 찬성사(贊成使) 존일공(存一公)과 모친(母親) 해주오씨(海州吳氏)의 사이에서 제 사남(四男)으로 탄생하시었다. 배위(配位)는 정경부인(貞敬夫人) 밀양박씨와 정경부인 파평윤씨이시다. 공(公)이 북청(北靑) 천호(千戶) 재임시(在任時)에 큰 흉년(凶年)이 들어 기민(飢民)이 속출(續出)하는지라 공(公)께서는 사재(社財) 백금 50냥(兩)으로 주린 백성을 구제하니 군민들이 어진 목민관(牧民官)이라 칭송이 그치지 않았다. 이때 조정 중신들중에 특히 이성계(李成桂)장군이 의인이라 칭찬하였다. 공(公)께서 북청(北靑) 천호직(千戶職)을 그만두고 그 부친의 일을 돕고 있을 때에 마침 북방의 난적 호발도(胡拔都)와의 7년 전쟁을 대승(大勝)으로 이끌고 개선하는 도중에 익화군을 만나 그의 사저에서 조밥을 먹으며 밤새워 우국담론을 나누었다는 기사(記事)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태조(太祖)편,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57장, 선원록(璿源錄) 등(等) 기록(記錄)이 중요(重要)문헌으로 내려오는 것을 보면 위화도(威化島) 회군(回軍)을 비롯해 고려왕조를 무너뜨리는 역성혁명(易姓革命)을 논의(論議)한 것이 분명한 듯 하다. 북방(北方)의 난적(亂賊) 호발도(胡拔都)와의 전쟁에서 개선하는 장수가 국왕(國王)에게 복명하는 것이 최우선 급선무가 아닌가? 조밥을 먹으며 하룻밤을 지새웠다는 말은 듣기에 너무도 어색하다. 주린 백성을 구제하여 나라에서 포상까지 받았던 익화군이 양식이 없어 당대의 최고 어른이며 개선장군에게랴 이 날의 이 기사가 왕조실록 용비어천가 선원실록(왕실족보) 등에 실려 있다는 사실은 아마 조선개국의 단초(端草)가 여기에서 싹튼게 아닌가 헤아려본다.

1세(世) 김알지(金閼智) 11세(世) 지증왕(智證王) 19세(世) 원성왕(元聖王) 22세(世) 신무왕(神武王) 23세(世) 문성왕(文聖王) 28세(世) 경순왕(敬順王) (재위 927-935) 휘(揮)는 부(傅) 신라 마지막왕 문성왕의 6대손이며 이찬(伊湌) 효종(孝宗)의 아들 어머니는 계아태후(桂娥太后 : 헌강왕의 딸) 후백제 견훤에 의하여 경애왕(景哀王)이 피살되자 보위를 이어 받았다. 그러나 나라가 쇠약해져 왕건(王建)에게 양국(讓國)하였다. 29세(世) 김은열(金殷說) 경주인(慶州人) 경순왕과 낙랑공주(태조왕건의 따님) 사이에서 낳은 장자로 대안군(大安君)에 봉군되었고 태자소부(太子少傅) 내사시랑(內史侍郞) 평장사(平章事)를 지냈다. 36세(世) 김시흥(金時興 1090-1177) 문열공(文烈公) 김녕군(金寧君) 문무결전의 무장으로 병부시랑 동북병마사를 역임 광록대부(光祿大夫) 평장사(平章事)에 올랐다. 1135년 승려인 묘청(妙淸)이 유담과 조광을 데리고 서경(평양)에서 반란을 일으키자 도원수가 되어 부월(斧銊)을 받고 김부식(金富軾)등과 더불어 진압하여 이 전공으로 김주군(金州君) 김녕(金寧)에 봉함을 받고 이어서 상락군에 피봉되었다. 시호는 문열공 39세(世) 김문제(金文劑) 익화군 김인찬(金仁贊)의 고조(高祖) 고려 충숙왕시 문과급제 전라도(全羅道) 관찰사(觀察使)를 지냈다. 40세(世) 김일성(金鎰成) 김인찬의 증조, 고려 충목왕시 개성부윤(開城府尹)과 지방 목사(牧使)를 지냈다. 41세(世) 김천익(金天益, 1890~1921) 김인찬의 조고(祖考) 고려 충정왕시 문과급제 도승지(都承旨)를 지내고 화령도(和寜道) 상원수(上元帥)가 되고 개령군(開寧郡)에 봉함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