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에이플러스/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강의식 수업[편집]

강의식 수업의 개념[편집]

지식과 기능을 교사의 설명으로 학습자에게 전달, 이해시키는 전통적인 교수방법이다.

강의식 수업의 특징[편집]

  • 교사의 일방적인 설명에 의해 수업이 진행된다.
  • 유의미학습과 더불어 기계적인 학습이 일어날 수 있다.
  • 교사는 학생에게 교사가 가진 지식, 정보 등을 전달할 수 있다.

강의식 수업의 장점[편집]

  1. 짧은 시간에 많은 지식, 내용을 학습할 수 있다.
  2. 교과 내용의 보충과 가감과 삭제에 용이하다.
  3. 학생의 감정자극에 대한 동기화가 용이하다.
  4. 많은 인원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할 때 용이하다.

강의식 수업의 단점[편집]

  1. 주의집중력이 떨어진다.
  2. 학습자의 개성이 존중되지 못 한다.
  3. 학습자 간의 수업 차이를 고려하지 못 한다.

강의식 수업이 적절한 경우[편집]

  • 단순한 지식의 정보를 제공할 때
  • 대 집단의 학습자와 수업을 진행할 때
  •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내용을 전달할 때
  • 내성적이거나 경직되어 있는 학습자와 수업을 진행할 때
  • 전체 내용을 개괄하거나 요약하고, 수업 대한 전반적인 정보제시 할 때

강의식 수업이 부적절한 경우[편집]

  • 학생들의 지적능력이 떨어질 때
  • 수업진행에 있어서 학습자의 참여를 요구할 때
  • 고차원적인 학습과제를 풀거나, 고등정신을 기를 때

강의식 수업의 강의 진행[편집]

  • 도입 단계: 강의 진행의 첫 단계로, 학습자와 교수자가 서로를 처음 대하는 순간이다. 이 학습내용을 시작하기 전 학습자들이 본론을 매끄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준비하고 학습전개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단계이다. 주의집중과 학습개요가 제시된다.
  • 전개 단계: 도입 단계의 주의 집중과 동기부여를 통해서 형성된 학습 분위기를 바탕으로 학습개요의 순서에 따라 강의적으로 설명하는 단계이다. 내용전달과 학습자 참여유도를 한다.
  • 종결 단계: 강의한 지식을 요약, 정리하는 단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