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심정석/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갑상선고주파절제술이란[편집]

Diagram of Thyroid Ablation
Diagram of Thyroid Ablation

갑상선고주파절제술은 증상이 있는 양성 갑상선 결절비수술적, 최소 침습적으로 치료 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입니다. [1][2] 고주파열치료술, 고주파소작술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립니다만, 공식용어는 고주파절제술이고[3] 기본 원리는 위에 보여드리는 그림과 같습니다.

(1) 갑상선에 결절이 있습니다.
(2) 갑상선결절에 전극을 삽입합니다.
(3) 전극에서 고주파를 내어 열을 발생시킵니다
(4) 시간이 지나면 결절이 소작되어 잔여물만 남습니다.



최선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편집]

  1. 결절(=혹, 종양)의 크기가 충분히 작아져야 합니다.
  2. 합병증이 발생해서는 안됩니다
  3. 재발을 예방할 수 있어야 합니다.



갑상선고주파절제술과 갑상선수술의 비교[편집]

Surgery vs ablation
Surgery vs ablation

수술은 갑상선결절뿐 아니라 갑상선의 최소한 반을 같이 절제합니다. 반면 고주파절제술을 하면 갑상선 혹만 소작하고 주변의 정상 조직을 모두 살릴 수 있습니다.

Surgery vs ablation 2
Surgery vs ablation 2

수술 후 갑상선의 반이 제거되어 있으며 목에는 흉터가 남아 있습니다. 갑상선이 반만 있기 때문에 기능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주파절제술을 하면 갑상선 조직이 모두 남이 있어 갑상선 기능저하가 발생하지 않으며 평생 갑상선약을 먹어야 하는 일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또한 목 앞에 흉터가 남는 것도 예방됩니다. [4][5]

갑상선고주파절제술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중요한 기술: Moving-shot technique[편집]



Large vs multiple ablation
Large vs multiple ablation

전극에서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강도와 시간을 조절하면 크게 한번 소작할 수도 있고(왼쪽그림), 작게 여러번 소작할 수도 있습니다(오른쪽그림). 왼쪽 그림은 크게 소작한 모식도인데, 보시는 것처럼 결절을 충분히 커버하지 못합니다.

Full ablation
Full ablation

만일 결절을 모두 포함시키기 위해서 소작을 크게 하면 주변의 정상조직에 손상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고주파절제술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위의 오른쪽 그림처럼 소작을 조그맣게 여러번 해야 합니다. 이 기술이 처음 소개될 때 컬럼버스의 달걀과도 같은 충격이 있었습니다. 그 기술을 세계에서 가장 처음 도입한 것은 우리나라의 영상의학자 백정환 교수님(서울아산병원)입니다. [6][7][8]갑상선고주파절제술은 그래서 지금도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앞서나가는 분야이며, 한국의 대한갑상선영상의학회에서 발간한 가이드라인[9]이 세계에서도 표준 시술법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Ablation moving shot technique
Ablation moving shot technique

위 그림은 moving-shot technique 의 기본 개념을 보여줍니다. 작게 여러번 소작하기 위해서 바늘을 깊은 곳, 먼쪽에서 삽입하여 가장 아래 부분을 먼저 소작합니다. [10]

moving shot technique, successive procedure
moving shot technique, successive procedure

바늘을 위로 옮겨가며 작은 소작을 여러번 만듭니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작은 소작의 범위가 결절 밖으로는 나가지 않는 것입니다. Moving-shot technique 을 최고로 잘 구사하는 것은 테두리가 가장 얇게 남도록 하면서도 열이 결절 밖으로는 퍼지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서로 모순되는 두개의 목표를 다 달성하기 위해서는 소작 에너지를 최대한 높여서 빨리 빨리 작게 작게 소작하는 기술이 필요합니다.[11]

시술 과정[편집]

보통 갑상선 초음파를 하는 것처럼 환자는 똑바로 누워서 고개를 뒤로 젖힌 자세를 취합니다. 시술 합병증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왼쪽 갑상선에 있는 혹은 오른쪽 목을 통해 소작 전극을 삽입하고, 오른쪽 갑상선에 있는 혹은 왼쪽 목을 통해 전극을 삽입합니다. 전신마취를 하면 환자가 무의식중에 움직일 수도 있고, 성대 마비가 오지 않는지 체크할 수도 없기 때문에 시술은 국소마취하에 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혹의 크기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대개의 경우 시술은 30분내에 끝납니다.[12]

장비[편집]

thyroid ablation equipment set
thyroid ablation equipment set

고주파 발생 장치와 전극이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전극으로 체내에서 결절을 소작할 때 탄화를 방지하기 위해 전극 내부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데 그 역할을 위해서 냉각수 순환 펌프가 필요합니다. 갑상선 고주파용 전극은 간이나 다른 장기에서 사용하는 전극에 비해 짧습니다.


시술합병증[편집]

Ablation associated complication
Ablation associated complication

고주파 시술과 관련한 몇가지 합병증이 보고되어 있습니다. 가장 흔한 것은 피하 또는 갑상선 주변의 출혈입니다. 출혈은 양이 그리 많지 않아 대부분 5분 정도의 압박으로 해결됩니다. 피부에 화상이 발생하거나, 식도 손상 등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빈도는 매우 적습니다. 성대 신경의 일시적 마비도 드물지만 가끔 발생하는 합병증입니다.[13]

고주파절제술 후 자연 경과[편집]

thyroid ablation natural course
thyroid ablation natural course

고주파 절제술 직후 1, 2주 가량은 혹이 오히려 붓습니다. 1개월이 지나면 30 ~ 50% 가량의 부피감소가 있고 6개월 가량 경과하면 반 이상 크기가 줄어듭니다. 이후가 더 중요한데 남아있는 조직이 많으면 혹이 다시 자라기도 합니다.

  1. Ugurlu, MU; Uprak, K; Akpinar, IN; Attaallah, W; Yegen, C; Gulluoqlu, BM (2015 Apr). “Radiofrequency ablation of benign symptomatic thyroid nodules: prospective safety and efficacy study.”. 《World J Surg.》 39 (4): 961-968. doi:10.1007/s00268-014-2896-1. |doi= 값 확인 필요 (도움말). PMID 25446486. 2015년 6월 1일에 확인함. 
  2. Jeong, WK; Baek, JH; Rhim, H; Kwak, MS; Jeong, HJ; Lee, D (2008 Jun). “Radiofrequency ablation of benign thyroid nodules: safety and imaging follow-up in 236 patients.”. 《Eur Radiol.》 18 (6): 1244-50. doi:10.1007/s00330-008-0880-6. PMID 18286289. 2015년 6월 1일에 확인함. 
  3. 대한갑상선영상의학회. “갑상선결절의치료/고주파절제술”. 《대한갑상선영상의학회》. 2015년 6월 1일에 확인함. 
  4. Che, Y; Jin, S; Shi, C; Wang, L; Zhang, X; Li, Y; Baek, JH (2105 Mar). “Treatment of Benign Thyroid Nodules: Comparison of Surgery with Radiofrequency Ablation.”. 《AJNR Am J Neuroradiol.》. PMID 25814656. 2015년 6월 1일에 확인함. 
  5. Bernardi, S; Dobrinja, C; Fabris, B; Bazzocchi, G; Sabato, N; Ulcigrai, V; Giacca, M; Barro, E; De Manzini, N; Stacul, F (2014 Jun 22). “Radiofrequency ablation compared to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benign thyroid nodules.”. 《Int J Endocrinol.》. doi:10.1155/2014/934595. PMID 25045352. 2015년 6월 1일에 확인함. 
  6. Ha, EJ; Baek, JH; Lee, JH (2014 Nov-Dec). “Moving-shot versus fixed electrode techniques for radiofrequency ablation: comparison in an ex-vivo bovine liver tissue model.”. 《Korean J Radiol.》 15 (6): 836-43. doi:10.3348/kjr.2014.15.6.836. |doi= 값 확인 필요 (도움말). PMID 25469097. 2015년 6월 1일에 확인함. 
  7. Lim, HK; Lee, JH; Ha, EJ; Sung, JY; Kim, JK; Baek, JH (2013 Apr). “Radiofrequency ablation of benign non-functioning thyroid nodules: 4-year follow-up results for 111 patients.”. 《Eur Radiol.》 23 (4): 1044-9. doi:10.1007/s00330-012-2671-3. PMID 23096937. 2015년 6월 1일에 확인함. 
  8. Shin, JH; Baek, JH; Ha, EJ; Lee, JH (2012). “Radiofrequency ablation of thyroid nodules: basic principles and clinical application.”. 《Int J Endocrinol.》. doi:10.1155/2012/919650. PMID 23133449. 2015년 6월 1일에 확인함. 
  9. Na, Dong Gyu; Lee, Jeong Hyun; Jung, So Lyung; Baek, Jung Hwan (2012 Mar-Apr). “Radiofrequency Ablation of Benign Thyroid Nodules and Recurrent Thyroid Cancers: Consensus Statement and Recommendations”. 《Korean J Radiol.》 13 (2): 117-125. doi:10.3348/kjr.2012.13.2.117. PMID PMC3303894 |pmid= 값 확인 필요 (도움말). 2015년 5월 27일에 확인함. 
  10. Shin, JH; Baek, JH; Ha, EJ; Lee, JH (2012). “Radiofrequency ablation of thyroid nodules: basic principles and clinical application.”. 《Int J Endocrinol.》. doi:10.1155/2012/919650. PMID 23133449. 2015년 6월 1일에 확인함. 
  11. Shin, JH; Baek, JH; Ha, EJ; Lee, JH (2012). “Radiofrequency ablation of thyroid nodules: basic principles and clinical application.”. 《Int J Endocrinol.》. doi:10.1155/2012/919650. PMID 23133449. 2015년 6월 1일에 확인함. 
  12. Shin, JH; Baek, JH; Ha, EJ; Lee, JH (2012). “Radiofrequency ablation of thyroid nodules: basic principles and clinical application.”. 《Int J Endocrinol.》. doi:10.1155/2012/919650. PMID 23133449. 2015년 6월 1일에 확인함. 
  13. Baek, JH; Lee, JH; Sung, JY; Bae, JI; Kim, KT; Sim, J; Baek, SM; Kim, YS; Shin, JH; Park, JS; Kim, DW; Kim, JH; Kim, EK; Jung, SL; Na, DG; Korean Society of Thyroid Radiology (2012 Jan). “Complications encountered in the treatment of benign thyroid nodules with US-guided radiofrequency ablation: a multicenter study.”. 《Radiology》 262 (1): 335-42. doi:10.1148/radiol.11110416. |doi= 값 확인 필요 (도움말). PMID 21998044. 2015년 6월 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