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토론:Jollyscatar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8년 전 (BIGRULE님) - 주제: 안녕하세요

Jollyscatar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토론 문서에 글을 남길 때는 해당 글 맨 뒤에 꼭 서명을 넣어 주세요. 위키백과에서 쓰는 서명 방식은 이름을 직접 쓰는 것이 아니라, 물결표 4개(--~~~~)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삭제 신청 알림[편집]

귀하가 생성하신 가토 다쓰야 박근혜 대통령 명예훼손사건문서에 삭제 신청 했음을 알리며, 같은 내용의 중복문서를 생성하시면 안됩니다.--175.197.32.89 (토론) 2016년 1월 28일 (목) 17:23 (KST)답변

안녕하세요[편집]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문서 편집 관련해서 위키백과:편집 지침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BIGRULE (토론) 2016년 2월 13일 (토) 19:23 (KST)답변


문서훼손 사실 알림[편집]

작성하였던 문서훼손이 있어 알려요.. 님작성 후 뇌염 사망 모기라는 사람이후 문서 토론이 있었고 아래와 같아요..


삭제토론[편집]

삭제 토론을 하는 것이 결정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케골 2016년 2월 18일 (목) 15:18 (KST) 이미 해당 문서에 여러 출처가 달려있습니다. 삭제가 아니라 정리가 필요합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2월 20일 (토) 09:46 (KST) 출처의 갯수는 의미가 없는 것 같습니다. 홍보성 출처를 가려내고 의미있는 언론의 주목을 받은 신뢰할 수 있는 출처가 필요합니다. --케골 2016년 2월 20일 (토) 10:28 (KST) 그러니까요... 이런 것들이 있고 《진로와 직업》 고등학교 교과서에도 실려있는 사람입니다. 문서 내용은 상당히 정리가 안 돼 있습니다만 저명성 자체엔 문제가 없습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2월 20일 (토) 10:47 (KST)처음 삭제틀 달은 사람입니다. 저는 신변잡기적인 지엽적 내용을 남겨두느니, 문서 자체를 삭제하는편이 더 실익이 많다고 보는데요. 해당 인물은 개인 홍보 목적으로 위키백과 페이지를 오래동안 사용해 왔던걸로 보입니다. 이상윤 본인 혹은 동원 계정 IP가 허옥경 문서에 삭제 태그를 붙여 놓았던데요, 일관성이 있으려면 두 문서 모두 삭제 하던지 두 문서 모두 존치하던지 해야 마땅해 보이는거든요. 물론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두 인물 문서 모두 삭제하는것에 찬성이고요. 이상윤이 문서에 뭔가 허옥경 문서의 경우를 물고 늘어지려는게 아니라, 둘다 도찐개찐일것 같네요. 이상윤이가 정식 교수도 아니고, 대학의 부설 연구소의 겸임 교수를 하는게 저명성을 확보할만한 거라면 허옥경씨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일단술먹고합시다 님께는 따로 토론란에 글을 남겼습니다. [1] 뇌염 사망 모기 (토론) 2016년 2월 22일 (월) 10:49 (KST)이상윤씨가 기를쓰고 위키백과에서 홍보하려는 이유가 있네요. 2014년 7.30 해운대기장갑 국회의원보궐선거 이상윤 예비후보 이분은 교수일까요? 학자일까요? 선박 전문가일까요? 그것도 아니면 유명세 타고 정치판에 뛰어보려는 정치꾼인까요? 뇌염 사망 모기 (토론) 2016년 2월 22일 (월) 11:32 (KST)이상윤의 자랑스러운 역작들을 출판한 높은새 출판사는 이상윤씨 서적외에는 다른 간행물을 출판한적이 없는 유령 출판사 같네요. 어쩌가 본의 아니게 찾다보니 왜 자꾸 이런 의심스러운것만 보일까요? 참고로 이상윤 문서에 저서로 나열되어있는 몇권의 책중에, 개인 에세이 '하록선장 날다'를 빼고는 모두 높은새 출판사 간행물입니다. 뇌염 사망 모기 (토론) 2016년 2월 22일 (월) 11:41 (KST)교과서에도 실린 인물이란 일단술먹고합시다님의 언급에 해당 내용을 다시 찾아 보았습니다. 씨마스 출판사 진로와 직업(2009 개정 교육 과정) 고등학교의 차례보기를 살펴보면 이상윤은 <미래 사회와 직업 세계의 변화 82p> -- 직업 로드맵 6 공학 엔지니어 이상윤 90p 으로 수록이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 교재는 고등학생에게 현업에 종사하는 직업인들이 다양한 진로를 소개하는데 목적이 있고, 다양한 직업군/인물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회사원, 의사, 간호사, 공무원, 약사, 디자이너 등등.) 이 교과서에 이상윤과 함께 실린분들의 실명은 목차에 보면 소개가 되어있는데, 일부 유명인도 있지만 대부분 저명성이 없으신 분들입니다. 따라서 무슨 무슨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어서 저명성이 확보된다는 주장은 성립하기 어렵습니다. 뇌염 사망 모기 (토론) 2016년 2월 22일 (월) 13:24 (KST) 그런 게 모여서 저명성을 이루는 겁니다. 해당 개인 자체에 주목하는 여러 종류의 백: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이미 보여드렸습니다. 이미 다양한 출처들이 존재하는 마당에 '자신의 생각'만을 고집하셔서는 안됩니다. '대대적인 수정이 필요하다'와 '항목 자체를 삭제해야 한다'는 같은 뜻이 아닙니다. 이상윤 항목은 삭제가 아니라 대대적인 내용의 수정과 정리가 필요합니다. 같은 의미에서 허옥경 역시 삭제할 만하지 않습니다. 어떤 편집을 하든지 개인적인 감정을 고려해서는 안됩니다. 이상윤이 학자든 정치꾼이든 아예 사기꾼이든 그런 건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황우석이나 다른 범죄자들도 등재되어 있습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2월 23일 (화) 02:51 (KST)일단술먹고합시다 님이 판단하는 저명성은 어디에 근거하는지 여쭤보고 싶네요. 단순히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다 (그게 어떤 성격의 교과서이든)면 저명한 인물인지 궁금하네요. 그럼 같은 교과서에 실린 회사원 ㅇㅇㅇ씨, 간호사 ㅇㅇㅇ씨 문서도 생성이 가능하다는 걸로 받아들여도 될까요? 그리고 제가 독단적인 고집을 강요하려는게 아닙니다. 합리적인 반례를 계속 들어보려는 것 뿐이고요. 문서 존치 vs. 문서 삭제에 대해서요. 그리고 이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 지면, 다른 문서 편집기준과는 형평성에 맞는지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것 뿐입니다.또 다른예로 요밑에 사용자 송성수 (저는 이상윤 본인 혹은 이분의 동원 계정이라고 보지만)가 언급한대로 무슨 무슨 학회에 행정직을 맡고 있다, 그러면 저명성이 담보가 되나요? 만약 그게 학자의 저명성을 보장하는 것이라면, 해당 학회 역대 회장님들은 학문적 성과를 모두 인정 받으셔서 위키백과에 연구업적들이 실려야 되지 않나요? 거듭 말씀드리지만, 저는 총의에 따를거지만 이상윤을 해당 분야의 학자라고 본다면, 위키백과 학자 저명성 원칙에 부합하지 않는다는게 제 의견일뿐입니다. 뇌염 사망 모기 (토론) 2016년 2월 23일 (화) 05:12 (KST) 단순히 '뭐를 해서 저명성이 있다'란 말씀이 아닙니다; 그 하나하나가 모두 이루어져서 저명성이 된다고요. 이상윤을 주목하는 기사와 학술내용, 교과서 등이 이미 '여럿' 존재합니다. 그것도 단순한 '언급'이 아니라 이상윤 '그 자체를 주목'한 것들입니다. 이 정도면 등재가 됩니다. 백:등재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위백에 등재된 다른 인물들은 누가 있나 직접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저명성은 저명성이 있다고 주장하는 자에게 입증책임이 있고 그에 따라 백:신뢰할 수 있는 출처들이 제시되었습니다. 그럼 다 끝난 것 아닌지요.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2월 23일 (화) 05:30 (KST) 좀 더 찾아보니까 kbs 9시 뉴스에 장애를 극복하고 교수로 임용되어 학생들에게 희망을 주는 사람으로 보도[2]되기도 했네요,, kbs9시 뉴스는 일반 종이신문이나 인터넷 기사와는 차원이 다르죠...이 사람이 안 실리면 위키에 누가 실려야하죠?송성수 (토론) 2016년 2월 22일 (월) 21:26 (KST)

하나 더 있네요,, 마이크로로봇 세계최초 개발자로 kbs뉴스에 나오네요[3]송성수 (토론) 2016년 2월 22일 (월) 21:26 (KST)

보니까 뇌염사망모기가 이해당자자입니다. 자기 말대로하면 저명하지도 않은 사람인데, 오로지 이 사람만 잡고 죽자살자 기를 쓰고 삭제하려는 저의가 흠 이상합니다. 모기기준이면 여기 위키 문서 반은 날려야 합니다광화문백사장 (토론) 2016년 2월 23일 (화) 16:07 (KST)


부경대 이상윤[편집]

커뷰님 토론에 남기신 글 잘보았습니다. (커뷰님 토론에 계속 남기기는 뭐해서 일단술먹고합시다님 토론에 글 남깁니다)

토론에 남기신 링크는 이미 확인했고요, 님이 찾으신 페이지는 부경대 학과 홈페이지가 아니라 부경대 환경, 해양공학 대학원 부설 연구소 소개 페이지입니다. 이상윤은 님이 찾으신 부설 연구소의 겸임 교수이고, 부경대학교 정식 교수가 아닙니다. 이상윤이란 사람에 대해 찾아볼때 이미 학교 홈페이지에 가서 확인해보았습니다. [1] 링크에서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진을 확인해 보시면 아실수 있을겁니다. 이상윤을 전문가로 보느냐 마느냐에 대해서는 저랑 견해가 완전히 다르시네요. 님 의견도 존중합니다만, 어떤 사실에 대한 기술을 할때 그 사실에 대한 credit을 주려면 그사실을 처음으로 연구/발견한 학자여야 된다고 봅니다. 이상윤이 썼다는 책에서의 한두줄 논평은 자신의 연구 결과가 아니라, 다른 Reference에서 찾아서 인용한것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게 조선시대 해전, 목조선에 대한 것이든, 정치인에 대한 사실이던)

가령 예를 들어, 이상윤 혹은 이해 당사자가 반복적으로 위키백과에 삽입하고 있는 신동욱 (1967년) 문서에서 신동욱이 박근령과 혼인하기 전에 이혼 경력이 있다는 사실은 객곽적인 팩트이지, 이상윤이 취재해서 특종보도를 한 사실이 아닌데도 이상윤이 쓴 책에 있는 아주 지엽적인 문장 하나를 지속적으로 인용해서 출처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 이상윤이 해양공학 학사가 있어서 조선시대 해전사 (이순신, 거북선, 윤선, 첨저선, 판옥선 등)에 전문가라는 납득하기 힘듭니다. 아무리 양보를 해도, 어떤 사실의 인용으로서 2차 출처로 이상윤의 저서를 인용하는것은 이해가 되더라도(이경우에도 꼭 이상윤의 책이어야 될 필요가 있을지 의문이 남지만), 본문에서 "한편 (소위 전문가) 부경대 이상윤에 따르면..."식의 백과사전적 서술이 아니라고 보는데요.

현재 이상윤에 대한 문서도 그렇습니다. 개인 홍보, 신파조 적인 서술은 지우고, 인물 소개에 대한 부분만 남기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신문 기사가 몇개 검색되어서, 저명성이 있다고 판단된다면 학자로서가 아니라 그냥 조금 잘 알려진 사람으로서 정도로 남겨두는것도 나쁘지는 않겠죠. 하지만 이상윤정도의 기사가 검색되는 다른 많은 인물들 중에서도 저명성을 이유로 삭제된 사례가 많다는 것은 고려해주시면 좋겠네요. 또, 이상윤 본인이 자신의 위키백과 문서를 직접 편집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비중립적인 서술을 걷어내자마자, 몇개의 동원 계정을 이용해서 이상윤이 언급된 문서가 계속 되돌리기 되었습니다. 이상윤 본인 트위터[2] 에는 몇일 전까지만 해도 자신의 위키백과 페이지를 프로필에 떡하니 올려두었습니다. (문서 삭제 태그가 붙자, 트위터 프로필에서는 몇일사이에 뺐나 보내요.) 제가 이 사람에 대해서 개인적인 감정이 있어서, 위키백과에서 지우는게 아니거든요. 문서를 보다보니, 뜨고싶어서 안달난 분이 부산 기장을 선거판에도 기웃거리시는 분이 개인 인지도를 올리기 위해서 위키백과를 악용한다는 생각이 들어서 입니다.

이상윤이 언급된 부분들을 되돌리시는건 좋으나, 여전히 비중립적인 서술이라고 판단되면 저는 다시 고치겠습니다. 뇌염 사망 모기 (토론) 2016년 2월 22일 (월) 04:58 (KST) 이상윤 동원 계정의 편집중에 한가지 재미있는 편집이 있어서 소개하고자 합니다. 동원 IP계정의 삭제 신청 제가 이상윤에 대한 비중립적 서술을 걷어 내자, 이 아이피가 허옥경 문서에 삭제 신청을 걸더군요. 허옥경이란 사람은 또 누군지 알지도 못했는데, 허옥경 네이버 검색 해운대구 구청장하시던 분이네요. 아무래도 총선을 앞두고 공천을 두고 다투거나, 이해관계이 있는 인물이 아닐까 조심스럽게 예측해 보는데요, 이상윤씨의 속셈이 뻔히 보여서 재미는 있네요. 아참, 이 허옥경이라는 분도 네이버 검색에서 관련 기사가 많이 뜨고요, 국립대인 서울대가 무슨 허접한 대학도 아니고 이분은 무려 서울대 객원교수', 무슨 무슨 연구소 부소장이란 직책을 가지고 계시네요. 뇌염 사망 모기 (토론) 2016년 2월 22일 (월) 05:13 (KST) 전체적으로 동의합니다. 그러니까... '삭제'가 아니라 '수정'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위백은 기술 분야뿐만이 아니라 전분야에서 전문가의 서술에 크게 의존합니다. 님이 생각하시는 전문가란 무엇입니까? 관련 학위와 관련 직업을 가지고 있는데도 서술을 지워야 한다면 학술 내용 태반을 날려야 합니다; '한두줄 논평은 자신의 연구 결과가 아니라, 다른 Reference에서 찾아서 인용한것일 가능성이 높습니다.'란 말씀은 '~일 것이다'란 님의 추측입니다. 정말 그런지 근거를 찾아서 '그 사실을 처음으로 연구/발견한 학자'의 출처로 고쳐주십시오. 최초가 아니라면 '꼭 이상윤의 책이어야 될 필요'도 없고 본문에 '이상윤에 따르면'이란 글자를 특기할 필요도 없습니다. 그냥 날리는 것이 아니라 다른 출처를 찾아 수정해주시면 됩니다. 저는 글을 쓸 때 재인용은 하지 않으려 하고 있으며 추측 역시 자제하며 서술된 내용이 허위정보이거나 백:비주류를 지키지 않는 경우에만 서술을 날리고 있습니다.이상윤 정도의 저명성이라면 존치해야 합니다. 다른 인물 문서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저 정도의 출처가 있는데도 삭제한 사례가 있었다면 그것은 삭제한 게 잘못입니다. 그렇기에 허옥경 역시 삭제할 만하지 않습니다.여러번 말씀드렸습니다만 '정치 분야'에 대해서는 어느정도의 위치에 있어야 출처로 등재될 수 있는지를 제가 관련 총의를 알지 못합니다. 그래서 그 판단은 유보한다고 또 말씀드립니다.시간을 드리겠습니다. '공간, 기술 분야'에서 이상윤 서적을 인용한 부분을 다른 출처를 찾아서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오직 이상윤이란 이유만으로' 전부 날려버리는 것도 백:문서 훼손이라는 걸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2월 23일 (화) 02:19 (KST)합의점을 찾아 가는것 같아서 다행이네요. 시간 안주셔도 됩니다. (듣기에 따라서는 시간 드리겠습니다가 무슨 최후통첩처럼 들리기도 합니다만) 님이 판단하기에 중립적인 서술이라고 판단되는대로 편집하시면, 제가 거기서 다시 수정하면 되니까요. 저는 위키백과에서 일관성만 유지되면, 인물문서 (그게 이상윤이든 허옥경이든) 존치하는것에 찬성입니다. 다만, 현재의 서술처럼 본인이 신파극조의 논조로 자화자찬 하는것은 어떤 경우던지 다시 쳐내도록 하겠습니다.저는 여전히 비중립적인 서술을 곳곳에 심어두는 것보다, 내용이 빈약해 보이는편이 더 좋은 문서라고 보는거고요. 되돌리실때 꼭 신뢰할수 있는 출처로 바꿔서 편집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엄밀히 말해서 이상윤 개인 저서 (높은새 출판사 간행물)은 검증가능한 출저로 볼수 없다는것은 고려해 주시고요. 뇌염 사망 모기 (토론) 2016년 2월 23일 (화) 04:49 (KST) 백:중립에 위배되는 내용은 그대로 쳐내야 합니다. 하지만 님께선 '이상윤이란 이유'만으로 쳐내신 것이지 비중립이라는 이유는 아니지 않았습니까... 이외에도 저는 이미 같은 말씀을 처음부터 드렸습니다. 저는 기술, 공간, 조선사 분야는 지식이 미천하여 다른 출처를 찾을 수가 없습니다. 님께서도 다른 출처를 찾으실 수가 없다면 그 부분만큼은 그대로 되돌릴 수밖에 없습니다. 이상윤의 저서가 출처로 등재되는 것을 바라지 않으신다면 다른 출처나 최초의 출처를 찾아주시고, 그럴 수가 없다면 그 부분만큼은 님의 편집 이전으로 되돌리겠습니다. 역사 인물 개인에 대한 평가는 이상윤의 전문 분야가 아니니 되돌리지 않으며 정치 분야는 제가 관련 총의를 알지 못하니 역시 되돌리지 않습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2월 23일 (화) 05:12 (KST)말씀 감사하고, 님의 설명은 충분히 납득했습니다. 합리적이라고 생각하고요. 그리고 저는 이상윤이란 인물이 실제 지명도에 비해 (미미하다고 봅니다만) 위키백과에서 너무 비중있게 소개가 되는것이 의아하다고 판단했을뿐이지, 이상윤이란 개인과 이해관계가 충돌해서 감정적으로 지우는것은 아니라는점은 이해해주셨으면 합니다. 제가 문서 삭제, 토론에 적은 글을 쭉 보시면, 제가 원래부터 이상윤 스토커처럼 파고들었던게 아니거든요. 누군가 궁금해서 찾아보니, 수상한점이 이리저리 포착이 될뿐이어서고요. (개인적으로 이분은 언어 장애가 아니라 과대 망상증이 더 심각한 장애처럼 보입니다.) 뇌염 사망 모기 (토론) 2016년 2월 23일 (화) 05:26 (KST) 저는 해당 분야를 알지 못해 이상윤의 학문적 지위가 어느 정도인지도 모릅니다. 그저... 모든 분야에 있어 모르면 모르는대로 알면 아는대로 더 신중하게 접근하고 가급적 추측은 배제하려 할 뿐입니다. 좋은 일이 많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2월 23일 (화) 05:40 (KST)


[숨기기]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보이기' 버튼을 누르세요!


후훗 재밋네여 가토건부터 뇌염 사망 모기 따라오다가 여기까지 왔네요... 일단 뇌염 사망 모기 는 가토건이나 이상윤건이나 아무튼 이 두가지의 직접적인 이해당사자로 보입니다. 근데 여기들어오니까 이 사람부터 발단이네요. 일단 현재까지 뇌염 사망 모기의 기여를 보면 2016년 2월 12일자로 등록아이디 이후 오로지 이상윤건 관련된 것만 집중적인 삭제를 했고 가토를 비토하고 나선 이상윤이 문제가 된것 같네요. 먼저 저는요..행정학 석사까지 한 사람인데요. 뇌염 사망 모기 문서훼손 전꺼 부터 보고 네이버 찾아보니까,

이상윤은 한국행정학회 이사를 2013년 한 건 [4] 분명히 맞아요. 그러니까 여기 한국행정학회가 어디 싸구려 학회도 아니고 행정학 분야 한국을 대표하는 학회니까 이 사람이 학술정보이사를 한것을 보면 관련 전문가들이 인정하는 학자임은 분명하네요. 학술정보이사는 최신 논문이나 연구주제를 회원들에게 알리는 역할이니, 그 분야 전문가로 인정못받으면 될수가 없지요, 하고 싶어도 모르면 못한다는 말이고, 택도 아닌 사람이 이사를 맡으면 교수들이 얼마나 보수적인데 가만두지 않아요. 바로 짤리죠. 그래서 한국행정학회 홈피에 확인차들어가니 이 사람 책이 회원동정란에 다른 학자들 책과 함께 버젓히 소개되어있기도 하네여 [5].

다음 정치인이니 뭐니에 대해서 보죠... 일단 정당에 공천신청했다고해서 정치인이면 그런 논리라면 우리나라누구나 정당공천신청자는 모두 정치인이어야 되겠지요. 그럼 학교에 교수하다가 국회의원되고 다시 교수로 돌아온 사람들은 전부 정치인인가요? 아니면 공천신청만하면 저명성이 전부 갑자기 사라져야하나요? 그건 무슨 논리죠? 당연 아니죠. 행정학에 성균관대 유민봉교수[6]라는 사람있는데, 이 사람 박근혜 정부에서 청와대수석한 사람인데, 현재 학교에 교수로 돌아왔으니 정치인이지 그래서 학자가 아닌가요? 그래서 저명한 학자가 아닌가요? 누구도 유민봉을 정치했다고 학자가 아니라고 안 하네요. 저도 행정학과 다닐때 이 사람 쓴 책들고 공부했고 지금도 찾아볼깨 있으면 찾아보니까요. 참고로 박사마치고 취직안되면, 학교에서 교수님 책 출판하는 출판사 그러니까 학교 협력출판사 일하게도 합니다. 이해찬 총리도 그래서 데모하다가 학교짤려서 출판사 오랜 동안 했고 그 사람 출판사했다고 해서 그 출판사에서 나온 사람들 책이 전부 좌파사장 출판사라고 해서 쓰레기로 매도하지는 않죠. 학교 계약 출판사는 그런 경우도 많답니다.한군데 출판사에서 나온 책이라고 저명하지 않다는 것은 억지같네요. 그리고 한국행정학회가 어디 껌도 아니고 거기 홈피에 나오는 책이 저명하지않으면 도대체 무슨책이 저명한가요? 유령출판사이면 책에 isbn달리지 못한답니다. 이상윤책은 전부 isbn있고 국립중앙도서관에 납본되어있네요..유령출판사면 납본자체가 안됩답니다. [7] 여기까지 일단 이상까지 이상윤이라는 사람이 정치분야에서 전문가고 알아주는 행정학회에서 이사까지 한 거보면 이 분야 전문가고 학자임은 분명하네요. 참 정치인 기준은 공천신청해서가 아니라 정식으로 어디 구의원이든 그런 거라도 하면 정치인이라하는거예요.. 예를들어 어떤 변호사가 정당에 공천신청했다고해서 그 사람을 정치인으로 보지는 않죠, 그 사람이 당선되거나 유민봉처럼 직접 관여하면 정치인으로 그 순간 보는게 맞지요... 그래도 학자출신이면 학자이죠,,,

참 뇌염 사망 모기가 삭제한 문서에 이 사람 논문이 쫙 나오는데 아니면 네이버 찾아봐도 나오니까 여기 달아볼께요. 이 논문들이 관련 전문가가 아니라면 과연 쓸수있고 게재가 될까요? 참 그리고 뇌염 사망 모기는 이상윤 관련된 위키문서에서 전자정부, 게임이론, 온갖 관련된 거 다 지웠는데, 이런 것들도 자기독자연구가 아니라 논문에 실린 것들이네요, 암튼 문서 맨 아래 뇌염 사망 모기가 훼손한 논문 특허 일단 달아둘께요.... 참 뇌염 사망 모기님 논문은 심사하는거 아시죠? 독자연구가 아니라 심사를 통해 전문가들이 검증한다는 거 잊지마세요.. 독자연구개인소리면 실리지 못한답니다. 반드시 학회나 전문가들이 동의해야 실린다는 말이예요.

다음 교과서 실린 건데, 뇌염 사망 모기 얘기처럼, '일부 유명인도 잊지만 대부분 저명성이 없다" 부분인데, 스스로 잘 알고 있네요...이게 2009 개정 교육 과정으로 나온 책이예요, 그러니까 무조건 저명하고 일등인 사람만 교과서에 실려서는 안되고 일반인 중에서도 골라서 그런 사람얘기도 같이 실어서 일등주의를 지양하자는 지침에 따른 거예요,, 왜냐하면 교과서에 잘난 사람들만 실리니까 상대적으로 배우고 크는 학생들, 좀 못하는 애들도 잇잖아요? 위화감느끼지 말라는 차원에서 그래서 섞여 있는 거구요,, 교과서 내용 읽어보니까. 세계최초로 인체혈관탐사 마이크로로봇을 만들었고, 장애와 암을 극복하는 한국을 대표하는 미래를 만드는 공학엔지니어로서 장애와 가난을 극복하고 교수가 된 인물로 소개되고 있네요, 교과서에 실리는 사람은 아무내용이나 실리는게 아니예요... 그리고 여기에 무인항공기 특허기술개발한 내용도 잘 나와있네요,, 특히 자기가 융합학문연구위해 공학과 정책 두 가지 박사공부했다는 말도 있네요, 두 가지 다 했다고 이것저것해서 저명하지 않은게 아니라 융합학문이라는 거네요. 앞에서 따져보앗듯이 이미 정치나 정책쪽은 전문가가 맞고, 이 교과서 내용이면 충분히 공학분야 저명한 학자지요.. 학생들보는 교과서에 직업선택할때 미래를 만드는 공학엔지니어 교수로 나오니까요.. 내용 읽어보셨다면서 뇌염 사망 모기님은 이런 거는 못본채 하셨나요? 읽지 안으셨나요? 아시다시피 교과서는 보통이상의 검증을 한답니다.

그래서 공학분야 좀 더 따져볼께요. 이분 한국전자통신학회 위원장도 하고 이사도 하네요. [8] 여기 학회 교수들은 모두 허수아비인가요? 아무런 능력이나 전문가도 아닌 사람에게 직책을 줄 정도로?? 그리고 술먹고합시다 말처럼, 공식적으로 학교에서 연구소장[9], 부연구소장[10] 맞네요.. 여기에 이상윤의 특허와 논문도 쫙 나오네요..암튼 자,, 학교 그것도 국립대학교 연구소장이나 부연구소장은 아무나 못해요.. 그러면 그 학과교수나 이분이 속한 공학쪽 교수들이 가만히 있을까요? 말그대로 학교에서 총장, 학장, 기획처장, 연구소장 부소장 이런 거는 보직교수라 해서 전문가나 관련 경력없으면 절대 못해요,, 학교있을때 지도교수가 어디 연구소 보직교수 못 달아서 안달이나는것도 많이봤어요.. 예산을 만지거든요, 여기 홈피 보니까 관련 연구인력이 50명이나 되는데 이건 아무나 못해요.. 요새 연구기관의 기관장 전부 공채[11]합니다. 보통 계약직으로 2-4년 하지요,, 여기 계약직은 2-4년 계약한다고 해서 어디 길거리 계약직하고는 급이 달라요.. 관련 분야 전문가나 경력없으면 택도 없지요,, 오히려 일부러 계약직으로 계약하는 교수들도 있지요,, 연봉을 올려가며 몸값을 올리수잇으니 하는거예요.. 특히 특허출원이나 논문을 계약기간동안 많이 낼수있는 교수들은 학과소속 교수처럼 강의하기보다는 학과를 나와 연구소 겸직하기를 희망하지요,,

자 그리고 학자들은 논문이나 특허로 인정받으니까, 거기에 목을 매지요, 이상윤은 조선관련 논문도 많고 마이크로로봇 논문도 있고, 참 아래 이상윤 마이크로로봇 논문내용에서 인용되었던것까지 여기 위키에 있던 거까지 전부 뇌염 사망 모기님이 훼손했네요.. 암튼 아래 링크있으니까 다운받아 읽어보세요,, 특허출원도 할 정도면 기술을 모르면 못하죠, 특허출원하는데 변리사통해서 하면 보통 건당 500정도 들어요,, 학교교수들이 보통 학교산학협력단 소속변리사 통해 좀 싸게 한다고 쳐도 택도 아닌 거면 그 변리사가 학교예산상 짤라서 출원도 못해보죠,,,

뇌염 사망 모기님, 정치적 자기신념이나 개인적 원한 같은 거로,, 위키 자기뜻대로 나오게 하려 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해요,, 가토건으로 추적하다가 여기까지 왔는데,,, 잘 생각해보세여...

위키에는 안쓰고 보기만해도 침묵하는 다수도 많아요,, 그 사람들 눈을 속일 순 없다고봐요,, 삭제가 아니라 정리가 필요한 문서네요,,송성수 (토론) 2016년 2월 22일 (월) 20:47 (KST) 위백의 서술은 백:원칙에 맞게 해야 합니다. 항목이 존치되더라도 상당수의 부분은 덜어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2월 23일 (화) 02:51 (KST) 논문[편집] 공간정보기술정책연구-시나리오플래닝 적용을 통한 플랫폼 구축 중심으로(기술혁신학회지 제16권 제1호, 2013.3, 130-155 (26 pages)) 2013년 3월호[1][2];; 한국조선산업연구-산업클러스터특화분석중심으로(기술혁신학회지 제14권 3호 599-621, ISSN 1598-2912) 2011년 9월호[3];; 공간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인터넷전자투표 연구-시나리오플래닝을 중심으로(기술혁신학회지 제15권 제3호,2012. 9, 604-626) 2012년 9월호[4];; 한국의 글로벌 과학기술협력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7(4), 2012. 8, 693-705) 2012년 8월호[5];; SWOT분석을 통한 한국 마이크로 로봇의 발전방안 (한국전자통신학회,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7(4), 2012.8, 881-895) 2012년 8월호[6];; 한국 전자정부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개발연구-시나리오 플래닝을 적용하여 (한국전자통신학회,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7(6), 2012.12, 1245-1258) 2012년 12월호 [7];;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국가정보화 전략연구 - 시나리오플래닝을 적용하여 (한국전자통신학회,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7(6), 2012.12, 1259-1273) 2012년 12월호 [8];; 한국형 수중로봇시스템의 기술개발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8(1), 2013.1, 27-40) 2013년 1월호[9];; 최소침습수술용 의료로봇 기술개발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8(1), 2013.1, 13-26) 2013년 1월호 [10];; 다문화사회에서의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플랫폼 구축 연구,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13년 [11];; 다문화사회에서의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플랫폼 전자정부 구축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정책연구 2014년 제12권 제1호 1p ~ 12p 1738-1916 KCI등재지 [12];; 한국 원자력 분야 정책추진체계 연구: 고리원전추가건설사례로 본 위험거버넌스 구축 측면에서, 한국전자통신학회, 10(1) 81-94 1975-8170 KCI후보 [13];; 한국 이민·다문화 정책 추진체계 현황 및 개선방안 : 사회통합 측면의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014년 제25권 3호, 2014.7, 175-204 (30 pages) [14];; 한국 전자정부 정책변동 연구: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학위논문(박사) 부산대학교 2015년 [15];; 입지계수를 적용한 조선산업 산업클러스터 분석 및 전략적 개선방안: 동남 광역경제권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7권 2호 시작쪽수 255p, 전체쪽수 34p 1225-9993 국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5년 [16];; 한국 조선산업클러스터 발전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기점에서의 입지계수분석 중심으로. 연세대 지역발전연구. 단독. 제24권 제1호 : 215~266. [17]

특허[편집] 무인항공기 도킹 및 자동회수시스템(출원번호1020130001352 (2013.01.05))[18];; 공간정보기술을 이용한 근거리 정밀타격 무인항공기시스템(출원번호1020130001363 (2013.01.05))[19];; 공간정보기술을 이용한 무인항공기 통합네트워크시스템(출원번호1020130001366 (2013.01.05))[20];; 저고도 및 고고도용 복합체 무인항공기 및 무인항공기 시스템(출원번호1020130001350 (2013.01.04))[21];;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해파리 및 이안류와 녹조감시방재시스템(출원번호1020130069334 (2013.06.18))[22];; 스마트안경을 이용한 무인항공기 제어와 조종시스템(출원번호1020130069600 (2013.06.18))[23];; 전자기감응공명기술을 이용한 마이크로 로봇(출원번호1020130031209 (2013.03.23))[24];; 암세포 표적제거기능을 갖춘 박테리아 기반의 마이크로 로봇(출원번호1020120132055 (2012.11.21))[25];; 유체가압추진방식을 이용한 혈관탐사 마이크로 로봇(출원번호1020110014831 (2011.02.19))[26];; 맞춤형 공공서비스제공을 위한 플랫폼 전자정부시스템(출원번호1020130071936 (2013.06.21))[27];; 데이터통합 및 개방형의 클라우드컴퓨팅 전자정부플랫폼시스템(출원번호1020130045766 (2013.04.24))[28];; 선체 내부로 접혀 들어가는 요트용 킬(출원번호1020100096657 (2010.10.05))[29];; 수중기만형 어뢰시스템 및 방법(출원번호1020130001332 (2013.01.04))[30];; 3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나노 로봇 조종 시뮬레이터 시스템(출원번호 : 1020120089209)[31];; 병변 미세 접근과 제거 위한 마이크로-나노 로봇 증강현실 시스템(출원번호 : 1020120089056)[32];; 혈관탐사 마이크로-나노 로봇 조종시뮬레이터 시스템(출원번호 : 1020120089177)[33];; 스마트폰을 위한 차량용 무선충전 시스템(출원번호 : 1020130043864)[34];;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해파리 및 이안류와 녹조감시방재시스템(출원번호 : 1020130069334)[35];;



1.이동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3130962 2.이동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57527164&dir_id=0&page=0&query=%EA%B3%B5%EA%B0%84%EC%A0%95%EB%B3%B4%EC%A0%95%EC%B1%85%EC%97%B0%EA%B5%AC%20%ED%94%8C%EB%9E%AB%ED%8F%BC&ndsCategoryId=10804&library=17 3.이동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1551399?Seq=1&Collection=0&q=%5B%EC%9D%B4%EC%83%81%EC%9C%A4%C2%A7coldb%C2%A71%C2%A726%C2%A73%5D%20AND%20%5B%EA%B8%B0%EC%88%A0%ED%98%81%EC%8B%A0%ED%95%99%ED%9A%8C%C2%A7coldb%C2%A72%C2%A730%C2%A73%5D&Sort=1&SortType=desc&Page=1&PageSize=20&searchWord=%EC%A0%80%EC%9E%90%EB%AA%85%20%3D%20%EC%9D%B4%EC%83%81%EC%9C%A4%2C%20%EB%B0%9C%ED%96%89%EA%B8%B0%EA%B4%80%EB%AA%85%20%3D%20%EA%B8%B0%EC%88%A0%ED%98%81%EC%8B%A0%ED%95%99%ED%9A%8C&SearchAuthor=%EC%9D%B4%EC%83%81%EC%9C%A4&SearchPublisher=%EA%B8%B0%EC%88%A0%ED%98%81%EC%8B%A0%ED%95%99%ED%9A%8C&Multimedia=0 4.이동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2972798?Seq=2&Collection=0&q=%5B%EC%9D%B4%EC%83%81%EC%9C%A4%C2%A7coldb%C2%A71%C2%A726%C2%A73%5D%20AND%20%5B%EA%B8%B0%EC%88%A0%ED%98%81%EC%8B%A0%ED%95%99%ED%9A%8C%C2%A7coldb%C2%A72%C2%A730%C2%A73%5D&Sort=1&SortType=desc&Page=1&PageSize=20&searchWord=%EC%A0%80%EC%9E%90%EB%AA%85%20%3D%20%EC%9D%B4%EC%83%81%EC%9C%A4%2C%20%EB%B0%9C%ED%96%89%EA%B8%B0%EA%B4%80%EB%AA%85%20%3D%20%EA%B8%B0%EC%88%A0%ED%98%81%EC%8B%A0%ED%95%99%ED%9A%8C&SearchAuthor=%EC%9D%B4%EC%83%81%EC%9C%A4&SearchPublisher=%EA%B8%B0%EC%88%A0%ED%98%81%EC%8B%A0%ED%95%99%ED%9A%8C&Multimedia=0 5.이동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2884542?Seq=1&Collection=0&q=%5B%EC%9D%B4%EC%83%81%EC%9C%A4%C2%A7coldb%C2%A71%C2%A726%C2%A73%5D%20AND%20%5B%ED%95%9C%EA%B5%AD%EC%A0%84%EC%9E%90%ED%86%B5%EC%8B%A0%ED%95%99%ED%9A%8C%C2%A7coldb%C2%A72%C2%A720%C2%A73%5D&Sort=1&SortType=desc&Page=1&PageSize=20&searchWord=%EC%A0%80%EC%9E%90%EB%AA%85%20%3D%20%EC%9D%B4%EC%83%81%EC%9C%A4%2C%20%EA%B0%84%ED%96%89%EB%AC%BC%EB%AA%85%20%3D%20%ED%95%9C%EA%B5%AD%EC%A0%84%EC%9E%90%ED%86%B5%EC%8B%A0%ED%95%99%ED%9A%8C&SearchAuthor=%EC%9D%B4%EC%83%81%EC%9C%A4&SearchBook=%ED%95%9C%EA%B5%AD%EC%A0%84%EC%9E%90%ED%86%B5%EC%8B%A0%ED%95%99%ED%9A%8C&Multimedia=0 6.이동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2884576?Seq=2&Collection=0&q=%5B%EC%9D%B4%EC%83%81%EC%9C%A4%C2%A7coldb%C2%A71%C2%A726%C2%A73%5D%20AND%20%5B%ED%95%9C%EA%B5%AD%EC%A0%84%EC%9E%90%ED%86%B5%EC%8B%A0%ED%95%99%ED%9A%8C%C2%A7coldb%C2%A72%C2%A720%C2%A73%5D&Sort=1&SortType=desc&Page=1&PageSize=20&searchWord=%EC%A0%80%EC%9E%90%EB%AA%85%20%3D%20%EC%9D%B4%EC%83%81%EC%9C%A4%2C%20%EA%B0%84%ED%96%89%EB%AC%BC%EB%AA%85%20%3D%20%ED%95%9C%EA%B5%AD%EC%A0%84%EC%9E%90%ED%86%B5%EC%8B%A0%ED%95%99%ED%9A%8C&SearchAuthor=%EC%9D%B4%EC%83%81%EC%9C%A4&SearchBook=%ED%95%9C%EA%B5%AD%EC%A0%84%EC%9E%90%ED%86%B5%EC%8B%A0%ED%95%99%ED%9A%8C&Multimedia=0 7.이동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3041169 8.이동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3041170 9.이동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3119747?Seq=5&Collection=0&q=%5B%EC%9D%B4%EC%83%81%EC%9C%A4%C2%A7coldb%C2%A71%C2%A726%C2%A73%5D%20AND%20%5B%ED%95%9C%EA%B5%AD%EC%A0%84%EC%9E%90%ED%86%B5%EC%8B%A0%ED%95%99%ED%9A%8C%C2%A7coldb%C2%A72%C2%A730%C2%A73%5D&Sort=1&SortType=desc&Page=1&PageSize=20&searchWord=%EC%A0%80%EC%9E%90%20%3D%20%EC%9D%B4%EC%83%81%EC%9C%A4%2C%20%EB%B0%9C%ED%96%89%EA%B8%B0%EA%B4%80%20%3D%20%ED%95%9C%EA%B5%AD%EC%A0%84%EC%9E%90%ED%86%B5%EC%8B%A0%ED%95%99%ED%9A%8C&SearchAuthor=%EC%9D%B4%EC%83%81%EC%9C%A4&SearchPublisher=%ED%95%9C%EA%B5%AD%EC%A0%84%EC%9E%90%ED%86%B5%EC%8B%A0%ED%95%99%ED%9A%8C&Multimedia=0 10.이동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3119746?Seq=6&Collection=0&q=%5B%EC%9D%B4%EC%83%81%EC%9C%A4%C2%A7coldb%C2%A71%C2%A726%C2%A73%5D%20AND%20%5B%ED%95%9C%EA%B5%AD%EC%A0%84%EC%9E%90%ED%86%B5%EC%8B%A0%ED%95%99%ED%9A%8C%C2%A7coldb%C2%A72%C2%A730%C2%A73%5D&Sort=1&SortType=desc&Page=1&PageSize=20&searchWord=%EC%A0%80%EC%9E%90%20%3D%20%EC%9D%B4%EC%83%81%EC%9C%A4%2C%20%EB%B0%9C%ED%96%89%EA%B8%B0%EA%B4%80%20%3D%20%ED%95%9C%EA%B5%AD%EC%A0%84%EC%9E%90%ED%86%B5%EC%8B%A0%ED%95%99%ED%9A%8C&SearchAuthor=%EC%9D%B4%EC%83%81%EC%9C%A4&SearchPublisher=%ED%95%9C%EA%B5%AD%EC%A0%84%EC%9E%90%ED%86%B5%EC%8B%A0%ED%95%99%ED%9A%8C&Multimedia=0 11.이동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57347024&dir_id=0&page=0&query=%EC%9D%B4%EC%83%81%EC%9C%A4%EB%8B%A4%EB%AC%B8%ED%99%94%EC%A0%95%EB%B3%B4%EA%B2%A9%EC%B0%A8&ndsCategoryId=10314 12.이동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61953365&dir_id=0&page=0&query=%EC%9D%B4%EC%83%81%EC%9C%A4%EB%8B%A4%EB%AC%B8%ED%99%94%EC%A0%95%EB%B3%B4%EA%B2%A9%EC%B0%A8&ndsCategoryId=10315&library=21 13.이동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92423074&dir_id=0&page=0&query=%ED%95%9C%EA%B5%AD%20%EC%9B%90%EC%9E%90%EB%A0%A5%20%EB%B6%84%EC%95%BC%20%EC%A0%95%EC%B1%85%EC%B6%94%EC%A7%84%EC%B2%B4%EA%B3%84%20%EC%97%B0%EA%B5%AC-%EA%B3%A0%EB%A6%AC%EC%9B%90%EC%A0%84%EC%B6%94%EA%B0%80%EA%B1%B4%EC%84%A4%EC%82%AC%EB%A1%80%EB%A1%9C%20%EB%B3%B8%20%EC%9C%84%ED%97%98%EA%B1%B0%EB%B2%84%EB%84%8C%EC%8A%A4%20%EA%B5%AC%EC%B6%95%20%EC%B8%A1%EB%A9%B4%EC%97%90%EC%84%9C&ndsCategoryId=10512&library=152 14.이동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3474275 15.이동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ir_id=0&query=%ED%95%9C%EA%B5%AD+%EC%A0%84%EC%9E%90%EC%A0%95%EB%B6%80+%EC%A0%95%EC%B1%85%EB%B3%80%EB%8F%99+%EC%97%B0%EA%B5%AC+%EC%9D%B4%EC%83%81%EC%9C%A4&page=0&doc_id=100690875&ndsCategoryId=110 16.이동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85961151&dir_id=0&page=0&query=%ED%95%9C%EA%B5%AD%20%EB%8F%99%EB%82%A8%EA%B6%8C%20%EC%A1%B0%EC%84%A0%EC%82%B0%EC%97%85%ED%81%B4%EB%9F%AC%EC%8A%A4%ED%84%B0%20%EC%9D%B4%EC%83%81%EC%9C%A4&ndsCategoryId=10301&library=142 17.이동 ↑ 연세대지역발전연구 JRSD 24th(1) issue.(2015.6) - 1 http://ipaid.yonsei.ac.kr/contents/bbspage/xbd/board.php?bo_table=m4_db1 18.이동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55386283&applicationNumber=1020130001352&dir_id=3&field=0&unFold=false&gk_adt=0&sort=0&qvt=1&query=%EB%AC%B4%EC%9D%B8%ED%95%AD%EA%B3%B5%EA%B8%B0%20%EC%9D%B4%EC%83%81%EC%9C%A4&gk_qvt=0&citedSearch=false&page.page=1&ndsCategoryId=30100 19.이동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55386284&applicationNumber=1020130001363&dir_id=3&field=0&unFold=false&gk_adt=0&sort=0&qvt=1&query=%EB%AC%B4%EC%9D%B8%ED%95%AD%EA%B3%B5%EA%B8%B0%20%EC%9D%B4%EC%83%81%EC%9C%A4&gk_qvt=0&citedSearch=false&page.page=1&ndsCategoryId=30100 20.이동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55386285&applicationNumber=1020130001366&dir_id=3&field=0&unFold=false&gk_adt=0&sort=0&qvt=1&query=%EB%AC%B4%EC%9D%B8%ED%95%AD%EA%B3%B5%EA%B8%B0%20%EC%9D%B4%EC%83%81%EC%9C%A4&gk_qvt=0&citedSearch=false&page.page=1&ndsCategoryId=30100 21.이동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55386281&applicationNumber=1020130001350&dir_id=3&field=0&unFold=false&gk_adt=0&sort=0&qvt=1&query=%EB%AC%B4%EC%9D%B8%ED%95%AD%EA%B3%B5%EA%B8%B0%20%EC%9D%B4%EC%83%81%EC%9C%A4&gk_qvt=0&citedSearch=false&page.page=1&ndsCategoryId=30100 22.이동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57411666&applicationNumber=1020130069334&dir_id=3&field=0&unFold=false&gk_adt=0&sort=0&qvt=1&query=%EB%AC%B4%EC%9D%B8%ED%95%AD%EA%B3%B5%EA%B8%B0%20%EC%9D%B4%EC%83%81%EC%9C%A4&gk_qvt=0&citedSearch=false&page.page=1&ndsCategoryId=30100 23.이동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57586429&applicationNumber=1020130069600&dir_id=3&field=0&unFold=false&gk_adt=0&sort=0&qvt=1&query=%EB%AC%B4%EC%9D%B8%ED%95%AD%EA%B3%B5%EA%B8%B0%20%EC%9D%B4%EC%83%81%EC%9C%A4&gk_qvt=0&citedSearch=false&page.page=1&ndsCategoryId=30100 24.이동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56683159&applicationNumber=1020130031209&dir_id=3&field=0&unFold=false&gk_adt=0&sort=0&qvt=1&query=%EB%A7%88%EC%9D%B4%ED%81%AC%EB%A1%9C%EB%A1%9C%EB%B4%87%20%EC%9D%B4%EC%83%81%EC%9C%A4&gk_qvt=0&citedSearch=false&page.page=1&ndsCategoryId=30100 25.이동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55313798&applicationNumber=1020120132055&dir_id=3&field=0&unFold=false&gk_adt=0&sort=0&qvt=1&query=%EB%A7%88%EC%9D%B4%ED%81%AC%EB%A1%9C%EB%A1%9C%EB%B4%87%20%EC%9D%B4%EC%83%81%EC%9C%A4&gk_qvt=0&citedSearch=false&page.page=1&ndsCategoryId=30100 26.이동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54610670&applicationNumber=1020110014831&dir_id=3&field=0&unFold=false&gk_adt=0&sort=0&qvt=1&query=%EB%A7%88%EC%9D%B4%ED%81%AC%EB%A1%9C%EB%A1%9C%EB%B4%87%20%EC%9D%B4%EC%83%81%EC%9C%A4&gk_qvt=0&citedSearch=false&page.page=1&ndsCategoryId=30100 27.이동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57586791&applicationNumber=1020130071936&dir_id=3&field=0&unFold=false&gk_adt=0&sort=0&qvt=1&query=%ED%94%8C%EB%9E%AB%ED%8F%BC%20%EC%A0%84%EC%9E%90%EC%A0%95%EB%B6%80%20%EC%9D%B4%EC%83%81%EC%9C%A4&gk_qvt=0&citedSearch=false&page.page=1&ndsCategoryId=30100 28.이동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56947197&applicationNumber=1020130045766&dir_id=3&field=0&unFold=false&gk_adt=0&sort=0&qvt=1&query=%ED%94%8C%EB%9E%AB%ED%8F%BC%20%EC%A0%84%EC%9E%90%EC%A0%95%EB%B6%80%20%EC%9D%B4%EC%83%81%EC%9C%A4&gk_qvt=0&citedSearch=false&page.page=1&ndsCategoryId=30100 29.이동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52308098&applicationNumber=1020100096657&dir_id=3&field=0&unFold=false&gk_adt=0&sort=0&qvt=1&query=%EC%9A%94%ED%8A%B8%EC%9A%A9%ED%82%AC%20%EC%9D%B4%EC%83%81%EC%9C%A4&gk_qvt=0&citedSearch=false&page.page=1&ndsCategoryId=30100 30.이동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55571122&applicationNumber=1020130001332&dir_id=3&field=0&unFold=false&gk_adt=0&sort=0&qvt=1&query=%EC%9D%B4%EC%83%81%EC%9C%A4&gk_qvt=0&citedSearch=false&page.page=2&ndsCategoryId=30100 31.이동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58274270&applicationNumber=1020120089209&dir_id=3&field=0&unFold=false&gk_adt=0&sort=0&qvt=1&query=%EB%A7%88%EC%9D%B4%ED%81%AC%EB%A1%9C%EB%A1%9C%EB%B4%87%20%EC%9D%B4%EC%83%81%EC%9C%A4&gk_qvt=0&citedSearch=false&page.page=1&ndsCategoryId=30100 32.이동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58273969&applicationNumber=1020120089056&dir_id=3&field=0&unFold=false&gk_adt=0&sort=0&qvt=1&query=%EB%A7%88%EC%9D%B4%ED%81%AC%EB%A1%9C%EB%A1%9C%EB%B4%87%20%EC%9D%B4%EC%83%81%EC%9C%A4&gk_qvt=0&citedSearch=false&page.page=1&ndsCategoryId=30100 33.이동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58273680&applicationNumber=1020120089177&dir_id=3&field=0&unFold=false&gk_adt=0&sort=0&qvt=1&query=%EB%A7%88%EC%9D%B4%ED%81%AC%EB%A1%9C%EB%A1%9C%EB%B4%87%20%EC%9D%B4%EC%83%81%EC%9C%A4&gk_qvt=0&citedSearch=false&page.page=1&ndsCategoryId=30100 34.이동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56925541&applicationNumber=1020130043864&dir_id=3&field=0&unFold=false&gk_adt=0&sort=0&qvt=1&query=%EC%8A%A4%EB%A7%88%ED%8A%B8%ED%8F%B0%20%EC%9D%B4%EC%83%81%EC%9C%A4&gk_qvt=0&citedSearch=false&page.page=1&ndsCategoryId=30100 35.이동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57411666&applicationNumber=1020130069334&dir_id=3&field=0&unFold=false&gk_adt=0&sort=0&qvt=1&query=%ED%95%B4%ED%8C%8C%EB%A6%AC%20%EC%9D%B4%EC%83%81%EC%9C%A4&gk_qvt=0&citedSearch=false&page.page=1&ndsCategoryId=30100




둘러보기 메뉴



코빅쎄자책뽕 1 1 새 메시지가 있습니다 연습장 환경 설정 베타 주시문서 목록 기여 로그아웃



문서


토론






읽기


편집


새 주제


역사 보기


주시










대문 사용자 모임 요즘 화제 최근 바뀜 모든 문서 보기 임의 문서로 도움말 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바뀜 파일 올리기 특수 문서 목록 고유 링크 문서 정보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 PDF로 다운로드 인쇄용 판


언어


이 문서는 2016년 2월 23일 (화) 16:08에 마지막으로 바뀌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