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토론:Gwiaegotaek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8년 전 (BIGRULE님) - 주제: 안녕하세요

Gwiaegotaek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토론 문서에 글을 남길 때는 해당 글 맨 뒤에 꼭 서명을 넣어 주세요. 위키백과에서 쓰는 서명 방식은 이름을 직접 쓰는 것이 아니라, 물결표 4개(--~~~~)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 환영합니다 (토론) 2015년 11월 25일 (수) 14:54 (KST)답변

문서마다 이곳저곳에 있는 글을 복사해서 생성하셨던데, 귀하의 행위는 백:저작권 위반입니다.[편집]

위키백과는 다른곳에 있는 글을 복사해서 생성하는 곳이 아니며, 본인이 직접 작성하셔야 합니다.--116.120.228.57 (토론) 2015년 11월 26일 (목) 00:48 (KST)답변

안됐지만 귀하가 생성하신 문서는 삭제 대상입니다.[편집]

네이버 지식백과에 있는 글을 복사해서 생성하는 것 자체는 백:저작권 위반입니다.--175.197.33.136 (토론) 2015년 12월 8일 (화) 17:45 (KST)답변

위키백과에 올리는 내용은 크리에이티브 CC-BY-SA 라이선스에 따라 누구나 이용, 수정, 배포할 수 있는 자유 저작물이어야 합니다.[편집]

어떤 경우도 외부에 있는 글을 그대로 복사해서 생성하는 것 자체는 백:저작권 위반이며, 그리고 이 행위를 반복하실 경우 차단 될 수 있으니 주의 하십시오. 위에서 언급된 글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외부의 글을 복사해서 생성하는게 아닌 본인이 직접 작성해야 합니다.--175.197.33.136 (토론) 2015년 12월 8일 (화) 20:59 (KST)답변

그대로 복사를 한다는게 무슨 말인지 이해가 가지 않는군요 저희가 작성한 글을 네이버 등등 여러곳에서 인용해 사용을 하고 있는 겁니다 초기에 문화재청에서 초기 자료를 달라고 해서 저희가 만들어 준것을 지금까지 여러곳에서 작성을 하고 잇습니다 네이버 두산백과 문화재청 등등 모두 내용이 같습니다 이는 저희가 제출한 자료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개념도 없는 건지 컴퓨터가 답을 다는건지 이해가 안되는 답변을 받아야 한다면 더이상 내용을 적지 않으면 되는 거니까 그렇게 하겠습니다 역사에 대한 정보를 보관하는 문서에 따라 작성해서 제출 하것을 저작권이라 함은 같은 내용을 쓰는 백과사전 모두가 저작권에 걸리지 않나요?

아래 3개의 네이버 검색 내용이 모두 같은 내용입니다 저희가 제공한 자료를 인용한 겁니다 정확한 이유도 없이 저작권 위반입니다 라는 납득이 가질 않는군요 여기에 대한 답변도 저작권 위반입니다 라고 하겠군요 그럼 제가 더 이상 문서 작성을 해서 바른 정보를 제공하는걸 포기 하겠습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전 내용입니다

조극승 [ 曺克承 ] 이칭별칭 자 경휴(景休), 호 구애(龜厓) 유형 인물 시대 조선/조선 후기 출생 - 사망 1803년(순조 3) ~ 1877년(고종 14) 성격 문신 성별 남 본관 창녕(昌寧) 저서(작품) 구애집 대표관직(경력) 사헌부감찰, 공조참의

정의 1803(순조 3)∼1877(고종 14).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경휴(景休), 호는 구애(龜厓). 아버지는 경섭(暻燮)이며, 어머니는 달성서씨(達城徐氏)로 덕순(德淳)의 딸이다. 유치명(柳致明)의 문인이다. 1831년(순종 31) 식년문과에 급제, 승문원부정자가 되었고, 1840년 예조좌랑·종부시주부·사헌부감찰을 역임하고, 1845년 성균관전적, 1849년 사간원정언으로 문신선전관(文臣宣傳官)을 겸직하였다. 철종이 등극한 뒤에도 언관으로서 신임을 받았으나, 곧 고향에 은거하였다. 1867년 조정에서 고을마다 강석(講席)을 열어 위정척사를 부르짖도록 하자, 사서삼경의 강석을 열어 유풍(儒風)을 진작시켰고, 1875년 공조참의에 제수되었다. 저서로는『구애집』 3책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조극승 [曺克承]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두산백과

조극승[ 曺克承 ] 요약조선 후기 문신 겸 학자. 성균관 전적, 예조좌랑 및 대간직을 두루 거쳐 공조참의에 이르렀다. 만년에는 벼슬길에서 물러나 학문에만 전념했다. 저서《대학강록》은 향촌에서《대학》을 강론할 목적으로 집필한 책이며, 문집에는《구애문집》이 있다. 출생-사망 1803 ~ 1877 본관 하성 자 경휴 호 구애 활동분야 정치·문학 주요저서 《대학강록》 《구애문집》

본관 하성(夏城:昌寧). 자 경휴(景休). 호 구애(龜厓). 유치명(柳致明)의 문인. 1831년(순종 31)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부정자(副正字)에 보임되었다. 이어 성균관 전적(典籍), 예조좌랑 및 대간직을 두루 거쳐 공조참의에 이르렀다. 만년에는 벼슬길에서 물러나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저서 《대학강록(大學講錄)》은 향촌에서 《대학》을 강론할 목적으로 집필한 책이며, 문집에는《구애문집(龜厓文集)》이 있다. 참조항목구애문집

[네이버 지식백과] 조극승 [曺克承] (두산백과)


분야 역사/전통 시대, 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출처 디지털영천문화대전-조극승

정의 조선 후기에 활동한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문인.

가계 조극승(曺克承)의 본관은 창녕. 자는 경휴(景休), 호는 귀애(龜厓)이며, 1803년(순조 3) 10월 1일에 태어나 1877년(고종 14) 11월 18일에 75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고조는 조용석(曺龍錫)이며, 증조는 조명직(曺命稷), 조부는 조학경(曺學敬)이다. 아버지는 조경섭(曺暻燮)이며, 어머니는 달성 서씨(達城徐氏)로 서덕순(徐德淳)의 딸이다. 부인은 숙부인(淑夫人) 인동 장씨(仁同張氏)로 통덕랑(通德郞) 장민섭(張敏燮)의 딸이며, 슬하에 1남1녀를 두니 통덕랑(通德郞) 조병수(曺秉秀)와 사위 오천인(烏川人) 정치구(鄭致龜)이다.

활동 사항 조극승은 성품과 도량이 돈후하며 거동과 모습이 단정하였다. 효성 또한 지극하고 힘써 공부하여 1831년(순조 31) 식년문과에 등제하여 승문원부정자가 되었고, 1840년(헌종 6) 예조좌랑·종부시주부·사헌부감찰을 역임하고, 1845년 성균관전적, 1849년 사간원정언으로 문신선전관(文臣宣傳官)을 겸직하였으며, 조정에서 여러 차례 주목(州牧)의 수령으로 천거하였으나 어버이의 병환을 이유로 임지로 가지 않았다.

철종이 등극한 뒤에도 언관으로서 신임을 받았으나 고향에 은거하여 유치명(柳致明) 문하에서 학문을 닦았다. 후에 더욱 심학(心學)에 정진하면서 학사(學社)에서 강론하여 깊은 도리를 깨쳤고, 1875년(고종 12)에 참의로 제수되자 임금에게 덕을 힘쓰라는 상소를 하였다.

학문과 저술 목판본인 8권 3책의 『귀애집(龜厓集)』과 『대학강록(大學講錄)』이 있다.

묘소 조극승의 묘소는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자천리 봉림사(鳳林寺) 후등(後嶝)에 임좌(壬坐) 향으로 있으며, 보국(輔國) 김영수(金永壽)의 갈문(碣文)이 있다.

상훈과 추모 경상북도 영천시 화남면 귀호리에 조극승을 추앙하기 위해 동생 조규승이 건립한 귀애정(龜厓亭)과 고택이 남아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조극승 [曺克承]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계속 이해를 못하시는데, 네이버 지식백과에 있는 글은 위키백과에서 사용할 수 없으며, 대부분 삭제 대상입니다.--175.197.33.136 (토론) 2015년 12월 8일 (화) 21:13 (KST)답변

귀하가 생성하신 모든 문서는 삭제 대상입니다.[편집]

문서 생성자 본인은 삭제 신청 틀을 제거 할수 없으며, 그리고 귀하는 백:이해관계 & 백:중립성을 위반하셨습니다.--175.197.33.136 (토론) 2015년 12월 8일 (화) 21:33 (KST)답변

안녕하세요[편집]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Gwiaegotaek님께서 작성하신 의견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일단 Gwiaegotaek님께서 '네이버, 두산백과 등등 문화재청'에 게재된 문서에 대한 원저작자라는 사실이 명확하게 입증되어야 합니다. 이는 위키백과의 저작권 정책에 내용 중 '타인의 저작물에 관하여 영리적 이용의 허가 없이 위키백과에 올리는 것은 금지됩니다'에 대해 검증하기 위한 절차이니, 이 점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BIGRULE (토론) 2015년 12월 8일 (화) 23:37 (KST)답변

만약 해당 문서들에 대한 원저작권을 Gwiaegotaek님께서 갖고 있다는 것이 입증된다면 해당 내용을 명시한 뒤 위키백과에 게재하는 것이 가능하니 참고해주시면 좋겠습니다. --BIGRULE (토론) 2015년 12월 8일 (화) 23:39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