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토론:Adnoctum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6년 전 (Uhmazing님) - 주제: 스타일북과 인터위키 링크
  • 다음과 같은 전문 용어의 경우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 이야기를 했으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면, proteasome이라는 것이 있을 때, [[Proteasome]]로 페이지를 만든 후, 이 곳에 내용을 적어 넣은 후, [[프로테아좀]]페이지를 저 페이지([[Proteasome]])로 REDIRECT 했으면 좋겠는데... 과연 이게 좋은 방법일까요?
  • 또한 다음 용어들 중 한국어로 번역되어 쓰이고 있는 것들은 어떤 한국어로 쓰이고 있는지 알려주실 수 있다면, 수고좀 해주세요 :) 저도 시간이 되는데로 구글링을 해볼께요. 우선, 제가 쓸 수 있는 항목들을 나열해 놓는 것이 중요한 것 같아서, 이런 페이지를 만들어 놓습니다.

  • 전사 인자 (transcription factor)

  • proteasome
  • compact
  1. metric 이 정의된 space에서는 closed and bound
  2. 모든 covering은 finite sub covering을 갖는다
  3. 수렴하는 모든 서열은 수렴하는 부분 수열을 갖는다.
  • countable : 정수와 cardinality가 같은 set
  • cardinality :
  • monoclonal antibody, polyclonal antibody
  • eosinophile
  • monocyte
  • deubiquitination
  • injection, surjection, bijection
  • virtual function
  • endocytosis, exocytosis, transcytosis, pinocytosis
  • IgA, IgE, IgM, IgG, immunoglobinA, immunoglobinE, immunoglobinM, immunoglobinG
  • phosphorylation, dephosphorylation, kinase, phosphatase
  • haploinsufficiency
  • SN1 반응, SN2 반응
  • epitope, antigenic determinant
  • MHC
  • transfection
  • reporter gene
  • luciferase
  • β-galactosidase
  • exon, intron
  •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 diauxic growth
  • pCMV, cytomegalo virus
  • complement 보체
  • perforin
  • splicing, SNURP
  • axon, axon hillock
  • graded potential

표제어로는 가능한 한 한글만을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위키백과:제목 선택하기, 위키백과:외국어의 한글표기#전문 용어의 한글표기, 위키백과:넘겨주기 문서 등을 보세요. --Puzzlet Chung 2006년 3월 14일 (화) 02:07 (KST)답변

스타일북인터위키 링크[편집]

좋은 글들 써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편집 하실때 스타일북인터위키 링크 를 참고해주세요. Yuyudevil 2006년 3월 14일 (화) 04:11 (KST)답변


STL 문서에서 클래스의 각 멤버를 모두 열거할 필요가 있을까요? 2008년 1월 26일 (토) 21:28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