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토론:125.57.90.39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4년 전 (Xakyntos님) - 주제: 신라 왕 관련 문서의 편집에 대하여

금나라 관련 문서 기여[편집]

아이피님께서 작성해주신 금나라 관련 문서에서 정의가 분명치 않고, 직역 티가 많이나는 문서가 많이 보이는데, 편집하실 때 이 점을 고려해주셨으면 합니다.:) --Š.ßULLET. (토론) 2009년 9월 30일 (수) 15:00 (KST)답변

김일제 문서 및 김알지 문서의 편집 내용에 대하여[편집]

해당 문서의 편집 내용들을 살펴보면 특정 시각에 치우쳐 있으며, 또한 출처가 전혀 제시되지 않은 채 독자적인 추론이 전개되어 있습니다. 이는 위키백과에서 금하고 있는 독자연구의 가능성이 높으며, 또한 출처가 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문제의 소지가 높습니다. 정확한 출처를 제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처가 없을 시에는 독자연구로 간주하여 삭제할 수 밖에 없습니다.--Xakyntos (토론) 2009년 10월 6일 (화) 18:52 (KST)답변

신라 왕 관련 문서의 편집에 대하여[편집]

아이피 님께서는 경주 김씨 관련 문서에서 편집을 많이 하시고 계신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번 경순왕 문서에서 한 것과 같은 편집은 전혀 불필요한 편집입니다. 모든 신라왕 문서에는 하단에 틀을 통해서 왕실 전체가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제시되어 있으므로, 같이보기의 형태로 다시 제시할 필요가 없습니다. 게다가, 같이보기, 함께보기와 같은 항목은 문서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거나 보충 설명이 가능한 다른 문서를 엮는 것입니다. 단순히 같은 왕조에 속해 있다고 해서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보기 어려우며, 서로 보충될만한 내용도 아니므로 왕 모두를 같이보기로 엮는 것은 불필요합니다. 주의하세요.--Xakyntos (토론) 2009년 10월 7일 (수) 16:42 (KST)답변

백과사전은 족보가 아닙니다. 특정 인물의 조상을 모조리 싣는 것이 백과사전일까요? 백과사전에는 그 인물 자체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조상일 경우에나 언급해주면 되며, 아니면 그냥 성씨와 가문만 명시해주면 됩니다. 게다가 해당 편집의 내용대로 보자면, 경순왕의 조상이 아닌 사람들도 수없이 언급되어 있습니다. 경순왕은 문성왕의 6대손인데, 문성왕은 내물왕계의 후손이라서 무열왕의 후손이 될 수 없거든요. 결국 틀린 정보를 실은 셈이 됩니다.--Xakyntos (토론) 2009년 10월 8일 (목) 10:30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