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토론:박승현/내가 쓰고 있는 것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댓글: Jmkim dot com님 (15년 전)

한겨레는 PD수첩 광고주 불매 운동 당시에는 “누리꾼들이 익명성에 기대, 감정적 민족주의를 분출하고 있다”고 비판했지만 조중동 광고주 불매 운동은 '광고불매운동 〓 소비자 운동'이라며 말을 바꾸는 행태를 보인 비판이 있다.

한겨레 기사 원문을 좀 볼 수 있을까요? --김정정민(JM) (토론) 2009년 3월 11일 (수) 11:02 (KST)답변

찾았습니다. 참고해주세요.

…하지만 많은 누리꾼들은 이 프로그램에 광고를 내보내는 업체들의 명단과 전화번호를 인터넷에 올려 ‘불매운동’에 나설 것을 주장했다. 이런 주장이 큰 호응을 얻으면서 각 업체들에 항의전화 등이 빗발쳐, 25일 이 프로그램의 12개 광고주 가운데 11개 광고주가 광고 중지를 요청했다.누리꾼들은 또 인터넷에 이 프로그램 담당인 ㅎ아무개 프로듀서의 가족 사진을 공개하고 “가족들을 다 죽여라”는 등의 글들을 올렸다. 이로 인해 이 프로듀서 가족들은 바깥 출입도 하지 못하고 있다. 황 교수와 관련해 윤리 문제를 제기했던 민주노동당 게시판에도 이날 오후 현재 200건 이상의 비난 글이 올랐다. 전문가들은 누리꾼들이 익명성에 기대 감정적 민족주의를 분출하고 있다며, 여기에는 황 교수 연구의 공과를 신중하게 따지지 못하는 언론의 태도가 이런 과격한 반응을 부추기는 측면도 있다고 진단했다.…

다음 2가지에서 볼 때, 위쪽에서 말한 '말 바꾸기'라고 보기는 어려운 듯 합니다.

  1. 한겨레의 공식입장이 아님. (한겨레의 직접적인 비판이 아닌 전문가 발언을 인용한 것이다.)
  2. '프로듀서 신변 위협'을 중심으로 비판하고 있음.

--김정정민(JM) (토론) 2009년 3월 11일 (수) 11:39 (KST)답변

다른 내용은 한겨레에 대한 비판 문서로 만들어도 될 것 같은데요? 진행은 안하시나요? --김정정민(JM) (토론) 2009년 3월 11일 (수) 11:47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