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마르키즈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북마르키즈어에서 넘어옴)

마르키즈어
ʻEo ʻenana (북마르키즈어)
ʻEo ʻenata (남마르키즈어)
사용 지역 마르키즈 제도, 타히티섬
언어 인구 8,700명 (2007년)
언어 계통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오세아니아어군
   폴리네시아어군
    마르키즈어
언어 부호
ISO 639-3 두 개:
mrq – 북마르키즈어
mqm – 남마르키즈어
글로톨로그 nort2845  (북마르키즈어)[1]
sout2866  (남마르키즈어)[2]

마르키즈어(영어: Marquesan language)는 프랑스령 폴리네시아마르키즈 제도에서 쓰이는 폴리네시아어군 언어이다. 방언차가 상당히 크며 북마르키즈어남마르키즈어라는 두 개의 언어라고 보기도 한다.

방언

[편집]

타이피 방언은 누쿠히바섬의 동쪽 3분의 1 영역에서 쓰였고 북마르키즈어와 별개의 언어로 보기도 했으나 오늘날 사멸했다. 우아후카 방언은 북부와 남부의 중간 정도 성격을 띠며 남부식으로 우아후나(Ua Huna) 방언이라 불리기도 한다.

/f//h/의 구별은 남부 방언에만 있고 북부 방언에서는 /h/로 합쳐졌다. 폴리네시아조어 은 북부 방언에서 /k/로, 남부 방언에서 /n/으로 변했다. 타이피 방언에서는 [ŋk]로 발음되었다.

마르키즈어 방언 간 자음 대응[3]
폴리네시아조어 *p *t *k *q *m *n *w *s *h *l/*r
북마르키즈어
누쿠히바 p t k/ʔ Ø m n k v h Ø ʔ
우아포우 p t k Ø m n k v h Ø ʔ
우아후카 p t k/ʔ Ø m n n/k v h/f h Ø ʔ
남마르키즈어 p t ʔ/k Ø m n n v f/h h Ø k/ʔ

음운론

[편집]

아래 설명은 북부의 우아포우 방언을 기준으로 한다.[4]

마르키즈어 자음
순음 치경음 연구개음 성문음
파열음 p t k ʔ
마찰음 (f) v h
비음 m n
유음 (r)

마르키즈어의 두드러진 특징은 폴리네시아조어유음 *l, *r이 대부분 성문 파열음 /ʔ/으로 변한 점이다. 우아포우 방언에서 유음 /r/은 드물며, 주로 탄음 [ɾ]으로 발음되고 전동음 [r]로 발음되기도 한다. /r//ʔ/로 교체 가능한 경우가 많다. 우아포우 방언에 /r/이 남아 있는 이유는 타히티어프랑스어의 영향이거나, *l, *r > /ʔ/의 음운변화가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다.[5]

남부 방언의 /f/ 음소는 폴리네시아조어 에서 왔다. 북부 방언에서는 /h/로 합쳐졌다. 우아포우 방언에서 /f/는 남부 방언, 프랑스어, 영어 차용어에서만 나타난다.[6]

누쿠히바 방언에서 /f s r/은 외래어에만 나타난다.[7]

모음은 /a/ /e/ /i/ /o/ /u/가 있다.

음절 구조는 (C)V(V)이다. 음운론적 단어는 보통 1~3개 음절로 이루어진다. 단어 강세는 다음 규칙을 따른다.[8]

  • 마지막 장모음 또는 3음절 단어의 경우 첫 장모음에 오거나,
    • 장모음이 없는 경우: 마지막 이중모음에 오거나,
      • 이중모음이 없는 경우: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에 온다.

마르키즈어의 또다른 특징으로, 음운론적 절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모음이 장음화되는 현상이 있는데, 이 모음은 장모음보다도 훨씬 길게 발음된다.[9] 이 현상은 마지막 모음이 장모음이 아닌 경우에만 일어난다.

표기법

[편집]

모투 하카 협회(l'Association Motu Haka o Te Henua Ènana)에서 제정한 표기법은 장모음과 성문 파열음을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10]

  • 장모음은 장음 부호로 표기한다. (ā ē ī ō ū)
  • 성문 파열음은 뒤따르는 모음에 억음 부호로 표시한다. (à è ì ò ù)
  • 성문 파열음 뒤에 장모음이 오면 곡절 부호로 표시한다. (â ê î ô û)
  • 동일한 모음 사이에 성문 파열음이 오면 모음 글자를 중복한다. (aa ee ii oo uu)

문법

[편집]

대명사

[편집]

누쿠히바 방언의 인칭대명사 체계는 다음과 같다.

인칭대명사
포함1인칭 배제1인칭 2인칭 3인칭
단수 au/ʻu ʻoe ia
쌍수 taua maua ʻoua ʻaua
복수 tatou matou ʻotou ʻatou

일부 방언에서는 2인칭 대명사가 성문 파열음이 아닌 k로 시작한다.[11]

관사와 지시사

[편집]

일반명사 앞에는 정관사 te가 붙어 한정성을 나타낸다. te는 수와 상관없이 쓰일 수 있지만 쌍수 정관사 na도 존재한다. 관사가 없으면 부정명사이지만, 부정 특정명사 앞에는 관사 titahi가 붙을 수 있다. (정관사 te와 수사 tahi가 합쳐진 형태)

“A는 하나의 B이다.”를 뜻하는 동일성 구문에서는 B 앞에 부정관사 he가 붙는다.

He potu te-nā.
INDEF cat DEF-DEM
“저것은 고양이다.”

지시사는 다음이 있다.

  • nei: 근칭, 화자에게 가까움
  • nā: 중칭, 청자에게 가까움
  • ʻā, aʻa: 원칭, 화자와 청자에게 멂
  • hua: 대용, 기존에 언급됨

첫 세 개의 지시사는 명사 뒤나 명사 앞에 올 수 있다. 명사 앞에 오는 경우 관사와 한덩어리가 되며, 이처럼 관사와 융합한 지시사는 명사 없이 독립적인 지시대명사로 쓰일 수도 있다. 대용지시사인 hua는 명사 앞에 오며 관사와 함께 쓰이지 않는다.

te vehine nei
DEF woman DEM
이 여자
te-nei vehine
DEF-DEM woman
이 여자
te-ʻā
DEF-DEM
저것
hua vehine
DEM woman
(아까 말한) 그 여자

각주

[편집]
  1.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North Marquesan〉.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South Marquesan〉.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3. Charpentier & François (2015:93)에 따름. 단, Mutu & Teìkitutoua (2002)Lynch (2002)에 따라 누쿠히바와 우아포우 방언은 /f//h/의 구분이 없다고 간주함.
  4. Mutu & Teìkitutoua (2002).
  5. Mutu & Teìkitutoua (2002), 20쪽.
  6. Mutu & Teìkitutoua (2002), 27쪽.
  7. Lynch (2002), 865쪽.
  8. Mutu & Teìkitutoua (2002), 34-35쪽.
  9. Mutu & Teìkitutoua (2002), 31-33쪽.
  10. Mutu & Teìkitutoua (2002), x쪽.
  11. Lynch (2002), 867쪽.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