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분망

부분망(Subnetwork) 또는 부분망 마스크(IP Subnet Mask, IP 서브넷 마스크), IP 서브넷은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의 가시적인 부분이다.
IPv4 부분망 구하기[편집]
부분망을 구하는 과정은 한 주소의 네트워크 및 부분망 부분과 호스트 식별자를 구분하는 일을 포함한다. 이는 IP 주소 및 (부분)망 마스크 간 AND 비트 연산을 통해 수행한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주소나 접두사(prefix)가 만들어지며 나머지는 호스트 식별자가 된다.
네트워크 접두사 결정[편집]
IPv4 네트워크 마스크는 32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련의 숫자 1의 블록 뒤에 0으로 이루어진 블록이 뒤따른다. 뒷따르는 0들의 블록은 호스트 식별자의 일부임을 지시한다.
다음은 192.168.5.130이라는 주소와 이와 연계된 /24 네트워크 마스크 (255.255.255.0)으로부터 네트워크 접두사와 호스트 식별자를 구분하는 예이다. 이 연산은 이진 주소 형식을 사용하여 아래의 표로 나타나 있다.
이진 형태 | 닷 데시멀 노테이션 | |
---|---|---|
IP 주소 | 11000000.10101000.00000101.10000010
|
192.168.5.130
|
서브넷 마스크 |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
255.255.255.0
|
네트워크 접두사 | 11000000.10101000.00000101.00000000
|
192.168.5.0
|
호스트 부분 | 00000000.00000000.00000000.10000010
|
0.0.0.130
|
부분망 구하기[편집]
부분망을 구하는 일은 호스트 부분으로부터 일부 상위 비트를 지정하고 서브넷 마스크 형성을 위해 네트워크 마스크 안에 이들을 묶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하나의 네트워크를 더 조그마한 서브넷들로 나눈다. 다음의 표는 호스트 부분에서 2비트를 서브넷 마스크로 이동하여 이전 크기의 1/4만큼 되는 네 개의 더 작은 서브넷들을 형성한 예이다.
이진 형태 | 닷 데시멀 노테이션 | |
---|---|---|
IP 주소 | 11000000.10101000.00000101.10000010
|
192.168.5.130
|
서브넷 마스크 | 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
|
255.255.255.192
|
네트워크 접두사 | 11000000.10101000.00000101.10000000
|
192.168.5.128
|
호스트 부분 |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10
|
0.0.0.2
|
부분망과 호스트 수[편집]
사용 가능한 부분망의 수, 네트워크에서 구현 가능한 호스트의 수는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 하부망을 만들기 위해 두 개의 비트를 빌려옴으로써 4(22)개의 구현 가능한 하부망을 만들 수 있다.
네트워크 | 네트워크 (이진) | 브로드캐스트 주소 |
---|---|---|
192.168.5.0/26
|
11000000.10101000.00000101.00000000
|
192.168.5.63
|
192.168.5.64/26
|
11000000.10101000.00000101.01000000
|
192.168.5.127
|
192.168.5.128/26
|
11000000.10101000.00000101.10000000
|
192.168.5.191
|
192.168.5.192/26
|
11000000.10101000.00000101.11000000
|
192.168.5.255
|
A/24 네트워크는 서브넷 마스크를 1비트씩 연속하여 증가시킴으로써 다음의 부분망으로 나눌 수 있다. 이는 /24 네트워크로 주소 할당이 가능한 호스트의 전체 수에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 줄)
접두사 크기 | 네트워크 마스크 | 이용 가능한 부분망 | 부분망 당 이용 가능한 호스트 수 |
사용 가능한 모든 호스트 수 |
---|---|---|---|---|
/24 | 255.255.255.0
|
1 | 254 | 254 |
/25 | 255.255.255.128
|
2 | 126 | 252 |
/26 | 255.255.255.192
|
4 | 62 | 248 |
/27 | 255.255.255.224
|
8 | 30 | 240 |
/28 | 255.255.255.240
|
16 | 14 | 224 |
/29 | 255.255.255.248
|
32 | 6 | 192 |
/30 | 255.255.255.252
|
64 | 2 | 128 |
/31 | 255.255.255.254
|
128 | 2 * | 256 |
*점대점(P2P) 연결에서만 적용 가능
IPv6 부분망 구하기[편집]
IPv6 주소 공간의 설계는 IPv4와는 상당히 다르다. IPv4에서의 서브네팅의 주 이유는 특히 기업과 같은 곳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주소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IPv6는 커다란 주소 공간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최종 사용자들에게까지도 이러한 제약이 존재하지 않는다.
RFC 4291 호환 서브넷은 항상 호스트 부분에 64 비트의 IPv6 주소를 사용한다.[1] 따라서 / 64 라우팅 프리픽스 (128-64 = 64 개의 최상위 비트)가 있다. 기술적으로 작은 서브넷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2] 무상태(stateless) 주소 자동 구성에 64 비트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더넷 기술을 기반으로하는 근거리 통신망에서는 비효율적이다.[3]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IETF)는 두 개의 호스트로만 구성된 점대 점 링크에 대해 / 127 개의 서브넷을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4][5]
IPv6은 브로드 캐스트 트래픽이나 네트워크 번호에 대한 특수 주소 형식을 구현하지 않으므로[6] 서브넷의 모든 주소는 유효한 호스트 주소이다. 모두 0 인 주소는 서브넷 라우터 애니캐스트(anycast) 주소로 예약된다.[7]
IPv6 가입자 사이트에 대한 권장 할당은 48 비트 (/ 48) 프리픽스가 있는 주소 공간이다.[8] 그러나 이 권장 사항은 예를 들어 56 비트 접두사를 사용하는 등 더 작은 블록을 장려하기 위해 개정되었다.[9] 또 다른 일반적인 할당은 주거용 고객 네트워크에 대한 / 64 프리픽스이다.
IPv6의 서브넷은 가변 길이 서브넷 마스킹 (VLSM) 및 클래스 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 방법론을 기반한다. 서브넷과 인터넷 사이의 전역 할당 공간과 고객 네트워크 내에서 트래픽을 라우팅하는 데 사용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RFC 4291, “IP Version 6 Addressing Architecture - section 2.5.1. Interface Identifiers”. IETF. 2011년 2월 13일에 확인함.
이진 값 000으로 시작하는 주소를 제외한 모든 유니 캐스트 주소의 경우 인터페이스 ID는 64 비트 길이이어야 하며 수정 된 EUI-64 형식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 ↑ RFC 4862, “IPv6 Stateless Address Autoconfiguration - section 5.5.3.(d) Router Advertisement Processing”. IETF. 2011년 2월 13일에 확인함.
라우터 애드버타이즈먼트에 포함된 접두사의 길이가 해당 링크 유형의 인터페이스 식별자 길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것은 시스템 관리자의 책임이다. [...] 구현은 특정 상수를 가정해서는 안된다. 오히려 모든 길이의 인터페이스 식별자가 허용되어야 한다.
- ↑ RFC 2464, “Transmission of IPv6 Packets over Ethernet Networks - section 4 Stateless Autoconfiguration”. IETF.
이더넷 인터페이스의 인터페이스 식별자 [AARCH]는 인터페이스의 내장 된 48 비트 IEEE 802 주소에서 파생 된 EUI-64 식별자 [EUI64]를 기반으로 한다. [...] 이더넷 인터페이스의 상태 비 저장 자동 구성 [ACONF]에 사용되는 IPv6 주소 접두어의 길이는 64 비트이여야 한다.
- ↑ RFC 6164, “Using 127-Bit IPv6 Prefixes on Inter-Router Links”. IETF.
라우터 간 지점 간 링크에서 보안 및 기타 이유로 127 비트 IPv6 접두사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 ↑ RFC 6547, “RFC 3627 to Historic Status”. IETF.
이 문서는 "라우터 간 링크에서의 127 접두사 길이 사용"(RFC 3627)을 "라우터 간 링크에 127 비트 IPv6 접두어 사용"(RFC 6164)에 포함된 업데이트된 지침을 반영하여 기록 상태로 이동한다.
- ↑ RFC 4291, “IP Version 6 Addressing Architecture - section 2 IPv6 Addressing”. IETF.
여기에 IPv6에 브로드 캐스트 주소가 없으며 그 기능은 멀티 캐스트 주소로 대체된다. [...] IPv6에서 모든 0과 모든 1은 특별히 제외되지 않는 한 모든 필드에 대해 유효한 값이다.
- ↑ RFC 4291, “IP Version 6 Addressing Architecture - section 2.6.1 Required Anycast Address”. IETF.
이 애니 캐스트 주소는 인터페이스 식별자가 0으로 설정된 링크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유니 캐스트 주소와 구문론적으로 동일하다.
- ↑ “IPv6 Addressing Plans”. ARIN IPv6 Wiki. 2010년 4월 25일에 확인함.
모든 가입자는 65k 서브넷 이상을 필요로 하지 않는 한 1 / 48을 얻는다. [...] 많은 소비자 고객이있는 경우 / 56을 개인 주택에 할당할 수 있다.
- ↑ “IPv6 Address Assignment to End Sites”. IETF. 2013년 11월 11일에 확인함.
APNIC, ARIN 및 RIPE는 보다 작은 (즉, / 56) 블록을 최종 사이트에 할당하도록 최종 사이트 할당 정책을 개정했다.
외부 링크[편집]
- (영어) Subnetworking - Curl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