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사유 조약 (1787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베트남과 동맹을 맺은 루이 16세
아드란의 주교 피뇨 드 베인, 완복영을 대표해 프랑스로 돌아와 1787년 베르사유 조약을 맺게 한다.
완복영의 장자 완복경, 1878년 당시 7살의 나이로 프랑스로 갔다

1787년의 베르사유 조약(프랑스어: Traité de Versailles de 1787)은 프랑스루이 16세꽝남국의 왕자 완복영(이후 응우옌 왕조자롱제) 간에 체결된 동맹 조약이다.

과정[편집]

1777년, 완복영(응우옌 푹 아인, 阮福暎)이 16살 때 완씨는 떠이선의 난에 멸망했다. 완복영은 추방되어 프랑스의 가톨릭 선교사로 아드란의 주교였던 피뇨 드 비엔로부터 보호와 원조를 받았다. 피뇨 드 비엔은 지지를 얻어내기 위해 ‘루앙남타 왕의 특사’라고 칭하고 완복영의 맏아들 완복경(응우옌 푹 깐, 阮福景)을 데리고 프랑스로 돌아왔다.[1] 당시 7세였던 완복경을 데려간 것은 자신이 완복영의 특사임을 증명하기 위해서였다.[2]

협상의 결과, 루이 16세는 동맹에 동의했다. 1787년 11월 21일 프랑스 외무장관 몽모란 백작과 완복영의 대리인 피뇨 드 비엔이 조약에 서명하고 통과시켰다.[3] 베르사유 조약에서 완복영이 약속한 것은 꼰다오섬(현재의 꼰선섬)을 할양하고 투란 (현재의 다낭)에 프랑스 거류지 설치를 허가하고, 프랑스에게 무역 독점권을 준다는 내용이었다. 대신 루이 16세는 완복영의 복위를 지원하기 위해 4척의 프리깃[2] 1,650명의 원군 (흑인 1,450명과 포병 200명[1])을 보냈다는 내용이었다.

영향[편집]

이 조약은 프랑스가 인도차이나에서 영향력을 늘리는 첫 걸음이 되었지만, 원군을 보내야 했던 폰디체리의 총독 토마스 콘웨이는 원군을 거부했다. 피뇨 드 비엔은 자력으로 용병을 모아야 했지만, 그래도 1789년부터 1799년까지 자롱제가 베트남을 다시 수복하도록 적지 않은 도움을 주었다.[4] 프랑스는 그 후에도 베트남 육군 훈련, 해군의 창설, 보방 스타일의 요새 건축 등 베트남에 원조를 계속했다.[2]

관련항목[편집]

참고 문헌[편집]

  • Mantienne, Frédéric 1999 Monseigneur Pigneau de Béhaine, Editions Eglises d'Asie, 128 Rue du Bac, Paris, ISSN 1275-6865 ISBN 2-914402-20-1


각주[편집]

  1. A History of Vietnam by Oscar Chapuis, p.175
  2. Dragon Ascending by Henry Kamm p.86
  3. Mantienne, p.96
  4. A History of Vietnam by Oscar Chapuis, 173-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