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지니아급 잠수함
![]() USS 버지니아 (SSN-774) | |
개요 | |
---|---|
함종 | 잠수함 |
함급명 | 버지니아 |
제작자 | General Dynamics Electric Boat Northrop Grumman Newport News |
운용자 | ![]() |
이전 함급 | 로스엔젤레스급 잠수함 시울프급 잠수함 |
다음 함급 | 현 최신함 |
계획수 | 48척 |
운용수 | 12척 |
잔존수 | 12척 |
가격 | 26.88억 달러(2016년) |
특징 | |
배수량 | 7,800톤 (경하) 7,900톤 (만재) |
전장 | 377 ft (115 m) |
선폭 | 34 ft (10 m) |
추진 | 1 GE PWR S6G 원자로, 2 터빈 35,000 마력 (26 MW), 1 보조 모터 325 마력 (242 kW), 1 축 |
속력 | 수상 25 노트 (46 km/h) 수중 20 노트 (37 km/h) |
잠수 깊이 | 테스트 800 ft (240 m) 최대 1,600 feet (490 m)[ |
항속거리 | 33년 마다 연료 재장전 |
승조원 | 135 (장교 15, 병사 120) |
무장 | 12 × VLS 토마호크 미사일 4 × 533 mm 어뢰관 (마크 48 어뢰) 27 × 어뢰 & 미사일 (재장전) 부유식 Mk67 기뢰 이동식 Mk60 기뢰 |
탐지 | BQQ-5 패시브 소나 BQS-15 탐지 및 거리측정 소나 WLR-8 화력 관제 레이더 수신기 WLR-9 액티브 소나와 음향 유도 어뢰를 탐지하는 음향 수신기 BRD-7 무선 방향 표지기 |
전자전 | WLR-10 contermeasures set |
작전일수 | 90 일간 연속잠수 |
버지니아급 잠수함은 2010년 현재 미국의 최신형 공격원잠(SSN)이다.
배수량 7천톤인 LA급 잠수함은 62척이나 건조되어 전 세계에서 작전했다. 이를 이어 배수량 9천톤인 시울프급 잠수함 29척을 계획했으나, 냉전이 종식되면서 3척만 건조하고 시울프 계획은 취소되었으며, 보다 소형인 배수량 8천톤, 척당 3조원인 버지니아급 잠수함을 건조중이다. 즉 미국의 주력 공격원잠(SSN)은 7천톤 LA급에서 8천톤 버지니아급으로 교체되고 있는 중이다.
반면, 러시아판 LA급은 아쿨라급 잠수함이다. 1991년 소련이 멸망할 때까지 아쿨라급이 건조되고 있었다. 그 후 2010년 러시아는 아쿨라급의 후속형 야센급 잠수함 1번함을 건조했다.
미국 해군 : LA급 잠수함 62척 -> 시울프급 잠수함 3척 (취소) -> 버지니아급 잠수함 30척 (건조중)
러시아 해군 : 아쿨라급 잠수함 17척 -> 야센급 잠수함 7척 (건조중)
수직발사관[편집]
LA급 잠수함은 원래 수직발사관이 없고 533mm 어뢰관만 장착했다. 그러나 후기형 31척에는 12개의 토마호크 미사일용 수직발사관(VLS)이 장착되었다. 버지니아급도 12개의 토마호크 미사일용 수직발사관(VLS)이 장착되었다.
디젤[편집]
미국에서 18척의 버지니아급 잠수함 건조 예산 290억 달러(34조원)로 AIP 장착 디젤 잠수함 30척을 건조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1]
더 보기[편집]
- 애스튜트급 잠수함 - 2010년 현재 영국의 최신형 공격원잠(SSN)
- 야센급 잠수함 - 2010년 현재 러시아의 최신형 공격원잠(SSN)
- 루비급 잠수함 - 2010년 현재 프랑스의 최신형 공격원잠(SSN)
- 샹급 잠수함 - 2010년 현재 중국의 최신형 공격원잠(SSN)
- 버지니아급 잠수함 - 2010년 현재 미국의 최신형 공격원잠(SSN)
각주[편집]
- ↑ [천영우 칼럼]우리에게 원자력 잠수함이 필요한가, 동아일보, 2016-09-08
사용 중인 SSN | |
---|---|
![]() | |
![]() | |
![]() | |
![]() | |
![]() | |
![]() | |
![]() | |
---|---|
로스앤젤레스 급(SSGN) |
|
버지니아 급(SSN) | |
씨울프 급(SSN) | |
기울임체는 미 건조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