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백수하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수하천(영어: whitewater river)은 화학조성, 퇴적물, 물색을 기준으로 분류되는 하천의 범주다. 백수하천은 높은 수준의 부유퇴적물을 가지고 있고, 산성도는 중성에 가까우며, 전기전도도가 높고, 진흙이 섞여 크림커피 같은 색을 띤다.[1] 가장 잘 알려진 백수하천은 아마존강 본류다. 하지만 남미의 다른 지역, 그리고 다른 대륙에도 백수하천들이 있다.[1][2][3][4] 백수하천은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영세어업의 주무대가 되기도 한다. 아마존강 유역의 범람원들은 백수하천으로부터 물과 영양분을 공급받는다.[5][6]

아마존강의 지류들은 백수・흑수청수 세 범주로 구분되는데, 이 시스템은 1853년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가 처음 제안했지만, 1950년대-1980년대에 하랄트 지올리가 화학에 의거한 보다 명확한 정의를 확립시켰다.[7][8][9] 대부분의 아마존 지류들은 분명하게 흑수・청수・백수 중 하나의 범주에 속하지만, 일부 하천에서는 혼합된 특성이 나타나며, 계절 및 홍수에 따라 수질이 달라질 수 있다.[10]

남미 밖에서는 아프리카나이저강 본류[11]청나일강잠베지강 중하류,[4] 아시아의 메콩강 본류[12]를 비롯해서 남아시아동남아시아의 대형 하천의 지류 대부분,[4] 그리고 유럽에서는 다뉴브강의 일부 구간이 백수하천의 성질을 나타낸다.[13]

각주[편집]

  1. Harris, R.; P. Hutchison (2007). 《The Amazon》 3판. Bradt Travel Guide. 100쪽. ISBN 978-1841621739. 
  2. Vásquez, E.; J. Rey (1989). “A longitudinal study of zooplankton along the Lower Orinoco River and its Delta (Venezuela)”. 《Annales de Limnologie》 25 (2): 107–120. doi:10.1051/limn/1989011. 
  3. Padisák, J.; C.S. Reynolds; U. Sommer (1993), 《Intermediate Disturbance Hypothesis in Phytoplankton Ecology: Proceedings of the 8th Workshop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Phytoplankton Taxonomy and Ecology held in Baja (Hungary), 5–15 July 1991》,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18쪽 
  4. Winemiller, K.O.; A.A. Agostinho; É.P. Caramaschi (2008). 〈Fish Ecology in Tropical Streams〉. Dudgeon, D. 《Tropical Stream Ecology》. Academic Press. 107–146쪽. ISBN 978-0-12-088449-0. 
  5. Parolin, P.; L.V. Ferreira; A.L.K.M. Albernaz; S. Almeida (2004). “Tree species distribution in Varzea Forests of Brazilian Amazonia”. 《Folia Geobotanica》 39 (4): 371–383. doi:10.1007/bf02803209. S2CID 30470801. 
  6. Junk, W.J.; M.G.M. Soares; P.B. Bayley (2007). “Freshwater fishes of the Amazon River Basin: their biodiversity, fisheries, and habitats”. 《Aquatic Ecosystem Health and Management》 10 (2): 153–173. doi:10.1080/14634980701351023. S2CID 83788515. 
  7. Duncan, W.P.; M.N. Fernandes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white, black, and clearwater rivers of the Amazon Basin and its implications on the distribution of freshwater stingrays (Chondrichthyes, Potamotrygonidae)”. 《PanamJAS》 5 (3): 454–464. 
  8. Ríos-Villamizar, E.A.; M.T.F. Piedade; J.G. da Costa; J.M. Adeney; J. Junk (2013). “Chemistry of different Amazonian water types for river classification: A preliminary review”. 
  9. Sioli, H., 편집. (1984). 《The Amazon: Limnology and landscape ecology of a mighty tropical river and its basin》. ISBN 978-94-009-6544-7. 
  10. Goulding, M.; Carvalho, M. L. (1982). “Life history and management of the tambaqui (Colossoma macropomum, Characidae): an important Amazonian food fish”. 《Revista Brasileira de Zoologia》 1 (2): 107–133. doi:10.1590/S0101-81751982000200001. 
  11. Thieme, M.L.; R. Abell; N. Burgess; B. Lehner; E. Dinerstein; D. Olson (2005). 《Freshwater Ecoregions of Africa and Madagascar: A Conservation Assessment》. Island Press. 60–62쪽. ISBN 1-55963-365-4. 
  12. Baird, I.G.; B. Phylavanh; B. Vongsenesouk; K. Xaiyamanivong (2001). “The ecology and conservation of the smallscale croaker Bosemania microlepis (Bleeker 1858-59) in the mainstream Mekong River, Southern Laos”. 《Nat. Hist. Bull. Siam Soc.》 49: 161–176. 
  13. Markert, B.; S. Fränzle; S. Wünschmann (2015). 《Chemical Evolution: The Biological System of the Element》.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111–112쪽. ISBN 978-3-319-143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