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명훈
보이기
![]() | |
---|---|
작가 정보 | |
출생 | 1978년 6월 5일 부산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소설가 |
활동기간 | 2004년 ~ |
장르 | 과학 소설 / 판타지 |
수상 | 제46회 서울대학교 대학문학상, 제2회 과학기술 창작문예, 제1회 문학동네 젊은작가상 |
주요 작품 | |
《안녕, 인공존재!》, 《타워》, 《신의 궤도》, 《은닉》 | |
영향 | |
영향 받은 인물 | 필립 K. 딕 |
배명훈(裵明勳, 1978년 6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과학소설 작가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 후, 서울대학교 대학원 외교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1]
2005년 〈Smart D〉로 과학기술 창작문예 단편부문을 수상했다.[2] 같은 해 11월 25일 환상문학 웹진 거울에 〈다이어트〉를 발표하면서 필진으로 합류한 이래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작품을 발표하고 있다. 《에스콰이어》 2007년 1월호에서 "The Newest: 2007년 우리가 주목해야 할 대중문화 예술의 첨병 14인"에 선정되었다. 2010년에는 '안녕, 인공존재!'로 2010 문학동네 젊은작가상을 수상했다.
작품 및 저작
[편집]중 · 단편 소설
[편집]- 〈테러리스트〉 - 2004년
- 제46회 서울대학교 대학문학상 단편부문 우수상 수상.[3]
- 〈Smart D〉 - 2005년, 《과학동아》 2005년 12월호
- 제2회 과학기술창작문예 단편부문 수상.
- 〈다이어트〉 - 2005년 11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30호
- 〈연애편지〉 - 2005년 12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31호
- 〈그녀에게 안경을 선물하기〉 - 2006년 1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32호
- 〈Military! Fantastic! - 군대에서 눈 치운 이야기 -〉 - 2006년 1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32호
- 〈냉동인간과의 인터뷰〉 - 2006년 2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33호
- 〈이웃집 신화〉 - 2006년 2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33호
- 〈청혼〉 - 2006년 3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34호 / 2010년 8월, 《문예중앙》 2010년 가을호(통권 123호)
- 〈모〉 - 2006년 6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36호
- 〈355 서가〉 - 2006년 6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37호
- 〈철거인(鐵巨人) 6628〉 - 2006년 7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38호
- 〈밀실은 공습 임무 중〉 - 2006년 8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39호
- 〈누군가를 만났어〉 - 2006년 9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40호
- 〈혁명이 끝났다고?〉 - 2006년 10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41호
- 〈플레인 요구르트〉 - 2006년 11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42호
- 〈스윙 바이〉 - 2006년 11월, 《Happy SF》 2호
- 〈석기창비록(石器倉秘錄)〉 - 2006년 12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43호
- 〈비몽사몽〉 - 2007년 3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46호
- 〈조개를 읽어요〉 - 2007년 4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47호 / 2007년 11월, 웹진 크로스로드
- 〈매뉴얼〉 - 2007년 6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49호
- 〈논문 공장〉 - 2007년 6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49호
- 〈우주로 날아간 마도로스〉 - 2007년 7월, 《판타스틱》 Vol.3
- 〈머나먼 퇴근〉 - 2007년 11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54호
- 〈야간 순찰〉 - 2007년 12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54.5호 (성탄 특집 초단편)
- 〈바이센테니얼 챈슬러〉 - 2007년 12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55호 / 2008년 4월, 《판타스틱》 Vol.12
- 〈인섹트 플라이트〉 - 2007년 12월, 《판타스틱》 Vol.8
- 〈예언자의 겨울〉 - 2008년 1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56호
- 〈마탄강 유역〉 - 2008년 3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58호
- 〈초록연필〉 - 2008년 3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58호
- 〈영웅〉 - 2008년 6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61호
- 〈냉방노조 진압작전〉 - 2008년 7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62호
- 〈수이〉 - 2008년 9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64호
- 〈예비군 로봇〉 - 2008년 9월, 《판타스틱》 Vol.17 / 2009년 6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73호 / 2009년 10월, 네이버 오늘의 문학
- 〈마리오의 침대〉 - 2009년 3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70호
- 〈안녕, 인공존재!〉 - 2009년 12월, 《문학동네》 2009년 겨울호(통권 61호)
- 제1회 문학동네 젊은작가상 (2010) 수상.
- 〈천상열차〉 - 2010년 5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84호
- 〈변신합체 리바이어던〉 - 2010년 2월, 문장 글틴
- 〈예술과 중력가속도〉 - 2010년 12월, 《창작과 비평》 2010년 겨울호(통권 150호)
- 〈폭격〉 - 2011년, 《한국문학》 2011년 봄호 / 2012년 11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113호 / 2012년 12월, 《프레시안》 12월 25일자[4]
- 〈톱니〉 - 2011년, 《데이즈드&컨퓨즈드》 2011년 10월호
- 〈고양이 왼손 자리〉 - 2011년, 《엘르 걸》 2011년 11월호
- 〈세 번째 계단〉 - 2012년 2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105호
- 〈난공불락대작전〉 - 2012년, 《한국문학》 2012년 가을호
- 〈티케팅 & 타게팅 Archived 2014년 8월 2일 - 웨이백 머신〉 - 2012년 11월, 문장웹진 12월호
- 〈유물위성〉 - 2013년, 《과학동아》 2013년 3월호
- 〈뒷면의 우주 Archived 2020년 8월 10일 - 웨이백 머신〉 - 2013년 4월, 문장 글틴
- 〈홈스테이〉 - 2013년, 《과학동아》 2013년 7월호
- 〈초원의 시간〉 - 2013년, 《과학동아》 2013년 11월호
- 〈접점의 실루엣〉[5] - 2013년, 《확장된 개념의 경이의 방》 전시연계 책자
- 〈양떼자리〉 - 2015년 2월, 한겨레21 제1050호
- 〈배신하는 별〉 - 2015년 6월, 《미스테리아》 제1호
공동 작품집
[편집]일반 단행본
[편집]- 《2005 과학기술 창작문예 수상작품집》- 2006년 1월, 동아사이언스. 160쪽, ISBN 8991844065
- 〈Smart D〉 (단편소설 부문 수상작)
- 《2006 과학기술 창작문예 수상작품집》- 2006년 11월, 동아사이언스. 276쪽, ISBN 8991844308
- 〈모〉 (초청작품)
- 《누군가를 만났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07년 1월, 행복한책읽기. 526쪽, ISBN 9788989571445
- 〈이웃집 신화〉
- 〈누군가를 만났어〉
- 〈임대전투기〉
- 〈철거인(鐵巨人) 6628〉
- 〈355 서가〉
- 《잃어버린 개념을 찾아서》- 2007년 11월, 창비. ISBN 9788936456054
- 〈엄마의 설명력〉 - 이 책에서 처음 발표한 신작.
- 《한국 환상문학 단편선》- 2008년 7월, 황금가지. ISBN 9788960172555
- 〈초록연필〉
- 《앱솔루트 바디》- 2008년 9월, 해토. ISBN 9788990978745
- 〈조개를 읽어요〉
- 《U, ROBOT》- 2009년 2월, 황금가지. ISBN 9788960171923
- 〈매뉴얼〉
- 《한국 환상문학 단편선 2》- 2009년 8월, 시작. ISBN 9788901098661
- 〈얼굴이 커졌다〉 - 이 책에서 처음 발표한 신작.
- 《백만 광년의 고독》- 2009년 12월, 오멜라스. ISBN 8901103028
- 〈방해하지 마세요〉 - 이 책에서 처음 발표한 신작.
- 《2010 제1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2010년 3월, 문학동네. ISBN 9788954610797
- 〈안녕, 인공존재!〉
- 《헬로, 미스터 디킨스》 - 2012년 12월, 이음. ISBN 9788993166576
- 〈타이베이 디스크〉 - 이 책에서 처음 발표한 신작.
- 《파란 아이》 - 2013년 5월, 창비. ISBN 9788936456504
- 〈푸른파 피망〉
- 《열일곱: 열일곱 명의 작가 열일곱 개의 이야기》 - 2016년 7월, 알라딘 도서팀
- 〈폭군으로서〉 - 이 책에서 처음 발표한 신작.
- 알라딘 17주년을 맞아 17명의 작가들이 집필한 엽편소설을 하나로 묶은 이벤트 책자. 동일 내용의 전자책으로도 배포되었다.
웹진 거울 단편선
[편집]- 환상문학웹진 거울 흡혈귀 단편선 《혈중환상농도 13%》 - 2006년 7월, 웹진 거울.
- 〈냉동인간과의 인터뷰〉
- 2006 환상문학웹진 거울 중단편선 《변신!》 - 2006년 11월, 웹진 거울.
- 〈연애편지〉
- 〈다이어트〉
- 환상문학웹진 거울 외계인 단편선 《제 15종 근접조우》 - 2007년 7월, 웹진 거울.
- 〈석기창비록(石器倉秘錄)〉
- 2007 환상문학웹진 거울 중단편선 《비몽사몽》 - 2007년 11월, 웹진 거울.
- 〈비몽사몽〉
- 환상문학웹진 거울 고양이 단편선 《달과 아홉 냥》 - 2008년 7월, 웹진 거울.
- 〈고양이 플롯〉 - 이 책에서 처음 발표한 신작.
- 2008 환상문학웹진 거울 중단편선 《눈 늑대》 - 2008년 11월, 웹진 거울.
- 〈마탄강 전투〉[6]
- 2009 환상문학웹진 거울 중단편선 《잃어버린 시간의 연대기》 - 2009년 12월, 웹진 거울.
- 〈수이〉
- 환상문학웹진 거울 타로카드 단편선 《타로카드 22제》 - 2009년 12월, 웹진 거울.
- 〈위대한 수습〉 - 이 책에서 처음 발표한 신작.
- 2010 환상문학웹진 거울 중단편선 《묘생만경》 - 2010년 11월, 웹진 거울.
- 〈천상열차〉
- 2012 환상문학웹진 거울 중단편선 《죽음을 부탁하는 상냥한 방법》 - 2012년 11월, 웹진 거울.
- 〈세 번째 계단〉
기타 출판물
[편집]- 《에스콰이어》 2011년 10월호 별책 SF 단편선 《Multiverse》 - 2011년, (주)가야미디어.
- 〈발자국〉 - 이 책에서 처음 발표한 신작.
- 잡지 《에스콰이어》 창간 16주년 기념호 별책부록.
- 작품이 실린 작가들이 릴레이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소개하는 서문을 집필했는데, 배명훈은 윤이형의 〈오보에가 있는 토요일〉을 담당.
- 호연마을 피망 단편선 《호연피망》 - 2012년 7월, 호연마을.
- 〈푸른파 피망〉 - 이 책에서 처음 발표한 신작.
단편집
[편집]- 《타워》 - 2009년 6월, 오멜라스. ISBN 9788901096438
- 〈동원 박사 세 사람: 개를 포함한 경우〉
- 〈자연예찬〉
- 〈타클라마칸 배달 사고〉
- 〈엘리베이터 기동연습〉
- 〈광장의 아미타불〉
- 〈샤리아에 부합하는〉
- 부록 1. 작가 K의 《곰신의 오후》 중에서
- 부록 2. 카페 빈스토킹 - 《520층 연구》 서문 중에서
- 부록 3. 내면을 아는 배우 P와의 ‘미친 인터뷰’
- 부록 4. 타워 개념어 사전
- 작가의 말
- 《타워》를 읽고 (이인화의 해설)
- 《안녕, 인공존재!》- 2010년 6월, 북하우스. ISBN 9788956054605
- 〈크레인 크레인〉 - 이 책에서 처음 발표한 신작.
- 〈누군가를 만났어〉
- 〈안녕, 인공존재!〉
- 〈매뉴얼〉
- 〈얼굴이 커졌다〉
- 〈엄마의 설명력〉
- 〈변신합체 리바이어던〉
- 〈마리오의 침대〉
- 그는 상상력이다 (신형철의 해설)
- 출간사유서
- 《총통각하》 - 2012년 10월, 북하우스, ISBN 9788956056104 (삽화/ 이강훈)
- '총통' 혹은 '각하'로 상징되는 정치권력을 테마로 삼아 집필된 연작 소설집. 2012년 9월 3일부터 10월 9일까지 인터넷 서점 YES24의 공식 블로그에서 〈바이센테니얼 챈슬러〉~ 〈발자국〉의 4편을 온라인 연재한 후에 종이책으로 출간.[9]
- 《예술과 중력가속도》 - 2016년 11월, 북하우스. ISBN 9788956057859
- 〈유물위성〉
- 〈스마트 D〉
- 〈조개를 읽어요〉
- 〈예언자의 겨울〉
- 〈티켓팅 & 타겟팅〉
- 〈예술과 중력가속도〉
- 〈홈스테이〉
- 〈예비군 로봇〉
- 〈초원의 시간〉
- 〈양떼자리〉
- 해설 정세랑(소설가): 초원에서 올려다보는 빛나는 인공위성
- 작가의 말
장편소설
[편집]- 《신의 궤도 1 - 빨간 비행기》 - 2011년 8월, 문학동네. ISBN 9788954615723
- 《신의 궤도 2 - 하얀 비행기》 - 2011년 8월, 문학동네. ISBN 9788954615730
- 《은닉》 - 2012년 6월, 북하우스. ISBN 9788956055978
- 제1회 SF어워드 장편소설 부문 우수상 수상.[10]
- 《청혼》[11] - 2013년 7월, 문예중앙. ISBN 9788927804550
- 《가마틀 스타일》[12] - 2014년 8월, 은행나무, ISBN 9788956607900
- 《맛집 폭격》 - 2014년 12월, 북하우스, ISBN 9788956058078
- 《첫숨》 - 2015년 11월, 문학과지성사. ISBN 9788932028071
동화
[편집]- 《끼익끼익의 아주 중대한 임무》- 2011년 4월, 킨더주니어. ISBN 9788956185743 (그림/ 이병량)
에세이
[편집]- 〈아니, 아직도 절필 안 하셨어요?〉 - 2006년 6월 3일, 환상문학웹진 거울 36호.
- 〈리뷰: 조수미, I wonder as I wander[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2007년 12월 20일, 환상문학웹진 거울 54.5호.
- 〈"시간의 잔상"의 역사〉 - 2008년 1월 26일, 환상문학웹진 거울 56호.
- 《아시모프의 과학소설 창작백과》 - 2008년, 오멜라스. ISBN 9788901088068
- 작품해설 〈《아시모프의 과학소설 창작백과》 오해 없이 읽기〉 수록.
- 〈그 여자는 모르는 별 이야기〉 - 2009년 5월 11일, 《프레시안》.
- 〈나의 길티플레져: 욕하는 거야, 재밌잖아?〉 - 2009년 8월 7일, 《씨네21》.
- 《나는 가짜다: 작가가 그린 자화상》 - 2010년, 헤럴드미디어. ISBN 9788985756334
- 〈귀를 키워라〉 수록.
- 〈돌화살촉〉 - 2010년, 《레이디경향》 2010년 6월호.
- 〈샤룩 칸 그가 곧 인도영화다〉 - 2011년 3월 29일, 《씨네21》.
- 〈고양이의 나라, 사람의 나라 Archived 2012년 10월 4일 - 웨이백 머신〉 - 2012년 7월 5일, 《시사IN》 250호.
- 〈휴가와 작은 권력들 Archived 2012년 10월 4일 - 웨이백 머신〉 - 2012년 8월 2일, 《시사IN》 254호.
- 〈서울에 펼쳐진 보병밀집방진이라니… Archived 2012년 10월 4일 - 웨이백 머신〉 - 2012년 8월 30일, 《시사IN》 258호.
- 〈나만 ‘중립’이라는 기막힌 착각 Archived 2012년 10월 6일 - 웨이백 머신〉 - 2012년 9월 27일, 《시사IN》 262호.
- 〈지긋지긋한 절대반지 이야기[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2012년 11월 1일, 《시사IN》 267호.
- 〈소설가의 정치적 발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2012년 11월 29일, 《시사IN》 271호.
- 〈정치를 관전하는 시간이 끝나면 Archived 2013년 5월 21일 - 웨이백 머신〉 - 2012년 12월 26일, 《시사IN》 275호.
- 〈지금이 웃을 때야? 제대로 웃을 때지!〉 - 2013년 1월 4일, 《프레시안》.
- 〈JYJ 콘서트 티켓을 예매한 이유 Archived 2013년 1월 29일 - 웨이백 머신〉 - 2013년 1월 23일, 《시사IN》 279호.
- 〈“혹시 외계인이랑 교신하는 일 하세요?” Archived 2013년 5월 21일 - 웨이백 머신〉 - 2013년 2월 25일, 《시사IN》 284호.
- 〈<세 얼간이>에서 빠졌던 것들 Archived 2013년 5월 21일 - 웨이백 머신〉 - 2013년 3월 26일, 《시사IN》 288호.
- 〈“돈은 많이 못 줘. 네가 좋아서 하는 거니까” Archived 2013년 5월 21일 - 웨이백 머신〉 - 2013년 5월 1일, 《시사IN》 293호.
- 〈다시는 이 바닥에 발 못 붙이게 하겠다고?[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2013년 5월 30일, 《시사IN》 297호.
- 〈한국은 작은 나라일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2013년 6월 26일, 《시사IN》 301호.
- 〈남이 죽어 다행?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 2013년 7월 27일, 《시사IN》 305호.
- 〈국회가 생산해야 할 가장 중요한 것? Archived 2014년 2월 22일 - 웨이백 머신〉 - 2013년 8월 23일, 《시사IN》 309호.
- 〈시원함을 앗아간 국가 Archived 2014년 2월 22일 - 웨이백 머신〉 - 2013년 9월 23일, 《시사IN》 313호.
- 〈'꼰대'가 모르는 게임의 미학 Archived 2014년 2월 23일 - 웨이백 머신〉 - 2013년, 《ARENA》 2013년 12호.
- 〈접합면에서 본 “융합”〉 - 2013년, 《확장된 개념의 경이의 방》 공식홈페이지.
- 《눈먼 자들의 국가: 세월호를 바라보는 작가의 눈》 - 2014년, 문학동네, ISBN 9788954626071
- 〈누가 답해야 할까?〉 수록.
- 《연애소설이 필요한 시간 - 진짜 연애는 아직 오지 않았다》 - 2015년 10월, 부키. ISBN 9788960515192
- 〈무모하게 사랑할 특권 - 《데브다스》〉 수록.
라디오 드라마
[편집]- 드라마가 끝난 뒤에 짤막한 작가 인터뷰가 이어지는 형식으로 구성.
- 기획/ 윤석훈. 기술/ 이흥규. 음악/ 강진호. 효과/ 안익수, 윤미원, 김기평. 구성/ 서현이. 제작/ 서승표. 진행/ 김경란.
플래시 애니메이션
[편집]- 《문학나눔》의 '문학집배원' 코너에서 간단한 애니메이션을 곁들인 소설 낭독 형식으로 소개. 원작의 중간 부분까지만을 다루고 있음.
- 낭송/ 홍서준, 안민영. 캐리커처/ 송동근. 음악/ 정진영. 녹음/ 한철녹음실. 애니메이션/ 하라. 프로듀서/ 김태형. 해설/ 은희경
참고 문헌
[편집]- 〈《U, ROBOT》 작가와의 만남〉, SF무크지 《미래경》 Vol.1, 208~216쪽, 2009년 7월, SF&판타지도서관.
- 〈작가와의 만남: 배명훈〉, SF무크지 《미래경》 Vol.2, 358~377쪽, 2010년 8월, SF&판타지도서관.
- 2009년 11월 21일에 SF&판타지도서관에서 개최된 작가 좌담회 녹취록.
- 허윤진, 〈우정, 혹은 데탕트.〉, 《문예중앙》 2011년 여름호(통권 126호), 2011년 5월. 중앙북스.
- 〈폭격〉에 대한 리뷰.
- 김윤식, 《혼신의 글쓰기, 혼신의 읽기》, 2011년 9월, 도서출판 강. ISBN 9788982181665
- 〈안녕, 인공존재!〉, 〈예술과 중력가속도〉 비평 수록.
- 강지희, 〈장르의 표면장력 위로 질주하는 소설들〉, 《창작과 비평》 2011년 가을호(통권 153호), 2011년 9월, 창비.
- 제2장에서 〈청혼〉 분석.
- 복도훈, 〈데카르트의 SF적 후예들―배명훈과 김보영의 소설을 중심으로〉, 《LIST》 제20호, 2013년 여름, 한국문학번역원.
- 《안녕, 인공존재!》, 《신의 궤도》, 《총통각하》를 소개.
- 〈배명훈 인터뷰 - "과학문화는 SF작가에게는 인프라" Archived 2015년 1월 28일 - 웨이백 머신〉, 《과학동아》 2013년 9월호, 168~169쪽, 2013년 8월, 동아사이언스.
각주
[편집]- ↑ 석사학위논문 《'슐리펜 플랜' 논쟁의 전략 사상적 기초》로 사회과학대학 우수논문상 수상.
- ↑ '2005 과학기술 창작문예 공모전 시상식'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과학동아》, 2005년 12월호)
- ↑ '제46회 대학문학상 당선작 발표' (서울대학교 대학신문, 2005년 11월)
- ↑ 그밖에 북하우스에서 편집한 한정판 소책자 《맛집 폭격 매뉴얼북》에 수록.
- ↑ 연작소설 《타워》와 설정을 공유하는 단편. 2013년 11월 16일부터 11월 30일까지 대학로 아르코미술관에서 개최된 전시 이벤트인 《확장된 개념의 경이의 방》의 일환으로 집필되었다. 전시장에 설치된 건축가 문훈의 작품은 바로 이 단편에서 영감을 얻어 만들어진 것이다.
- ↑ 〈마탄강 유역〉과 동일 작품.
- ↑ 〈마탄강 유역〉과 동일 작품.
- ↑ 북하우스 공식 블로그에서 사본 열람 가능.
- ↑ '지난 5년 간 ‘각하’한테서 영감을 받아 쓴 《총통각하》' (《채널예스》, 2012년 9월)
- ↑ 과학과 SF문화 융합의 미래를 보다 - 2014년 제1회 SF어워드 시상식 개최 (사이언스타임즈, 2014년 10월 6일) Archived 2015년 1월 28일 - 웨이백 머신 - 2015년 1월 24일 확인
- ↑ 동명 단편의 확장판으로 엄밀히는 중편소설이지만 단행본 한 권으로 출간되었다.
- ↑ '은행나무 노벨라' 시리즈 제1탄. '젊은 감성을 위한 테이크아웃 소설'이라는 광고문구에서도 알 수 있듯이 중편소설이지만 단행본 한 권으로 출간되었다.
외부 링크
[편집]- 작가 프로필 (창비)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 작품 게시판 (환상문학웹진 거울)
- 공식 트위터
- 배명훈님과의 대담 (환상문학웹진 거울 33호, 2006년 2월 25일) - 2013년 2월 1일 확인
- 배명훈님 자작 인터뷰 (환상문학웹진 거울 46호, 2007년 3월 31일) - 2013년 2월 1일 확인
- 누군가를 만났어 - 배명훈 김보영 박애진을 만나다 - 1/2 (환상문학웹진 거울 46호, 2007년 3월 31일) - 2013년 2월 1일 확인
- 누군가를 만났어 - 배명훈 김보영 박애진을 만나다 - 2/2 (환상문학웹진 거울 46호, 2007년 3월 31일) - 2013년 2월 1일 확인
- 배명훈 〈비몽사몽〉 - 24차 거울 합평회 (환상문학웹진 거울 46호, 2007년 3월 31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2013년 2월 1일 확인
- 배명훈 〈초록연필〉리뷰 (환상문학웹진 거울 63호, 2008년 8월 29일) - 2013년 2월 1일 확인
- 글 쓰는 사람들: 낯설지만 익숙한 소설 배명훈 (마리끌레르, 2008년 10월)[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2012년 9월 20일 확인
- 건물 하나에 압축된 욕망의 정치학: 배명훈 《타워》 제1부 리뷰 (환상문학웹진 거울 71호, 2009년 4월 24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2013년 2월 1일 확인
- 그곳에도 사람이 살고 있었네: 배명훈 《타워》 제2부, 제3부 리뷰 (환상문학웹진 거울 72호, 2009년 5월 29일) - 2013년 2월 1일 확인
- 배명훈 특집 기획 ① 독점 인터뷰 - 작가 배명훈을 만나다 1/2 (환상문학웹진 거울 73호, 2009년 6월 27일) - 2013년 2월 1일 확인
- 배명훈 특집 기획 ① 독점 인터뷰 - 작가 배명훈을 만나다 2/2 (환상문학웹진 거울 73호, 2009년 6월 27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2013년 2월 1일 확인
- 배명훈 특집 기획 ② 내가 본 배명훈 (환상문학웹진 거울 73호, 2009년 6월 27일) - 2012년 2월 1일 확인
- 배명훈 특집 기획 ③ 배명훈 단편 리뷰: 소설과 이야기, 그리고 상상력 (환상문학웹진 거울 73호, 2009년 6월 27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2013년 2월 1일 확인
- “SF는 소재일뿐… 주제는 사회 현실” (동아일보, 2009년 6월 9일) - 2015년 1월 25일 확인
- L씨에게 창작지원 받았어요~ 〈타워〉 쓴 소설가 배명훈 (《씨네21》, 2009년 7월 24일) - 2012년 10월 6일 확인
- "환상적 배경 속 우리 사는 세상 담았죠" - 소설가 배명훈 (주간한국, 2009년 8월 27일) - 2012년 10월 23일 확인
- 한국형 대중작가의 길 가는 배명훈·김이환·강지영 (경향신문, 2010년 3월 28일) - 2012년 10월 22일 확인
- 제1회 젊은작가상 수상자 배명훈님을 만나다 (환상문학웹진 거울 84호, 2010년 5월 29일) - 2013년 2월 1일 확인
- 김은경 인터뷰: 그의 여주인공이 된다는 것은 (환상문학웹진 거울 84호, 2010년 5월 29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2013년 2월 1일 확인
- 작가 배명훈을 아시나요? (무비스트, 2010년 5월 24일) Archived 2016년 3월 9일 - 웨이백 머신 - 2012년 9월 20일 확인
- "다양한 스펙트럼 중 일부분 뽑았어요" - 소설가 배명훈 (주간한국, 2010년 6월 24일) / 인터뷰 풀버전 Archived 2016년 3월 7일 - 웨이백 머신 - 2012년 9월 23일 확인
- 한국문학의 최전선 - 작가 배명훈·조현의 SF소설 예찬 (위클리경향 884호, 2010년 7월 20일) - 2012년 9월 23일 확인
- SF계의 젊은피 배명훈, 달콤한 SF를 들고 돌아왔다 《안녕, 인공존재》 (교보문고 북뉴스, 2010년 8월 9일) Archived 2016년 3월 6일 - 웨이백 머신 - 2012년 9월 20일 확인
- 새로운 세계로의 초대 《신의 궤도》 배명훈 작가 인터뷰 (리브로 부커스, 2011년 9월 28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2012년 9월 20일 확인
- 안녕, 배명훈! (《M25》, 2011년 10월 9일) - 2012년 10월 6일 확인
- "너, 어느 별에서 왔니?" - 배명훈 《신의 궤도》 (예스24, 2011년 10월) - 2012년 9월 20일 확인
- 《신의 궤도》 배명훈 작가와 함께 별 보러 가기 (알라딘, 2011년 12월 2일) - 2012년 9월 20일 확인
- 《신의 궤도》 합평회(120211) 녹취록 (환상문학웹진 거울 106호, 2012년 3월 31일) - 2013년 2월 1일 확인
- 《은닉》 배명훈 저자 인터뷰 (네이버, 2012년 6월) - 2012년 9월 20일 확인
- 장편소설 '은닉'출간한 배명훈 인터뷰 (한국일보, 2012년 7월 1일) - 2012년 9월 23일 확인
- Meet him! 작가 배명훈 (대학내일 제616호, 2012년 7월) - 2012년 10월 4일 확인
- 한국 BEST SF작가 10인, 배명훈(1) 인간사회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 (사이언스타임즈, 2012년 7월 3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2012년 9월 20일 확인
- 한국 BEST SF작가 10인, 배명훈(2) 배명훈의 과학소설은 '생활SF' (사이언스타임즈, 2012년 7월 10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2012년 9월 20일 확인
- 한국 BEST SF작가 10인, 배명훈(3) 이념 편향적 사고의 경직성으로 인한 위험성 경계 (사이언스타임즈, 2012년 7월 17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2012년 9월 20일 확인
- 한국 BEST SF작가 10인, 배명훈(4) 문제 원인을 내부에서 찾는 신실함 (사이언스타임즈, 2012년 7월 25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2012년 9월 20일 확인
- 한국 BEST SF작가 10인, 배명훈(5) 몇가지 아쉬움, 그리고 큰 기대 (사이언스타임즈, 2012년 8월 1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2012년 9월 20일 확인
- 배명훈 작가의 은경씨 연대기 그리고 《은닉》 (웹진 판타스틱, 2012년 8월 14일) - 2012년 9월 30일 확인
- SF 소설작가 배명훈 동문 (서울대뉴스, 2012년 9월 10일) - 2012년 9월 23일 확인
- 배명훈 매뉴얼 (1) (예스24, 2012년 9월 11일) - 2012년 9월 23일 확인
- 배명훈 매뉴얼 (2) (예스24, 2012년 9월 12일) - 2012년 9월 23일 확인
- 배명훈 매뉴얼 (3) (예스24, 2012년 9월 18일) - 2012년 9월 23일 확인
- 맹물 김지은, 작가 배명훈을 만나다. (리딩툰 매거진, 2012년 10월 12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2012년 10월 13일 확인
- 한국 문단의 신인류: SF 작가 배명훈 (《프레시안》, 2012년 12월 14일) - 2013년 2월 2일 확인
- 우주에서 쓴 연애편지…배명훈 장편 `청혼` 출간 (매일경제, 2013년 7월 25일) - 2015년 1월 24일 확인
- 글자로 674층 빌딩 세운 '훈훈 브라더스' (조선일보, 2013년 11월 27일) - 2014년 8월 10일 확인
- “성장해야 할 건 자아가 아닌 세계죠” (국민일보, 2014년 7월 25일) - 2015년 1월 24일 확인
- "더 성장해야 할 건 자아 아닌 세계"…배명훈 씨 중편소설 '가마틀 스타일' (한국경제, 2014년 8월 6일) - 2015년 1월 24일 확인
- 가마틀 스타일 - 마음을 가진 로봇의 자아를 찾는 도정 (로보엔, 2014년 8월 27일) - 2015년 1월 24일 확인
- 배명훈 소설 ‘맛집폭격’…난데없이 미사일이 맛집을 폭격한다면? (매일경제, 2014년 12월 7일) - 2015년 1월 24일 확인
- 일상 같은 전쟁에 무뎌져 가는 사람들 (경향신문, 2014년 12월 12일) - 2015년 1월 24일 확인
- 그의 단골 식당이 연달아 폭격되다 (시사IN, 2014년 12월 23일) Archived 2015년 1월 28일 - 웨이백 머신 - 2015년 1월 24일 확인
- 지구인 배명훈을 만나다 (문학과지성사, 2015년 8월 14일) - 2017년 3월 15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