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화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멸화군은 조선시대에 오늘날 대한민국 소방청의 역할을 한 수성금화사에 소속된 조직이며, 1431년 5월 13일 의정부, 육조, 한성부금화도감에서 진화 작업을 맡은 군인들과 이를 지원하는 급수비자를 함께 편성한 금화군이 그 시초[1]이다.

역사[편집]

1426년 2월 15일, 세종 8년에 발생한 한양 대화재[2]를 계기로 같은 해 2월 26일 금화도감이 창설[3]되었으며, 곧 수성금화도감으로 개편되었다.[4]

1431년 5월, 금화군을 창설하고 화재 발생시 행동수칙을 정하였다.

수성금화도감은 이후 개편을 거듭하다 1460년 한성부 소속으로 편입되어 혁파되었다. 이로 인하여 금화군은 한성부에 편입되었다.[5]

금화군은 1467년 12월 14일 사옹원[6]에서 발생한 화재를 계기로 대규모 화재를 진압하는 데에 취약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1467년 12월 20일 멸화군으로 개편[7]되었다.

1481년, 성종 12년에 동지사 이극기가 금화도감을 재창설하자는 의견을 내었으며, 같은 해 수성금화사가 창설되었다.[8]

1637년, 인조 15년에 쓸데없는 관청이라 하여 혁파되었다. 이에 따라 멸화군은 소멸하였다.[9]

활동[편집]

금화군 때에는 화재 발생 시 투입되는 예비조직의 임무를 맡았으나, 멸화군 때에는 화재 감시 및 예방, 화재 발생 시 진압 임무 등 화재에 관한 모든 업무를 소관하였다.

  • 경수소에 소속된 순관과 함께 야간순찰을 행함
  • 이층으로 이루어진 종루에 올라 화재를 감시
  • 화재 발생 시 경보 발령
  • 화재 진압 및 화재 확대 방지 등 소방 업무
  • 금화에 관한 왕의 포고령을 배부

장비[편집]

멸화군의 장비는 야간순찰 때 신분을 증명하기 위한 구화패가 있었으며, 화재 진압 때 사용한 장비로는 도끼, 쇠갈고리, 못 쓰는 휘장, 장막으로 만든 보자기, 동아줄, 적신 천을 매달아놓은 장대인 멸화자가 있었다. 급수비자는 물통을 장비하여 멸화군을 지원하였다.

편제[편집]

1431년 5월 창설 당시의 편제는 진화 작업을 맡은 군인인 금화군과 그를 지원하는 노비인 급수비자로 이루어져있었으며, 한양의 각 관청에서 소속된 군인과 노비를 비상시에 차출하여 편제되는 예비조직이었다.

1467년 멸화군으로의 개편 이후 정원 50명으로 이루어졌으며, 도끼20개와 쇠갈고리 15개, 삼끈으로 만든 동아줄 5개를 지급받았다.[10]

이후 1619년, 광해군 11년 때에는 정원 30명으로 이루어졌다.[11]

기타[편집]

이후 수성금화사와 멸화군은 폐지된 후 실록에서 간혹 언급되기만 했을 뿐 다시 재창설되지 않았다. 조선 정부는 1723년 경종 3년에 관상감에서 서양식 소방기구인 수총기를 모방하여 화재 진압 도구를 만들자는 상소를 올리는 등[12]화재 대비에 노력하였으나 소방 조직 기구는 개항 후 서양의 소방기구와 소방장비가 도입될 때까지 부재하였다.

각주[편집]

  1. 세종실록 (1431) 52권, 세종 13년 5월 13일 병자 4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13년〉의정부·육조·한성부·금화 도감 제조 등이 화재 방비하는 조건을 건의하다.
  2. 세종실록 (1426) 31권, 세종 8년 2월 15일 기묘 3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8년〉한성부에 큰 불이 나 경시서와 북쪽의 행랑, 중부·남부·동부의 인가들이 불타다
  3. 세종실록 (1426) 31권, 세종 8년 2월 26일 경인 5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8년〉금화 도감을 설치하게 하다.
  4. 세종실록 (1426) 32권, 세종 8년 6월 19일 신사 2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8년〉성문 도감·금화 도감을 합하여 수성 금화 도감으로 하게 하다.
  5. 세조실록 (1460) 20권, 세조 6년 5월 22일 정유 3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조선왕조실록/세조실록/6년>이조에서 줄일 수 있는 관원과 혁파할 수 있는 관사를 기록하여 아뢰다.
  6. 1467년 사옹방이 개편되어 창설된 임금의 식사와 대궐 안의 식사 공급에 관한 일을 관장하는 관서이다.
  7. 세조실록 (1467) 44권, 세종 13년 12월 20일 임자 1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조선왕조실록/세조실록/13년>불을 끄는 사목을 도총부·병조 등에 내리다.
  8. 정명섭, 《조선직업실록》, 북로드, 2014년 4월 21일, 23p
  9. 인조실록 (1637) 34권, 인조 15년 3월 8일 정미 2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조선왕조실록/인조실록/15년>내자시와 내섬시 등을 병합하고 금화사 등을 혁파하게 하다.
  10. 정명섭, 《조선직업실록》, 북로드, 2014년 4월 21일, 19p
  11. 광해군일기[중초본] (1619) 147권, 광해 11년 12월 14일 계해 1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조선왕조실록/광해군일기/11년>화재를 막으라고 지시하다.
  12. 경종실록 (1723) 12권, 경종 3년 5월 25일 계묘 2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조선왕조실록/경종실록/3년>관상감에서 서양국의 수총기를 만들 것을 계청하다.

참고 자료[편집]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정명섭, 《조선직업실록》, 북로드, 2014년 4월 21일, 1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