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축 케이블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이란 중앙의 절연된 구리선을 관상(管狀)의 전도체가 둘러싸고 있는 전송 매체이다. 즉, 전송선로의 일종으로, 중심에 초의 심지와 같이 도체가 있고, 그 주변을 둘러싸는 높은 유전상수를 갖는 유연한 유전체와 다시 이를 감싸는 도체망으로 구성된 케이블을 말한다. 여기서 동축이란 말은 전류가 흐르게 되는 도체의 축이 같기 때문에 온 말이다. 이상적인 동축케이블은 이에 의해서 생기는 전자기장이 오직 유전체 부분에서만 생기게 된다.
역사[편집]
1880년, 동축 케이블은 잉글랜드에서 올리버 헤비사이드가 특허를 받았다. (특허 번호 1,407)[1]
개요[편집]
반송주파수를 더욱 높여도 누화가 적은 케이블의 출현이 요구되었는데, 이에 따라 개발된 것이 동축케이블이다. 동축케이블은 1개의 심선을 축으로 하여 동축 원통상에 외부도체(外部導體)를 곁들인 케이블이다. 이 케이블을 사용하게 되면 수십MHz 전류의 장거리 전송이 가능하며, 12MHz로 2,700의 통신로를 가진 동축케이블이 실용화되고 있다.
해저 동축 케이블[편집]
해저 동축 케이블은 자동즉시통화를 위해 부설되었는데 이는 단파 중계를 대치한다. 무선 중계는 공중의 상태나 그 밖의 영향을 받기 쉽고 안정성이 떨어지지만 해저동축케이블에 의하면 안정하고 훌륭한 통신을 할 수 있다. 1956년에는 대서양을 횡단하는 해저동축케이블이 개통되었고, 1964년에는 하와이-일본 간이 개통되었다.
표준[편집]
- RG-6/U
- RG-6/UQ
- RG-7
- RG-8/U
- RG-8X
- RG-9/U
- RG-11/U
- RG-58/U
- RG-59/U
- 3C-2V
- 5C-2V
- RG-60/U
- RG-62/U
- RG-62A
- RG-174/U
- RG-178/U
- RG-179/U
- RG-180B/U
- RG-213/U
- RG-214/U
- RG-218
- RG-223/U
- RG-316/U
- RG-400/U
- H155
- H500
- LMR-100
- LMR-195
- LMR-200
- HDF-200
- CFD-200
- LMR-400
- HDF-400
- CFD-400
- LMR-600
- LMR-900
- LMR-1200
- LMR-1700
- QR-320
- QR-540
- QR-715
- QR-860
- QR-1125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