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대흑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보이저 2호가 촬영한 대흑점.

대흑점(大黑點, Great Dark Spot) 또는 대암점(大暗點)은 해왕성의 대기 중 주위에 비해 눈에 띄게 어두운 부분을 가리킨다. 목성대적점처럼 대흑점 역시 고기압성 폭풍이다. 다만 대흑점의 내부는 상대적으로 구름이 적고, 수백 년은 지속돼 온 것으로 추정되는 대적점과는 달리 수명이 짧아서 생겨나서 흩어지기까지 고작 수년밖에 지속되지 못한다. 보이저 2호와 이후 허블 우주망원경이 수집한 정보에 따르면 해왕성은 생애의 절반이 넘는 기간 동안 표면에 대흑점이 존재해 온 것으로 보인다.

특징

[편집]

대흑점은 보이저 2호1989년 해왕성을 스윙바이할 때 처음 발견되었으며 스윙바이 중 많은 사진이 촬영되었다. 이 최초로 발견된 대흑점은 GDS-89로도 표기하며(Great Dark Spot-1989) 그 위치(남반구)나 규모 등에서 목성에 있는 대적점과 흡사했다.[1] 어두운 색에 타원형이었던 GDS-89는 그 크기가 13,000 × 6,600 km로 지구와 거의 비슷했으며 목성의 대적점과 모양이 전체적으로 흡사했다. 이 폭풍의 가장자리에서 바람은 시간당 2,100 km 속도로 불고 있었으며 이 속도는 태양계에서 가장 빠른 기록이었다.[2][3] 대흑점은 지구상의 오존구멍처럼 해왕성의 메테인 구름 꼭대기에 구멍이 생긴 부분이 아닐까 추정되고 있다. 이 점은 관측할 때마다 크기와 모양이 다양하게 변했으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대흑점은 대류권계면 층 혹은 바로 아래에 커다랗고 흰 구름들을 만들어냈는데 이 구름들은 지구상 고고도에 떠 있는 권운과 비슷하다.[4] 그러나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진 지구상 구름과는 달리 해왕성의 권운은 메테인의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지구의 권운이 보통 나타났다가 사라지기까지 수 시간밖에 걸리지 않는 것에 비해 GDS-89 옆 구름들은 행성이 두 바퀴 돈 이후(약 36시간 경과)에도 여전히 살아있었다.

해왕성의 흑점들은 보다 밝은 구름 상층부에서보다는 낮은 고도의 대류권에서 생겨나는 것으로 보인다.[5] 흑점들은 수 개월은 유지될 수 있을 정도로 안정적이기 때문에 소용돌이 구조를 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6]

소멸

[편집]
해왕성 표면의 흑점 사진. 왼쪽은 총천연색, 오른쪽은 청색광 사진이다.[7]

1994년 허블 우주망원경이 해왕성 표면을 다시 찍었을 때 GDS-89는 완전히 사라졌으며 천문학자들은 이 흑점이 다른 것에 덮여서 아래로 숨었거나 아예 소멸한 것이리라고 생각했다. 대흑점 옆 구름들이 여전히 남아 있었던 것으로 보아 종전 흑점들 중 일부는 검은 반점처럼 보이지 않는 대신 사이클론 형태로 계속 살아남을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흑점들은 행성의 적도로 가까이 이동하면서, 혹은 미지의 메커니즘을 통해 소멸하는 것으로 보인다.[8]

2016년 GDS-89와 거의 똑같은 흑점이 이번에는 해왕성의 북반구에 생겼다. 북쪽 대흑점(Nothern Great Dark Spot, NGDS)으로 불리는 이 새로운 점은 수년이 지나도록 사라지지 않았다.[9][10] 허블 우주망원경 관측에 제약이 걸렸기 때문에 이 새로운 흑점이 아직 살아있는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11]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Hammel, H. B.; Lockwood, G. W.; Mills, J. R.; Barnet, C. D. (1995). “Hubble Space Telescope Imaging of Neptune's Cloud Structure in 1994”. 《Science》 268 (5218): 1740–1742. Bibcode:1995Sci...268.1740H. doi:10.1126/science.268.5218.1740. PMID 17834994. 
  2. “What is the Great Dark Spot?”. 《Cool Cosmos》. CalTech. 2018년 9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20일에 확인함. 
  3. Suomi, V.E.; Limaye, S.S.; Johnson, D.R. (1991). “High Winds of Neptune: A possible mechanism”. 《Science》 251 (4996): 929–32. Bibcode:1991Sci...251..929S. doi:10.1126/science.251.4996.929. PMID 17847386. 
  4. Stratman, P. W.; Showman, A. P.; Dowling, T. E.; Sromovsky, L. A. (2001). “EPIC Simulations of Bright Companions to Neptune's Great Dark Spots” (PDF). 《Icarus》 151 (2): 275–285. Bibcode:1998Icar..132..239L. doi:10.1006/icar.1998.5918. 2008년 2월 26일에 확인함. 
  5. Gibbard, S. G.; de Pater, I.; Roe, H. G.; Martin, S.; Macintosh, B. A.; Max, C. E. (2003). “The altitude of Neptune cloud features from high-spatial-resolution near-infrared spectra” (PDF). 《Icarus》 166 (2): 359–374. Bibcode:2003Icar..166..359G. doi:10.1016/j.icarus.2003.07.006. 2012년 2월 2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26일에 확인함. 
  6. Max, C. E.; Macintosh, B. A.; Gibbard, S. G.; Gavel, D. T.; Roe, H. G.; de Pater, I.; Ghez, A. M.; Acton, D. S.; 외. (2003). “Cloud Structures on Neptune Observed with Keck Telescope Adaptive Optics”. 《The Astronomical Journal》 125 (1): 364–375. Bibcode:2003AJ....125..364M. doi:10.1086/344943. 
  7. “Dark spot on Neptune”. 2016년 6월 28일에 확인함. 
  8. Sromovsky, L. A.; Fry, P. M.; Dowling, T. E.; Baines, K. H. (2000). “The unusual dynamics of new dark spots on Neptune”. 《Bulletin of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32: 1005. Bibcode:2000DPS....32.0903S. 
  9. “Neptune”. SolarViews.com. 2011년 9월 28일에 확인함. 
  10. “Hubble Discovers New Dark Spot on Neptune”. newscenter. 2016년 2월 4일에 확인함. 
  11. “Dark Spots in Our Knowledge of Neptune”. nytimes. 2016년 2월 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