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성 (심리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성 또는 자기성찰(Introspection)은 '자신의 심리 상태나 정신의 움직임을 내면적으로 관찰하는 행동'으로서 자신이 인지하는 생각과 감정이나 자신의 을 돌이켜보는 것등을 말한다. 또한 내성법은 자신의 마음 속에 일어나는 것들을 언어적 보고를 통하여 연구하는 방법등을 가리킨다. 최초의 심리학 실험실을 설치한 빌헬름 분트구성주의와 함께 적용하였다. 그후 심리학의 한 연구 방법으로 자리 잡았다. 인간의 의식을 기본적인 감각과 느낌이라는 구성요소로 쪼개어서 분석하는 방법에 적용하였다. 자신의 경험에 대한 주관적 관찰, 자기 성찰법을 사용한 것이다. 정교한 자기 관찰법의 일종인 것이다.

자기성찰[편집]

자성(自省)으로 잘알려진 자기성찰(Introspection)은 자기 자신의 마음을 돌아보며 반성하고 살피는 일련의 행동이다. 이러한 자기성찰적(自己省察的)인 행동은 학습자가 자신의 정체성과 성격에 대한 내면을 인지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사회적 맥락속에서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 즉 자기 개념(self-concept)을 전제하고 재형성하는 대표적인 방법의 하나로 알려져있다.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