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부윤(金富允: 미상~1303년 7월 24일(음력 6월 10일)[1])은 고려의 무신이다. 본관은 토산, 처음 이름은 김용성(金用成)이다. 김취기의 아버지다.[2]

약력[편집]

  • 생년: 미상. 군인에서 출세함.[3]
  • 좌도지시위군(左都知侍衛軍)에 속했다가 교위(校尉)로 보임받음.[2]
  • 1269년(원종 10): 충렬왕이 세자일 적에 세자의 곁에서 호종함. 이에 감명한 쿠빌라이 칸이 그에게 무덕장군 정동행중서성이문소관(武德將軍 征東行中書省理問所官)으로 제수함.[2]
  • 1273년(원종 14): 원나라에서 황후와 황태자를 책봉한 사실을 알려오자 원나라에 가서 책봉을 하례함. 이때 낭장(郎將: 정6품)으로서 통역 업무의 총책임자[譯語行首]였음.[4]
  • 1276년(충렬왕 2): 중금지유로서 원으로 가 황칠을 바치고 다음 해(1277년)에 입조(入朝)할 때 필요한 역마와 사료를 요청함.[5]
  • 1279년(충렬왕 5): 장순룡과 함께 원에 감.[6]
  • 1280년(충렬왕 6): 경상도와 전라도에 기근이 들어 장군(將軍: 정4품)으로서 원으로 가서 쌀을 빌리도록 함.[7]
  • 1282년(충렬왕 8): 왕이 세자였을 적에 호종한 공을 인정받아 이등공신으로 봉해짐.[8]
  • 1283년(충렬왕 9): 호군으로서 원에서 돌아옴. 원에서 각 도에 권농사(勸農使)를 보냄.[9]
  • 1298년(충선왕 즉위): 자정원부사 판사진시사(資政院副使 判司津寺事)로 임명받음과 동시에 상호군(上護軍: 정3품)을 겸함.[10]
  • 1298년(충렬왕 24): 밀직부사(密直副使: 정3품)로 임명받음.[11]
  • 1299년(충렬왕 25): 서북면도지휘사로 임명받음.[12]
  • 1300년(충렬왕 26): 지밀직사사 전리판서(知密直司事 典理判書)로 임명받음.[13]
  • 1302년(충렬왕 28): 지도첨의사사(知都僉議司事: 종2품)로 임명받음.[2]
  • 1303년(충렬왕 29): 7월 24일(음력 6월 10일),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 정2품)로 죽음.[1]

전기 자료[편집]

  • 《고려사》 권107, 〈열전〉20, 김부윤

관련 논문[편집]

  • 권용철, 〈원 제국의 다르칸 제도가 고려에 유입된 양상 - 고려 후기 金汝盂 功臣敎書의 분석을 중심으로〉, 《학림》 47, 연세사학연구회, 2021년 3월, 184~85면에서 그를 언급함.

각주[편집]

  1. 《고려사》 권32, 〈세가〉32, 충렬왕 29년(1303년) 6월 10일(병신)
  2. 《고려사》 권107, 〈열전〉20, 김부윤
  3. 《고려사절요》 권22, 충렬왕 29년(1303년) 6월
  4. 이승휴, 《동안거사집》 권4, 빈왕록 서문
  5. 《고려사》 권28, 〈세가〉28, 충렬왕 2년(1276년) 11월 23일(계축)
  6. 《고려사절요》 권20, 충렬왕 5년(1279년) 9월
  7. 《고려사절요》 권20, 충렬왕 6년(1280년) 4월
  8. 《고려사》 권29, 〈세가〉29, 충렬왕 8년(1282년) 5월 2일(경신)
  9. 《고려사》 권29, 〈세가〉29, 충렬왕 9년(1283년) 10월 3일(계미)
  10. 《고려사》 권33, 〈세가〉33, 충선왕 즉위년(1298년) 7월 14일(무술)
  11. 《고려사》 권31, 〈세가〉31, 충렬왕 24년(1298년) 11월 27일(경술)
  12. 《고려사》 권31, 〈세가〉31, 충렬왕 25년(1299년) 3월 4일(을유)
  13. 《고려사》 권31, 〈세가〉31, 충렬왕 26년(1300년) 1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