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광주읍 (경기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경안면에서 넘어옴)

광주읍(廣州邑)은 1979년 5월 1일부터 2001년 3월 20일까지 존재한 광주군이다. 2001년 3월 21일 자로 광주군이 광주시로 승격되면서 광주읍은 경안동, 송정동, 광남동으로 분동되었다.[1]

유래[편집]

광주읍은 조선 시대 광주부 경안면(慶安面) 일대이다. 1577년에 신설된 이후 1910년 군으로 바뀌면서 면제를 실시할 때 경안리(慶安里)였으나, 1932년 경안면을 광주면으로 부르게 되었을 때 경안리(京安里)로 개칭되었다. 2001년 광주가 시로 승격하면서 경안동이 되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경안은 남쪽에 있는데 첫머리는 10리이고 그 끝이 40리이다."라는 기록이 있다. 또한, "경안역이 남쪽 50리에 있으며 고려 공민왕이 홍건적을 피하여 남으로 피난할 때 이 역에 이르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지도서』에 경안면은 일리 · 이리 · 역촌(驛村) · 삼리 등 4개 리의 위치와 호수가 수록되어 있다. 『해동지도』에 경안면 쌍령과 역관(驛館)이 기록되어 있다. 『1872년지방지도』에 경안면 · 경안역 · 대쌍령 · 소쌍령이 보인다. 『조선지지자료』에 역촌에 소재한 경안역, 주막리(酒幕里)에 있는 경안장과 경안평 · 경안천 지명이 확인된다. 한편, 부근의 직리 마을의 구봉(망아지봉)은 2000년 영장산으로 변경되었다.[1]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한국지명유래집》중부편, 경기도 광주읍 경안동(京安洞), 국토지리정보원(2008년)

참고 자료[편집]

  • 「물류혁명과 국토개조전략」, 경기도 경안운하, 주명건 저, 세종연구원(1996년, 200~222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