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트만 척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거트만 척도(Guttman scale)는 루이스 거트만(Louis Guttman)이 제창한 태도 측정 척도로서, 재생 가능한 계층에서 순서에 따라 정렬이 가능한 경우 항목의 집합에 따라 형성되는 누적 척도이다.[1] 이를테면, 수학 학력 검사에서 시험을 치르는 사람이 특정 난이도의 항목(예: 2개의 3자리 숫자의 총합을 구하는 문제)에 성공적으로 답변할 수 있다면 그 이전의 문제(예: 2개의 2자리 숫자의 총합을 구하는 문제)에 답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사람과 자극을 동시에 척도화하는 방법을 고안한 바 있다.

[편집]

거트만 척도는 양호한 차별된 능력을 가지고 짧은 질문을 설계하는데 유용하며 사회적 거리, 단체 계층, 진화 단계 등의 계층적인 계층구조 구성에 최적으로 동작한다. 거트만 척도의 잘 알려진 예로 보가더스 사회적 거리 척도(Bogardus social distance scale)가 있다.

A 이민자들이 당신의 국가에서 생활할 수 있게 허락할 의향이 있는가? (가장 낮은 난이도)
B 이민자들이 당신의 사회에서 생활할 수 있게 허락할 의향이 있는가?
C 이민자들이 당신의 이웃과 함께 생활할 수 있게 허락할 의향이 있는가?
D 이민자들이 당신 바로 옆집에서 생활할 수 있게 허락할 의향이 있는가?
E 당신이 당신의 아이를 이민자와 결혼하도록 허락할 의향이 있는가? (가장 높은 난이도)

항목 D에 동의한다는 것은 A~C까지의 항목에도 동의한다는 것을 전제하도록 A < B < C < D < E처럼 서열있는 문항으로 설계한다.

아래의 이민자 선호도 테스트는 '서열 있는 문항들'이 '개별 문항 자체의 구성개념'보다 전체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에 얼마나 중요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거트만척도의 예이다.

(랜덤)이민자 선호도 테스트
A B C D E 척도값 응답자
1 0 0 0 0 1 2
1 1 1 1 0 4 5
1 1 1 0 0 3 4
0 0 0 0 0 0 1
1 1 1 1 1 5 6
1 1 0 0 0 2 3

무선(랜덤) 이민자 선호도 테스트를 순서값을 기준으로 척도값으로 정렬함으로서 응답자의 선호도도 동시에 함께 정렬된다.

(정렬)이민자 선호도 테스트
A B C D E 척도값 응답자
0 0 0 0 0 0 1
1 0 0 0 0 1 2
1 1 0 0 0 2 3
1 1 1 0 0 3 4
1 1 1 1 0 4 5
1 1 1 1 1 5 6

재생산가능계수[편집]

재생산가능계수(Reproducibility Coefficient,CR)[2]

유효한 재생산가능계수 값인 0.9이상을 얻기위한 오류(에러) 허용오차는 0.1 미만에서 다루어지는것으로 알려져있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Stouffer, S.A., Guttman, L., Suchman, E.A., Lazarsfeld, P.F., Star, S.A., Clausen, J.A. (1950) Measurement and Predic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 (en.wikipedia.org)Guttman's original definition of the reproducibility coefficient, CR is simply 1 minus the ratio of the number of errors to the number of entries in the data set. And, to ensure that there is a range of responses (not the case if all respondents only endorsed one item) the coefficient of scalability is used.(Menzel, H. (1953) A new coefficient for scalogram analysis in Educational and Public Opinion Quarterly Volume: 15 issue: 2, page(s): 268-280)
  • [참고] Coombs, Clyde; Coombs, Lolagene; Lingoes, James. "Chapter 11: Stochastic Cumulative Scales". In Shye, Samuel (ed.). Theory Construction and Data Analysis in the Behavioral Sciences. San Francisco: Jossey-Bass. pp. 280–298. ISBN 0-87589-379-1.
  • [참고] Stouffer, S.A., Guttman, L., Suchman, E.A., Lazarsfeld, P.F., Star, S.A., Clausen, J.A. (1950) Measurement and Predic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 [참고] Guttman, Louis (1944). "A basis for scaling qualitative data".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9: 139–150.
  • [참고] Menzel, H. (1953) A new coefficient for scalogram analysis in Educational and Public Opinion Quarterly Volume: 15 issue: 2, page(s): 268-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