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객혈
다른 이름Hemoptysis, Haemoptysis, coughing up of blood
발음
진료과호흡기내과

객혈(喀血, Hemoptysis) 또는 각혈(咯血, 衉血)은 가래에서 피가 섞여 나오는 현상을 말한다. 기도나 기관지에서 출혈이 일어나거나 헐었을 때 일어나며, 폐암에 걸렸을때도 일어난다. 이는 폐로 피가 들어가거나, 피가 기관지와 기도를 막거나 넘어가기도 한다. 즉, 주요 위험은 혈액 소실보다는 숨 막힘에서 비롯된다.[1]

치료[편집]

치료는 객혈의 기저 원인에 따라 다르다. 차가운 식염수, 또는 에피네프린이나 바소프레신 같은 국소 혈관수축제를 이용하여 지혈을 시도할 수 있다. 트라넥삼산은 객혈의 병원 내 사망률을 개선한다는 것이 입증되어 있다.[2] 출혈이 발생한 폐를 허탈시키기 위해 선택적 기관지삽관을 시행할 수 있다. 또한 기관지내 탐폰 삽입술을 시행하기도 한다.[3] 레이저광응고술기관지내시경 중 출혈을 멈추기 위해 이용된다. 출혈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 기관지동맥혈관조영술을 실시할 수 있으며, 때로는 색전술을 통해 출혈을 멈출 수 있다.[4] 기관지동맥 색전술(BAE)은 현재 일차 치료법으로 여겨진다.[5][6][7][8][9] 수술을 통한 치료는 보통 최후의 방법이며, 폐엽을 절제하는 폐엽절제술이나 폐 전체를 절제하는 폐전절제술이 선택 가능한 방법이다. 한편 기침을 억제하는 약물은 출혈로 인한 질식 위험을 높일 수 있다.[1]

각주[편집]

  1. Sabatine, [edited by] Marc S. (2014). 《Pocket medicine》 Fif.판. [S.l.]: Aspen Publishers, Inc. ISBN 1451193785. 
  2. Kinoshita T, Ohbe H, Matsui H, Fushimi K, Ogura H, Yasunaga H (November 2019). “Effect of tranexamic acid on mortality in patients with haemoptysis: a nationwide study”. 《Critical Care》 23 (1): 347. doi:10.1186/s13054-019-2620-5. PMC 6836388. PMID 31694697. 
  3. Valipour A, Kreuzer A, Koller H, Koessler W, Burghuber OC (June 2005). “Bronchoscopy-guided topical hemostatic tamponade therapy for the management of life-threatening hemoptysis”. 《Chest》 127 (6): 2113–8. doi:10.1378/chest.127.6.2113. PMID 15947328. 
  4. Hanson C, Karlsson CA, Kämpe M, Lamberg K, Lindberg E, Boman LM, Stålenheim G (August 2004). Guidelines for treatment of acute lung diseases. (보고서). Uppsala Academic Hospital. 
  5. Woo S, Yoon CJ, Chung JW, Kang SG, Jae HJ, Kim HC, 외. (November 2013).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to control hemoptysis: comparison of N-butyl-2-cyanoacrylate and polyvinyl alcohol particles”. 《Radiology》 269 (2): 594–602. doi:10.1148/radiol.13130046. PMID 23801773. S2CID 21597160. 
  6. Ishikawa H, Hara M, Ryuge M, Takafuji J, Youmoto M, Akira M, 외. (February 2017). “Efficacy and safety of super selective bronchial artery coil embolisation for haemoptysis: a single-centre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BMJ Open》 7 (2): e014805. doi:10.1136/bmjopen-2016-014805. PMC 5318547. PMID 28213604. 
  7. Ryuge M, Hara M, Hiroe T, Omachi N, Minomo S, Kitaguchi K, 외. (February 2019). “Mechanisms of recurrent haemoptysis after super-selective bronchial artery coil embolisation: a single-centre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European Radiology》 29 (2): 707–715. doi:10.1007/s00330-018-5637-2. PMC 6302874. PMID 30054792. 
  8. Panda A, Bhalla AS, Goyal A (2017년 7월 7일).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in hemoptysis: a systematic review”. 《Diagnostic and Interventional Radiology》 23 (4): 307–317. doi:10.5152/dir.2017.16454. PMC 5508955. PMID 28703105. 
  9. Olsen KM, Manouchehr-Pour S, Donnelly EF, Henry TS, Berry MF, Boiselle PM, 외. (May 2020). “ACR Appropriateness Criteria® Hemoptysis”.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17 (5S): S148–S159. doi:10.1016/j.jacr.2020.01.043. PMID 32370959. S2CID 218520816.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