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학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지오 (토론 | 기여)님의 2013년 11월 24일 (일) 16:50 판

한글 학회(—學會)는 한글한국어의 연구를 위해 이루어진 학술 단체이다. 1908년 8월 31일김정진을 회장으로 하여 창립한 ‘국어연구학회’를 모체로 1921년 12월 3일 창립하였다.

한글 학회는 1926년한글날을, 1933년한글맞춤법통일안을 제정하고, 한글을 보급하고자 노력했다. 해방 후, 학회는 한글 전용을 주장해 국한문혼용을 한글 전용으로 쓰는 것을 장려했다.

역사

처음의 명칭은 ‘조선어연구회’로서 당시 회원은 장지영·김윤경·최현배·권덕규 등 15~16명이었다. 이들은 동호인들을 규합한 후 학회 활동으로 연구발표회를 가지는 한편, 1927년에는 기관지 《한글》을 발간했다. 1931년에는 학회의 이름을 ‘조선어학회’로 고쳤고, 1933년에는 한글맞춤법통일안·외래어표기법을 제정하고 우리말사전을 편찬했다. 1942년부터 회원들이 여러 차례 독립운동죄로 검거되었다. 이것이 조선어학회 사건이다. 8·15 광복과 더불어 부활되어 한글 학회로 개칭되었다.

한글만 쓰기 운동

일본 제국 패망 후인 1945년 11월 8일 이후 한글학자들은 한글만 쓰기 운동을 벌였다. 그 결과로, 해방 직후의 초·중등 교과서에는 한글만 사용되었으며, 필요시 괄호(도림) 안에 한자가 표시되었다. 단, 중학교에서는 한문교육을 실시하여 중국과의 교류, 고전(古典)에의 접근을 고려하였다. 공문서에는 한글이 전용되었다.

1949년에는 다시 '한자 전용안'에 의해 문서에 한자를 섞어쓰게 되었다.

이에 반대하여 1964년 성명서를 통하여 한글 학회가 주장한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 일상생활에서 한글만 사용하자.
  • 글자생활의 기계화를 위해 한글을 사용해야 한다.
  • '한글전용'은 한자어를 배척하는 것이 아니며, 한자어를 한글로 쓸 뿐이다.
  • 학교 과목의 용어는 쉬운 한글로 표기하자.
  • 더 철저히 한문을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
  • 한자로 적힌 고전은 한글로 번역되어야 한다.
  • 신잡지는 모두 한글로 써야 한다.

2013년에는 '한글전용5개년계획'을 세우고, 이를 다시 단축하여 '한글전용촉진7개항', '한글전용연구위원회' 등이 생겨났다. (10.7 선언) 이에 맞추어, 학자들을 중심으로 '한글전용국민실천회'가 조직되었다.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한글학회 50돌기념사업회, 《한글학회 50년사》, 한글학회, 1971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