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8년 반다해 지진

1938년 반다해 지진
1938년 반다해 지진은(는) 인도네시아 안에 위치해 있다
1938년 반다해 지진
본진
UTC 시각1938-02-01 19:04:23
ISC 지진번호902352
USGS-ANSSComCat
현지일1938년 2월 2일
현지시간오전 4시 4분
규모   모멘트 규모 8.5-8.6[2][3][4][5]
최대 진도   로시-포렐 진도 계급 진도 VII : [6]
진원 깊이60[2][3] km
진앙인도네시아 반다해 해역
남위 5° 03′ 동경 131° 37′ / 남위 5.05° 동경 131.62°  / -5.05; 131.62[1]
종류사교단층형 지진[3]
피해
피해 지역인도네시아
지진해일최대 1.5 m 높이 쓰나미 발생
사상자없음

1938년 반다해 지진은 1938년 2월 2일 발생한 모멘트 규모 M8.5-8.6, 최대진도 로시-포렐 진도 계급 기준 VII로 추정되는 지진이다. 이 지진은 사교단층형 지진으로 수평운동과 수직운동이 동시에 발생해 최대 1.5 m 높이의 쓰나미가 관측되었으나 사상자는 없었다.

지질학적 배경[편집]

반다해오스트레일리아판순다판으로 수렴하는 매우 복잡한 지질 구조 위에 있다. 반다해 주변에 잘게 쪼개진 믈라카해판, 새머리판, 티모르판, 반다해판 등의 여러 소판이 반다해 지역의 정교한 수렴 구조를 지지하고 있다.[7][8] 반다해 주변에 잘게 쪼개진 여러 소판의 활동으로 반다해는 지진 활동이 많은 구역으로 분류되며, 반다해에 이전까지 있었던 주요 지진으로는 모멘트 규모 M8.4-8.8의 1852년 반다해 지진과 규모 M8.2-8.8로 추정되는 1629년 반다해 지진이 있다.[9][10][11]

1938년 이후인 1963년 10월에는 1938년 지진 진앙의 서쪽 약 37 km 지점에서 규모 M8.1의 지진도 일어났다.[12] 2023년 이전까지 이 지역에서 발생했던 가장 규모가 컸던 지진은 2021년 12월에 발생한 규모 M7.3의 지진이다.[13] 이번 지진의 진앙인 반다해 사움라키 주변에에서는 진도 IV에서 VI 사이의 지진이 1920년, 1995년, 2006년, 2009년에 일어났다.[14]

지진[편집]

현지 시각으로 오전 4시 경, 큰 지진이 반다해 주변 섬을 뒤흔들었다. 당시 지진의 모멘트 규모는 Mw8.5-8.6으로 추정되며, 지진으로 카이 제도에서는 최대 1 m 높이의 쓰나미가 들이닥쳤다.[3][4][5] 이 정도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예상되었던 쓰나미의 높이는 1629년이나 1852년의 지진만큼 훨씬 더 높았으나, 1938년의 지진은 진원 깊이가 60 km로 깊었던 중발지진이라 쓰나미로 이어지는 해저 지형의 변위가 약해 쓰나미의 높이가 규모에 비해 훨씬 낮아졌다.[3] 1938년 지진이 정확하게 어떤 단층에서 발생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미상이며, 정확한 단층 위치와 그 형태에 대해서는 현재도 과학적으로 연구중이다. 일부 연구에서는 1938년에 발생한 지진이 슬래브 내부 지진 중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4]

쓰나미[편집]

스러스트 단층에서 발생한 지진임에도 쓰나미는 규모와 단층에 비해 훨씬 규모가 작았다. 이는 진원 깊이가 수면 아래 60 km 지점이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카이 제도에서는 최대 1 m 높이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3] 그 외에도 타얀두 제도와 반다해 연안 전역에서 쓰나미로 해변가에 피해가 발생했으나 사상자는 없었다.[3]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Engdahl, E. R.; Vallaseñor, A. (2002). 〈Global seismicity: 1900–1999〉. 《International Handbook of Earthquake & Engineering Seismology》 (PDF). Part A, Volume 81A Fir판. Academic Press. 677쪽. ISBN 978-0124406520. 
  2. ISC (2022년 6월 27일), 《ISC-GEM Global Instrumental Earthquake Catalogue (1900–2009)》, Version 9.1, International Seismological Centre 
  3. Okal, E. A.; Reymond, D. (2003), “The mechanism of great Banda Sea earthquake of 1 February 1938: Applying the method of preliminary determination of focal mechanism to a historical event”,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216 (1–2): 1–15, doi:10.1016/S0012-821X(03)00475-8 
  4. Cummins, Phil R.; Pranantyo, Ignatius R.; Pownall, Jonathan M.; Griffin, Jonathan D.; Meilano, Irwan; Zhou, Siyuan (April 2020). “Earthquakes and tsunamis caused by low-angle normal faulting in the Banda Sea, Indonesia”. 《Nature Geoscience》 13 (4): 312–318. Bibcode:2020NatGe..13..312C. doi:10.1038/s41561-020-0545-x. hdl:10138/327490. S2CID 211729349. 2022년 8월 15일에 확인함. 
  5. Duda, Seweryn J. (1965). “Secular seismic energy release in the circum-Pacific belt”. 《Tectonophysics》 2 (5): 409–452. doi:10.1016/0040-1951(65)90035-1. 2022년 8월 15일에 확인함. 
  6.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 World Data Service (NGDC/WDS) (1972), 《Significant Earthquake Database》 (Data Set),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NOAA, doi:10.7289/V5TD9V7K 
  7. Nuretdin Kaymakci; John Decker; Dan Orange; Philip Teas; Pieter van Heiningen (2015). “Tectonic Characteristics and Evolution Banda Sea Region”. 《International Conference and Exhibition, Melbourne, Australia 13-16 September 2015》 (SEG Library): 90. doi:10.1190/ice2015-2205090. ISSN 2159-6832. S2CID 131074367. 
  8. Bird, P. (2003). “An updated digital model of plate boundaries”. 《Geochem. Geophys. Geosyst.》 4 (3): 1027. doi:10.1029/2001GC000252. S2CID 9127133. 2022년 8월 2일에 확인함. 
  9. Fisher, TszMan L.; Harris, Ron (August 2016). “Reconstruction of 1852 Banda Arc megathrust earthquake and tsunami. Natural Hazards”. 《Natural Hazards》 83: 1. doi:10.1007/s11069-016-2345-6. S2CID 131107365. 2022년 8월 15일에 확인함. 
  10. H. Ringer, J. P. Whitehead, J. Krometis, R. A. Harris, N. Glatt-Holtz, S. Giddens, C. Ashcraft, G. Carver, A. Robertson, M. Harward, J. Fullwood, K. Lightheart, R. Hilton, A. Avery, C. Kesler, M. Morrise, M. H. Klein (2021년 3월 15일). “Methodological Reconstruction of Historical Seismic Events From Anecdotal Accounts of Destructive Tsunamis: A Case Study for the Great 1852 Banda Arc Mega-Thrust Earthquake and Tsunami”.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lid Earth》 126 (4). arXiv:2009.14272. Bibcode:2021JGRB..12621107R. doi:10.1029/2020JB021107. S2CID 222066748. 2022년 8월 14일에 확인함. 
  11. Major, Jonathan Robert; Liu, Zac Yung-Chun; Harris, Ron; Fisher, T. L. (December 2011). “Source of 1629 Banda Mega-Thrust Earthquake and Tsunami: Implications for Tsunami Hazard Evaluation in Eastern Indonesia”. 《AGU Fall Meeting Abstracts》: 1376. 2022년 8월 15일에 확인함. 
  12. “M 8.1 - Banda Sea”.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1963년 11월 4일. 
  13. “M 7.3 - 121 km NNE of Lospalos, Timor Leste”. 《earthquake.usgs.gov》. 2021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4. “[Update] – Teridentifikasi 92 Rumah Warga Tanimbar Rusak Pascagempa M7,5” (인도네시아어). 2023년 1월 10일.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