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아비꽃대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홀아비꽃대목에서 넘어옴)

홀아비꽃대과
홀아비꽃대(Chloranthus japonicus)
홀아비꽃대(Chloranthus japonicus)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목: 홀아비꽃대목
Chloranthales
R.Br., 1835
과: 홀아비꽃대과
Chloranthaceae
R.Br. ex Sims, 1820
모식종
홀아비꽃대속(Chloranthus Sw.)
[출처 필요]

홀아비꽃대과(-----科, 표준어: 홀아비꽃댓과, 학명: Chloranthaceae 클로란타케아이[*])는 속씨식물군단형 홀아비꽃대목(-----目, 학명: Chloranthales 클로란탈레스[*])에 속하는 유일한 이다.[1][2]

이 과는 본래, 열대와 아열대 지방에 존재하는 초본 또는 목본 식물로 모두 4개 속에 수십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과의 구성원들은 방향성과 특이한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를 지닌 마주나기잎과 잎자루 사이의 턱잎(꼭두서니과(Rubiaceae)에서 발견되는 턱잎와 비슷한)을 가지며, 꽃은 작고 빛깔이 엷으며 꽃차례가 달려 있다. 꽃잎은 이 과에서는 없으며, 때로 꽃받침이 있다. 꽃은 자웅동체 또는 자웅이체일 수 있다. 과일은 하나의 심피로 이루어진 핵과와 비숫하다.

홀아비꽃대과는 어떤 다른 과와도 밀접한 관계가 없으며, 속씨식물에서 아주 초기에 분기된 계통으로, 진정쌍떡잎식물도, 외떡잎식물도 아니다.

하위 분류[편집]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속씨식물의 계통 분류이다.[3]

속씨식물군

암보렐라목

수련목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

핵심 속씨식물군

홀아비꽃대목

목련군

외떡잎식물군

붕어마름목

진정쌍떡잎식물군

2016년 APG IV 분류 체계에서는 홀아비꽃대과만을 포함하는 홀아비꽃대목을 속씨식물군 아래에 분류하며,[4] 이는 2009년 APG III 분류 체계의 분류와 동일하다.[5] 2003년 APG II 분류 체계 및 1998년 APG 분류 체계에서는 홀아비꽃대목을 두지 않고, 속씨식물군 아래 목 없이 홀아비꽃대과를 인정했다.[6][7]

1992년 손 분류 체계는 홀아비꽃대과를 목련강(Magnoliopsida[=속씨식물]) 목련아강(Magnoliideae[=쌍떡잎식물]) 목련상목(Magnolianae) 목련목(Magnoliales)아래에 분류했다.[8]

1981년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는 홀아비꽃대과를 목련문(Magnoliophyta[=속씨식물]) 목련강(Magnoliopsida[=쌍떡잎식물]) 목련아강(Magnoliidae) 후추목(Piperales) 아래에 분류했다.[9]

1980년 달그렌 분류 체계에서는 홀아비꽃대과를 목련강(Magnoliopsida[=속씨식물]) 목련아강(Magnoliideae[=쌍떡잎식물]) 목련상목(Magnolianae) 홀아비꽃대목(Chloranthales) 아래에 분류했다.[10]

각주[편집]

  1. Brown, Robert. In: Martius, Carl Friedrich Philipp von. Conspectus Regni Vegetabilis: Secundum characteres morphologicos praesertim carpicos in classes ordines et familias digesti, adjectis exemplis nominibusque plantarum usui medico technico et oeconomico inservientium 12. 1835.
  2. Brown, Robert. Botanical Magazine 48: sub pl. 2190. 1820.
  3. Angiosperm Phylogeny Group (2016).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doi:10.1111/boj.12385. 2016년 4월 1일에 확인함. 
  4. Angiosperm Phylogeny Group; Byng, James W.; Chase, Mark W.; Christenhusz, Maarten J. M.; Fay, Michael F.; Judd, Walter S.; Mabberley, David J.; Sennikov, Alexander N.; Soltis, Douglas E.; Soltis, Pamela S.; Stevens, Peter F. (2016).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PDF).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181 (1): 1‒20. doi:10.1111/boj.12385. 
  5. Angiosperm Phylogeny Group; Bremer, Birgitta; Bremer, Kåre; Chase, Mark W.; Fay, Michael F.; Reveal, James L.; Soltis, Douglas E.; Soltis, Pamela S.; Stevens, Peter F. (2009).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PDF).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161 (2): 105‒121. doi:10.1111/j.1095-8339.2009.00996.x. 
  6. Angiosperm Phylogeny Group; Bremer, Birgitta; Bremer, Kåre; Chase, Mark W.; Reveal, James L.; Soltis, Douglas E.; Soltis, Pamela S.; Stevens, Peter F. (2003).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 (PDF).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141 (4): 399‒436. doi:10.1046/j.1095-8339.2003.t01-1-00158.x. 
  7. Angiosperm Phylogeny Group; Bremer, Kåre; Chase, Mark W.; Stevens, Peter F. (1998). “An Ordinal Classification for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PDF).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영어) 85 (4): 531‒553. doi:10.2307/2992015. 
  8. Thorne, Robert F. (1992). “Classification and geography of the flowering plants”. 《The Botanical Review》 (영어) 58 (3): 225‒327. doi:10.1007/BF02858611. 
  9. Cronquist, Arthur (1981).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영어).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038805. 
  10. Dahlgren, R. M. T. (1980). “A revis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the angiosperms”.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80 (2): 91‒124. doi:10.1111/j.1095-8339.1980.tb01661.x.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