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토론:대한민국의 인터넷 신조어 목록: 두 판 사이의 차이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년 전 (데니스3님) - 주제: 정치 관련 신조어 문단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50번째 줄: 150번째 줄:
또한, 분류에도 문제가 있습니다. '초성을 굳이 나눠야 하는가?' '게임을 굳이 나눠야 하는가?' '정치를 굳이 나눠야 하는가?' '그 중에서도 노무현 전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통령을 굳이 나눠야 하는가?'입니다. 첫째, 큰 차이가 없이 쓰이고 있기 때문에 합치는 것이 어떨가 싶은데요. 사실 보기 편하기 위함도 있기 때문에 굳이 나눌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둘째는, 굳이 나눈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대부분의 단어들이 게임과 스포츠에 밀접하게 관련있습니다. (예: 광탈, 존버, 가즈아) 하지만 스포츠 분류는 따로 없습니다. 나눴지만 이중으로 글을 써야되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존버는 배틀그라운드에서 자주 쓰이지만 게임 외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나눴지만 중복되어 글을 써야되는 겁니다. 이런 글에는 기준이 있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셋째는, 굳이 나눈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정치가 별개입니까? 오히려 더 강렬하게 글을 쓴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넷째 또한 굳이 나눈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이유가 묻고 싶군요.<small>--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특수:기여/이일일이이칠사이일구삼|이일일이이칠사이일구삼]] ([[사용자토론:이일일이이칠사이일구삼|토론]])이나, [[위키백과:서명|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small>
또한, 분류에도 문제가 있습니다. '초성을 굳이 나눠야 하는가?' '게임을 굳이 나눠야 하는가?' '정치를 굳이 나눠야 하는가?' '그 중에서도 노무현 전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통령을 굳이 나눠야 하는가?'입니다. 첫째, 큰 차이가 없이 쓰이고 있기 때문에 합치는 것이 어떨가 싶은데요. 사실 보기 편하기 위함도 있기 때문에 굳이 나눌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둘째는, 굳이 나눈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대부분의 단어들이 게임과 스포츠에 밀접하게 관련있습니다. (예: 광탈, 존버, 가즈아) 하지만 스포츠 분류는 따로 없습니다. 나눴지만 이중으로 글을 써야되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존버는 배틀그라운드에서 자주 쓰이지만 게임 외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나눴지만 중복되어 글을 써야되는 겁니다. 이런 글에는 기준이 있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셋째는, 굳이 나눈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정치가 별개입니까? 오히려 더 강렬하게 글을 쓴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넷째 또한 굳이 나눈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이유가 묻고 싶군요.<small>--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특수:기여/이일일이이칠사이일구삼|이일일이이칠사이일구삼]] ([[사용자토론:이일일이이칠사이일구삼|토론]])이나, [[위키백과:서명|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small>
:삭제 토론에 참여해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사:양념파닭|<span style="color:#d94141">양념파닭</span>]]''' ([[사토:양념파닭|토론]] · [[특:기여/양념파닭|기여]]) 2020년 4월 22일 (수) 18:29 (KST)
:삭제 토론에 참여해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사:양념파닭|<span style="color:#d94141">양념파닭</span>]]''' ([[사토:양념파닭|토론]] · [[특:기여/양념파닭|기여]]) 2020년 4월 22일 (수) 18:29 (KST)

== 정치 관련 신조어 문단 ==

{{의견 요청 |문단 = 정치 관련 신조어 문단 !! 사유 = 정치인을 공격하는 신조어를 기재해도 되는가 !! 시각 == 2022년 8월 16일 (화) 18:22 (KST) }}
정치인 관련 신조어 문단에 있는 신조어는 대부분 특정 정치인을 공격하기 위하는 목적에서 생겨난 것입니다. 이를 그대로 두면, 기본적으로 [[백:비중]] 위반이 될 것이고 지금 살아있는 정치인의 경우 [[백:생존]]까지 위반하는 것이 됩니다. 따라서, 정치인을 공격하는 신조어를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사:데니스3|데니스3]] ([[사토:데니스3|토론]]) 2022년 8월 16일 (화) 18:22 (KST)

2022년 8월 16일 (화) 18:22 판

 이 문서는 다음 위키프로젝트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등재 기준

  • 히밤: 「감탄사」 '씨발'의 발음을 흐린 표현.
  • 슈발: 「감탄사」 '히밤'보다 좀더 '씨발'의 느낌이 강한 어휘.

이런 표현들과, 위키백과를 자신의 신조어를 게시하는 곳이라는 양 계속된 신조어의 추가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 문서의 준보호와, 저명성이 인정되지 않는 단어들과, 욕에 가까운 단어들을 게시해도 되는지에 대해 의견을 모아보고자 합니다. --by Devunt at 2010년 4월 5일 (월) 20:45 (KST)

1. 원칙적으로는 저명성이 입증된 단어만 등록되게 하면 좋겠네요.
2. 하지만 이 문서는 특성상 저명성 입증이 다분히 주관적입니다. 어떤 객관적 기준이 필요할지 고민이 필요할 것 같네요.
3. 위키백과의 원칙 중 욕이라 해도 백과사전 문서에 올리는 것을 금지할 원칙은 없을 것 같네요. --Demi (토론) 2010년 4월 6일 (화) 19:23 (KST)

의견 이 내용은 위키백과:저명성 (신조어 및 유행어)에서 논의를 이루어야 할 것 같은데요.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10년 4월 7일 (수) 16:30 (KST)

관인생략님의 말씀에 동의합니다. Jjw (토론) 2010년 4월 7일 (수) 21:27 (KST)

출처가 없는 유행어들은 삭제해야합니다. 또한 표제어를 인터넷 유행어로 바꾸고 일반적인 설명을 하는 것이 더 백과사전적일 것 같습니다. --케골 2010년 4월 9일 (금) 23:09 (KST)

네, 저도 케골 님의 말씀에 동의합니다. 인터넷 유행어에 대한 목록보다 인터넷 유행어에 대한 전반적인 백과사전식의 기술이 되어야 좀 더 백과사전 다운 문서가 될 것 같네요. -- Min's (민들라미) (토론 / 기여 / 메일) 2010년 4월 12일 (월) 00:06 (KST)
인터넷 유행어라는 문서가 따로 있으니 거기서 개론을 다루고 이 문서는 한국의 현대 온라인 언어상을 보여주는 문서로 따로 두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영어에도 신조어와 유행어가 많을 테니 나중에 영어 인터넷 유행어미국의 인터넷 유행어 같은 식으로 개별 문서를 만들 수도 있겠고요. --〔아에이오우〕 (토론) 2010년 4월 29일 (목) 10:23 (KST)
  • 저기요? 귀요미라는 단어를 추가해도 될까요? 귀여운 사람을 일컫는 말입니다. 곱등이송에서도 쓰인 적 있습니다.--Jonre1 (토론) 2017년 1월 4일 (수) 19:51 (KST)--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서명을 남기지 않아 Jonre1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의견 끝에 --~~~~를 달면 서명이 됩니다.
  • 저도 추가할 것이 있습니다. 'ㅅㄱ'는 '수고'라는 뜻이고 '샨새교'는 'Tistory'를 한글로 쳤을때 나오는 말입니다.--Jonre1 (토론) 2017년 1월 4일 (수) 19:51 (KST)--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서명을 남기지 않아 Jonre1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의견 끝에 --~~~~를 달면 서명이 됩니다.

2013년 6월 30일의 편집 요청

불철주야 수고가 많으십니다. 다름이 아니라 ASKY의 본래의 뜻은 A:아따 S:슨상님 K:계실적엔 Y:요런일이없었는데 임에도 불구하고 오늘의 유머 회원들이 AKSY의 뜻을 바꿔 위키 백과에 기재 시켰더군요 ASKY의 본래의 뜻인 아따 슨상님 계실적엔 요런일이 없었는데로 편집해주시길 앙망합니다. Disconets (토론) 2013년 6월 30일 (일) 21:21 (KST)답변

[1] 이 글 보고 오셨나요? 노력은 가상하군요. 위키백과 사용자들이 얼마나 속을 거라고 생각하시는지요? -- Hwangjy9 ( 토론 | 기여 | 이메일보내기 ) 2013년 6월 30일 (일) 21:24 (KST)답변
아니오아니오미완료 관련 출처가 전혀 제시되지 않았습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 2013년 7월 1일 (월) 13:01 (KST)답변

야민정음 문단에 대해

일단 이 문서의 야민정음 문단은 따로 문서를 분리시켜도 될 만큼 내용이 자세하며 예시도 좀 풍부하더라고요. 그래서 저는 이만하면 차라리 다른 문서로 분리시켜도 될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분리시키자는 의견이 많으면 다시 찬반 투표를 하는 것도 나쁘지 않군요.--Kaiga06 (토론) 2016년 1월 26일 (화) 00:16 (KST)kaiga06

관련 언론 보도 기록이 나오는 만큼 분리해도 문제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커뷰 (토론) 2016년 1월 26일 (화) 00:31 (KST)

문서의 개선 필요성

현재 이 문서는 거의 사전처럼 되어 있고 출처가 없이도 많은 항목들이 올라와 있어서 많은 사용자들께서 부담없이 많은 단어를 올려 주신 것 같습니다. 이에 따라 많은 단어들이 백:독자백:등재 에 부합하지 못하는 것 같아 보이고, 한국어 위키에는 관련 항목이 없어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만 영어 위키 기준 을 볼 때 현재 이 문서를 개선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 이곳에 등재된 단어들은 각각 notability를 판단하여, 삭제에 해당하면 삭제하고, 남기는 경우 대부분이 위키낱말사전으로 등재될 것 같습니다. 일부 항목은 위키백과에 있으면 그것을 사용하면 되고요.
  • 현재 이 문서는 각 단어의 링크만을 표시하면 될 것 같고 다만 그 단어들을 특정 기준에 따라 분류만 잘 해 주면 역할을 다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지금도 분류는 되어 있네요.

이미 리스트가 많이 커졌습니다만 신조어를 위키에 올리고자 하시는 분들이 앞으로도 계속 이 항목에 올리는 대신 위키낱말사전에 먼저 등재를 하시고 이곳에 링크를 걸도록 유도하려면 이 페이지부터 먼저 위키백과 편집 기준에 부합하도록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영어위키의 신조어 항목을 보면 리스트를 만들기보다는 외부의 신조어 데이터베이스 (urbandictionary 등) 을 같이보기에 추가하여 사용자들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다른 사용자 분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1wonjae (토론) 2016년 6월 28일 (화) 14:56 (KST)답변

@1wonjae:저도 위키낱말사전으로 대부분 옮기면 어떨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wikt:위키낱말사전:위키낱말사전에 대한 오해#위키낱말사전은 규범적 사전이 아닙니다를 보니 꼭 표준어만 실어야하는 건 아닌 것 같더군요. 자매 프로젝트 활성화 측면에서도 좋을 것 같습니다.--Gcd822 (토론) 2018년 7월 29일 (일) 15:56 (KST)답변

삭제에 대해

¿이 문서를 삭제해야 되지 않을까요? 너무 사전같이 되어있고 백:등재 에 부합하지 못하고 출처도 없네요. 또 위키백과에 초성을 사용하며 토론하는 것도 한국어 맞춤법에 맞지 않고 ……. 문서 등재 기준에 부합하지 않은거 같은데요.--Kangseijoon (토론) 2017년 1월 3일 (화) 10:05 (KST)

삭제 부정적한 내용과 초성이 있습니다. 삭제해야 될것 같습니다. 아무리 초성을 지운다 해도 그러면 문서의 절반이 없어집니다.--Jonre1 (토론) 2017년 1월 3일 (화) 10:12 (KST)
유지 유지 해야돼요. 그냥 인터넷 신조어 써논 거지 ¿왜삭제 신청이지?--Sejminorbot (토론) 2017년 1월 3일 (화) 10:25 (KST)
삭제해야 하는 내용이라 생각됩니다--Dngnogu (토론) 2017년 10월 22일 (일) 16:49 (KST)답변

유지해야 삭제--Sejminorbot (토론) 2017년 1월 3일 (화) 10:24 (KST)

Kangseijoon, Jonre1, Sejminorbot은 다중계정으로 차단된 사용자입니다. '삭제에 대해' 주제에 대해서는 이곳에 의견을 추가하는 것보다 위의 '문서의 개선 필요성'에서 토론을 이어가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Gcd822 (토론) 2018년 7월 29일 (일) 15:50 (KST)답변

유지 저는 유지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뜻도 모로고 인터넷에서 쓴다고 쓰는 사람들이 종종 있습니다. 그 뜻을 알려주고 '이런 뜻이구나 조심해야지' 라는 생각을 가질 수 있게 사전처럼 인터넷 신조어를 모은 것을 유지해야된다고 생각하는 까닭입니다. 불매운동 (토론) 2020년 2월 22일 (토) 00:12 (KST)

유지 문서는 출처를 넣는 개선을 먼저 하겠습니다. 그러니 삭제하지 마시기 바랍니다.불매운동 (토론) 2020년 2월 22일 (토) 00:22 (KST)

삭제 토론에 참여해주시기 바랍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2월 22일 (토) 00:36 (KST)

유지 그냥 인터넷 신조어 목록인데 굳이 삭제를 해야할까요? 그리고 다른 사람이 이 신조어를 쓰고 그 뜻을모를때 찾아 볼수 있지않나요? mini❣🦄 2020년 3월 2일 (월) 07:27 (KST) mini 2020년 2월 29일 (토) 10:22 (KST)

삭제 토론에 참여해주시기 바랍니다. --불매운동 (토론) 2020년 2월 29일 (토) 13:52 (KST)

삭제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S11971 (토론) 2020년 3월 2일 (월) 22:59 (KST)

@Mini'小, S11971: 백:삭제 토론/대한민국의 인터넷 신조어 목록 ← 화살표 왼쪽 링크로 들어가서 의견을 밝혀 주세요. --吳某君 (·) 2020년 3월 8일 (일) 21:30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11월)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대한민국의 인터넷 신조어 목록에서 2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11월 14일 (수) 06:24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9년 8월)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대한민국의 인터넷 신조어 목록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9년 8월 9일 (금) 15:01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0년 1월)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대한민국의 인터넷 신조어 목록에서 6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0년 1월 18일 (토) 18:52 (KST)

욕설, 비하 신조어에 대해

이 신조어 목록은 미성년자 아이들을 위하여 삭제 바랍니다. 위키백과는 나이제한이 없는 인터넷 백과입니다. 이 목록을 어린아이들이 보게 된다면, 인터넷에서 ㅅㅂ, 또는 ㅂㅅ 이런 단어들을 뜻도 모른 채 사용하여 일이 생길 확률이 있습니다. 그 무엇보다 신조어는 대한민국에서 표준어로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그렇기에 여성,남성 비하단어들 뿐만 아니라 성적 욕설, 또는 상대방의 부모를 비하하는 단어가 포함되어 이 글을 삭제하기를 바랍니다. Jesus0509 (토론) 2020년 4월 13일 (월) 17:37 (KST)

@Jesus0509: 백:아님#검열에 따라 어린아이들을 위해 욕설, 비속어를 삭제해야하는 근거가 없습니다. 또한, 위키백과에 표준어만 실어야 한다는 정책, 지침 또는 총의는 전혀 없습니다. 다만 욕설, 비하 신조어만 다루는 별도의 문단을 생성하여 분리하는 것은 고려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이 문서의 삭제 토론에서는 삭제하지 않기로 결론이 났습니다.--Dennisnam03 (토론) 2020년 11월 11일 (수) 20:36 (KST)답변

기타 토론

안녕하세요? 편집자 이일일이이칠사이일구삼입니다. 이 글에 다소 공격적인 단어들이 있습니다만, 우리나라가 헤이트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남겨놓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다소 선을 넘는 기분 나쁜 단어들은 삭제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위키백과를 보고, 들어오는 것은 최소 글을 보고 기분나쁘려고 하진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실린 일부 성ㆍ정치적인 단어들은 다소 그런 단어들이 실려있고, 정치적인 단어는 따로 분류했지만, 그렇지 않은 단어들은 서술했을 때 불필요한 논쟁만 야기합니다.

쓰지 않는 단어(예: 냉무)가 일부 있습니다. 해당 단어들은 없애는 게 옳다고 생각합니다. 일부 사람들만 쓰는 단어나 은어를 올리는 건 취지에 맞지 않습니다.

중복되는 뜻을 가진 다른 표현의 단어들은 한데 묶어 서술하는 게 옳다고 생각합니다. 인쇄된 백과사전은 뒤에 단어들을 쓰고 ㄱㄴㄷ순으로 그 동음이의어를 다시 서술하지만 문서를 간소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중복되는 글을 굳이 쓰는 것은 문서 서술이 길어지게 합니다.

서술상의 문제가 있습니다. (예: -딩) 다소 중딩, 고딩 당사자들이 쓴 것처럼 좀 강렬한 표현들이 중복되어 사용되였고 해당 단어를 20대 초ㆍ중반이 많이 쓴다는 다소 근거없는 내용이 써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윗세대가 제일 많이 씁니다. 고쳤습니다. 지나친 감정을 배제하고 적당한 감정으로 쓰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분류에도 문제가 있습니다. '초성을 굳이 나눠야 하는가?' '게임을 굳이 나눠야 하는가?' '정치를 굳이 나눠야 하는가?' '그 중에서도 노무현 전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통령을 굳이 나눠야 하는가?'입니다. 첫째, 큰 차이가 없이 쓰이고 있기 때문에 합치는 것이 어떨가 싶은데요. 사실 보기 편하기 위함도 있기 때문에 굳이 나눌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둘째는, 굳이 나눈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대부분의 단어들이 게임과 스포츠에 밀접하게 관련있습니다. (예: 광탈, 존버, 가즈아) 하지만 스포츠 분류는 따로 없습니다. 나눴지만 이중으로 글을 써야되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존버는 배틀그라운드에서 자주 쓰이지만 게임 외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나눴지만 중복되어 글을 써야되는 겁니다. 이런 글에는 기준이 있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셋째는, 굳이 나눈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정치가 별개입니까? 오히려 더 강렬하게 글을 쓴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넷째 또한 굳이 나눈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이유가 묻고 싶군요.--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이일일이이칠사이일구삼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삭제 토론에 참여해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4월 22일 (수) 18:29 (KST)

정치 관련 신조어 문단

정치인 관련 신조어 문단에 있는 신조어는 대부분 특정 정치인을 공격하기 위하는 목적에서 생겨난 것입니다. 이를 그대로 두면, 기본적으로 백:비중 위반이 될 것이고 지금 살아있는 정치인의 경우 백:생존까지 위반하는 것이 됩니다. 따라서, 정치인을 공격하는 신조어를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데니스3 (토론) 2022년 8월 16일 (화) 18:22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