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토론:천방지축마골피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4년 전 (InternetArchiveBot님) - 주제: 외부 링크 수정됨 (2020년 3월)

위키백과의 지(池)씨를 근거하여 오타 수정함. 중국 동래성본과 신라 토착 성본 2가지로 되어 있고 광해군조에 창성한 성씨는 땅지(地)씨가 아니라 연못지(池)씨임


지 (성씨)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이동: 둘러보기, 찾기 지씨는 대한민국의 성씨다.

[편집] 못 지 池지(池)씨는 신라, 고려의 토착 성본과 중국에서 동래한 성본이 있다.

무주 지씨 시조는 견훤의 부장 지훤(池萱), 선조는 신라 초기 호족 지충강(池忠江)이다. 울진 지씨 시조는 조선 광해군조에 지(池)씨로 창성하였고, 시조는 지서룡(池瑞龍)이다. 경주 지씨 시조는 고려 초기 문성공 지원부(池元夫)이다. 충주 지씨 시조는 송나라 홍농(弘農) 사람 지경(池鏡)이다. 홍농 지씨 시조는 명나라 홍농(弘農) 사람 지시영(池?)이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59.9.141.220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벽성(僻姓)?[편집]

본문기술 중에 고려사에 나오는 경주 김씨 김의(金義)라는 사람이 원래 야열가(也列哥)라는 이름이었고 也가 벽성이다라고 되어 있는데, 김의는 본디 호인(胡人)이다라는 기술이 있는 걸로 봐서는 고려로 귀화한 여진인 같고, 그렇다면 也列哥는 여진식 이름을 한자로 발음에 가깝게 옮겨적은게 되겠지요. 여기서 也라는 앞 음절 하나를 따서 也를 "성"이라고 할 수 있는건지는 의문이 남는군요. (고르바쵸프나 오바마를 한자로 적는다면 맨 첫음절은 고나 오가 되겠지만, 그렇다고 그 사람들이 고씨나 오씨는 아니니까요) 중국이나 고려에서 자기들에게 익숙한 방식으로 앞 음절을 따서 성처럼 인식했을 순 있겠지만요.Noropdoropi (토론) 2011년 10월 12일 (수) 23:03 (KST)답변

덧붙여 벽성(僻姓)이란 단어는 그냥 흔히 볼 수 없는, 드문 성씨라는 뜻의 단어로서, 오랑캐 성씨라는 뜻이 아닙니다. 벽자(僻字)가 잘 안 쓰이는 희귀한 글자를 가리키는 것과 비슷합니다. 이렇듯이 단어 뜻부터 해당내용의 신빙성이 매우 의심스러우므로 출처틀을 달겠습니다.Noropdoropi (토론) 2012년 5월 16일 (수) 17:06 (KST)답변

方씨[편집]

꽤 있는 성입니다. 그리고 이 성씨도 중국 귀화성이죠 --NEARMISS 2011년 11월 16일 (수) 12:41 (KST)답변

성씨 보유자 양반설의 허구성[편집]

성씨를 양반을 비롯 양인만 가질 수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김이박최정 대성에서도 천민이 있습니다. 그 예로 고종 치하에 독립 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서울에서 열린 만민공동회에 연사로 나섰던 '박'성춘도 백정이었습니다. 조선 시대 지위의 문제는 성씨의 문제가 아니라 합당한 신분의 어머니의 소생이냐가 중요합니다. 서얼의 경우나 천민 하녀를 주인(이 표현 합당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만)이 건드려서 낳은 자식의 경우 성은 주어서 호패에 넣었던 걸로 알고 있고, 정쟁에 휘말려 천민이 된 양반의 경우에도 성씨를 빼앗진 않았습니다. 결론은 양반씨로 자처하는 사람들도 가계를 정확히 따져 정실 소생의 자식이냐 역적 누명을 썼던 적은 없는가를 봐야 아는 것입니다. 실제로 조선시대 과거 합격자를 선별할 때 따졌던 족보는 이런 의미에서 나왔습니다. 이런 엄격한 기준으로 양반 출신을 따진다면 현대 한국인중에서도 양반이라 할 사람들은 소수일 것입니다. 물론 결코 이것이 옳다거나 그 근원을 밝혀 진짜 양반인가를 가리자는 말이 아니라 성씨를 가지고 양반이냐 아니냐를 논하는 것은 의미가 없으며 현대 한국에서 사회 분열을 조장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어차피 의미가 없다는 얘깁니다. 여기에 반대 논지가 없으실 경우 본문을 좀 건드려 보겠습니다. --Sonchoripark (토론) 2013년 7월 7일 (일) 11:57 (KST)답변

출처틀[편집]

출처가 필요할 듯하다고 생각했고 어느분이 출처틀을 임의로 제거하셔서 다시 추가했습니다. 갑오개혁 이전까지만 해도 한반도에는 성씨가 없는 인구가 상당히 많았다는 내용이 좀 어색하여 수정했습니다. 저가 내용을 추가시켜 보았고 전체적으로 내용이 좀 산만한 듯 합니다. 차라리 문서 내용을 대폭 정리하여 간소화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Mtaey (토론) 2014년 3월 21일 (금) 03:43 (KST)답변

천방지축마골피[편집]

그냥 상징적인 말로 특정 성씨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라고 사료됨. 오래전 이 문제가 인터넷상에서 논쟁이 되어 문제가 되었던 기억이 남. ymkang 2017년 4월 7일 (금) 02:45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20년 3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천방지축마골피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0년 3월 3일 (화) 05:48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