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동방 프로젝트의 등장인물 목록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0년 전 (랩소디인뮤직님) - 주제: 주요 캐릭터만 남기고 정리 필요
 이 문서는 다음 위키프로젝트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표기법에 대해[편집]

최초문서에서는 이름에 대한 표기가 병기되어 있었습니다만 현재는 어떤 항목에서는 외래어 표기법에 의한 표기가 남아 있고 어떤 곳에서는 삭제된 형편입니다. 일관성 있게 병기되는 편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단순한 이름 나열에 그치지 말고 간단한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심유경 (토론) 2008년 5월 15일 (목) 12:10 (KST)답변

캐릭터에 대한 설명이 보강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대로라면 단순한 목록에 지나지 않습니다. ja:東方Projectの登場キャラクター, ja:東方Projectの登場キャラクター (PC-98), en:List of Touhou Project characters 등을 참고해서 추가하면 좋겠네요. 저는 동방에 대해선 잘 모르는지라.. -- 피첼 2008년 5월 15일 (목) 12:41 (KST)답변
그러고보면 그 문서들을 이 문서에 연결시키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될지 잘 모르겠군요; 캐릭터 마다의 설명은 저 내용을 참고하여 추가해가려 합니다. --심유경 (토론) 2008년 5월 15일 (목) 12:49 (KST)답변


내용 추가에 대해[편집]

꽤 늦었습니다만 조금씩 추가해나가려 합니다. 인물당 하위 내용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만들려합니다.

(이하 항목 예)

하쿠레이 레이무[편집]

  • 한자 : 博麗 靈夢
  • 가나 : はくれい れいむ
  • 이명 :
    • 샤먼 (Shaman) - 출전: 영이전・봉마록・몽시공・환상향・괴기담
    • 꿈과 전통을 지키고 보전하는 무녀 (夢と伝統を保守する巫女) - 출전: 몽시공, 환상향
    • 무녀씨 (巫女さん) - 출전: 몽시공, 괴기담
  • 출연작 :
    • 구작 (PC-9801판) 모든 작품의 플레이어 캐릭터.
    • 동방환샹향 4 스테이지 보스.
  • 테마곡 :
    • 동방요연담(東方妖恋談) - 출전: 몽시공 레이무 테마곡
    • Witching Dream - 출전: 동방환상향 1 스테이지 필드곡
    • 소녀기상곡 ~ Capriccio (少女綺想曲 ~ Capriccio) - 출전: 동방환상향 레이무 테마곡
    • 이색연화접 ~ Ancients (二色蓮花蝶 ~ Ancients) - 출전: 서방추상옥 레이무 테마곡
  • 그외사항 :
    • 현재는 霊夢 이지만 구작에서는 靈夢 였다. 둘다 같은 '신령 령'자이나 정자와 약자의 차이가 있다. (靈과 霊) 더불어 주인공의 이름이 영험한 꿈(靈夢)인 이유에 대해 제작자인 ZUN은 '감이 좋은 아이' 라는 의미로 만들어진 캐릭터이기 때문이다 라고 설명했다.
    • 동방프로젝트는 아니지만 서방 프로젝트의 추상옥에서 게스트 캐릭터로 출연.

↑ 이런 식으로 한명한명 마다의 내용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혹시 더 추가할 필요가 있는 항목, 또는 내용이 있으시면 의견 주셨으면 합니다.--심유경 (토론) 2008년 6월 7일 (토) 11:48 (KST)답변

한참 동안 레밀리아 스칼렛부터 내용 추가가 없어 제가 가진 '캐릭터 설정' 정보로 채워 나가려 하나 제가 각주 편집 방법을 숙지하지 못한 탓에 그냥 본문만 추가하겠습니다.--비로그인 사용자: (토론) 2011년 5월 19일 (목) 00:41

이런...가뜩이나 캐릭터 설정을 지령전 체험판까지 밖에 안 갖고 있는데 신령묘 정식이 13일 발매 됐어요...누구 좀 도와 주세요...

더욱 명확한 형식 규정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편집]

현재 저도 쓰려고 하고 있고 여러 분들이 도와 주시고 계셔서 항목들의 내용 추가 상황은 매우 느리지만 꽤나 진척이 됐는데요, 글로 된 설명의 형식은 필요 없다고 생각하지만, 상자 안은 형식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실제로 전부터의 상자 안의 내용을 보면, 해당 면의 중보스와 보스가 같으면 중보스로서의 출연은 생략하는 등의 규정 없는 표기는 많은데요, 이런 것도 명문화 시키는 게 좋지 않을까요?Chanookim (토론) 2011년 8월 24일 (수) 16:50 (KST)답변

제가 작성하는 내용은 모두 일본어 위키에서 그대로 번역해온 것 뿐이라서 눈치채지 못하고 있었습니다만, 과연 그렇네요. 이 문서의 내용만으로 보스를 채워나간다고 할 때 공백이 생기는 혼란을 방지한다는 느낌으로, 모두 명시하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1면 보스”라고 써있었다면 “1면 중보스 및 보스” 라는 식으로 쓰는 것이 좋을까요? --Minacle (토론) 2011년 8월 24일 (수) 23:55 (KST)답변
중보스가 없는 케이스만 없었더라도 그냥 생략한다는 사실을 위에 써 놓고 중보스는 생략하는 게 더 나았겠지만, 특히 6면에 간혹 중보스가 없는 상황이 있으니까, 확인해보고 반복해서 쓰는 편이 나을 것 같네요. 극단적인 케이스로 《홍마향》의 이자요이 사쿠야를 예로 들자면 “《홍》5면 중보스·5면 보스·6면 중보스”이런 식으로…아니면 중보스 겸 보스는 말씀하신 것처럼 ‘및’으로 쓰는 게 나을까요?Chanookim (토론) 2011년 8월 25일 (목) 17:37 (KST)답변
뭐… 나중에 수정할 수도 있으니까, 지금은 가장 명확한 표기인 “《홍》5면 중보스·5면 보스·6면 중보스” 처럼 쓰는 방법으로 해두는 게 좋을 것 같네요. --Minacle (토론) 2011년 8월 26일 (금) 10:08 (KST)답변

네…그래서 지금까지 만들어진 상자들의 동일면 중보스 추가 작업은 끝났고요…다른 형식 규정에 대한 얘긴데요…아마 테마곡은 ZUN에 의한 작곡·편곡만 써있는 것 같은데요(예컨데 《췌몽상》이나 《비상천》의 경우 거의 쓰여 있지 않습니다.), 이런 규칙은 독립된 문서인 하쿠레이 레이무키리사메 마리사를 봐도 바꿀 필요는 없을 것 같거든요. 그래도 이런 원칙을 앞의 표기 규정에 정확히 추가 시키는 게 어떨까요?Chanookim (토론) 2011년 8월 26일 (금) 22:31 (KST)답변

테마곡의 경우엔 가장 처음 그 곡이 사용된 작품만 표기하도록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중복 기입하는 경우에는 어레인지된 곡을 같은 곡으로 취급해야 할지에 대해 모호해지는 문제가 생기니까, 곡명이 같은 것(혹은 같은 곡)에 대해서는 처음 사용된 작품만 표기하고, 나머지는 주석으로 처리하기로 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 --Minacle (토론) 2011년 8월 27일 (토) 19:18 (KST)답변
그렇게 하면 지금까지의 상자의 내용을 대충 유지하면 될 것 같습니다. 이자요이 사쿠야의 경우를 봐도

“달시계 〜 루나 다이얼: 《홍》 플라워링 나이트: 《화》” 란 식으로만 써있으니까요…그리고 《화영총》의 경우는 주석으로 처리하면 될 것 같고요. 《비상천》에서의 편곡은 ZUN에 의한 것이든 아니든 표기하지 않아도 되겠고요. 딱히 다른 테마곡이 없다면 작품 표시를 하지 않는 것도 유지하면 될듯 합니다. 다만 제가 ‘ZUN에 의한 편곡’에 집착하는 이유는 《췌몽상》과 《비상천칙》의 경우 때문인데요, 《췌몽상》에서 하쿠레이 레이무나 키리사메 마리사를 제외한 나머지 캐릭터 대부분은 밤 스테이지와 낮 스테이지 테마곡 둘 중 하나가 ‘자신이 보스인 면의 필드곡’의 어레인지고, 《비상천칙》에서 모리야 스와코와 앨리스 마가트로이드, 홍 메이링의 테마곡들도 비슷한 케이스거든요.(모리야 스와코와 홍 메이링은 해당 면의 필드곡, 앨리스 마가트로이드는 구작 앨리스의 어레인지) 지금까지 만들어진 상자, 하쿠레이 레이무 문서, 키리사메 마리사 문서에서 이런 곡들을 상자에는 표시하지 않고 따로 언급하는 경향은 뚜렷합니다. 예컨데, 하쿠레이 레이무의 경우


동방요연담(東方妖恋談)

《몽시공》에서 사용된 테마곡. 《췌몽상》,《비상천》에서도 어레인지판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는 ZUN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소녀기상곡(少女綺想曲) ~ Capriccio

《환상향》의 4면보스 테마곡. 동방기연담과 같으나, 《췌몽상》에서 어레인지된 곡은 ZUN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비상천칙》에서도 어레인지판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는 ZUN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이색연화접(二色蓮花蝶) ~ Ancients

이 곡은 서방 프로젝트에서 사용된 곡이다. 《봉래인형(蓬莱人形) ~ Dolls in Pseudo Paradise》에 이 곡을 어레인지한 《이색연화첩 ~ Red and White》가 수록되어 있다.

소녀기상곡 ~ Dream Battle

《영야초》의 〈Stage4 uncanny〉의 보스 테마곡. 〈소녀기상곡 ~ Capriccio〉의 어레인지 버전이다.

춘색소경(春色小径) ~ Colorful Paith

《화영총》에서 사용된 테마곡


란 식으로 되어 있고, ‘ZUN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라고 표시된 곡들은 모두 상자에 표시하지 않았거든요. 키리사메 마리사도


연색(恋色) 매직

《봉마록》4면 보스 주제곡. 《췌몽상》《비상천칙》에서는 편곡된 곡을 쓰지만 ZUN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Dim. Dream

《몽시공》에서 사용된 주제곡. 《몽시공》의 정식 타이틀은 《동방몽시공 ~ Phantasmagoria of Dim.Dream.》이다.

별의 그릇(星の器) 〜 Casket of Star

《환상향幻想郷》의 4면 보스 주제곡. 《비상천》에서는 편곡된 곡을 쓰지만 ZUN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마녀들의 무도회(魔女達の舞踏会) 〜 Magus

이 곡은 서방 프로젝트에 사용된 것이다. 〈연색 매직〉과 같으며, 《췌몽상》에서는 편곡된 곡을 쓰지만 ZUN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또한, 원곡과는 분위기가 상당히 다르다.

연색 마스터 스파크(恋色マスタースパーク)

《영야초》에서 〈Stage4 powerful〉의 보스 주제곡. 〈연색 매직〉의 편곡 버전이며, ZUN에 의해 작곡되었다.

오리엔탈 다크 플라이트(オリエンタルダークフライト)

《화영총》에서 사용된 주제곡.

마법사의 우울(魔法使いの憂鬱)

《The Grimoire of Marisa》의 부록 CD에 수록된 곡. ZUN에 의해 작곡되었다.

메이거스 나이트(メイガスナイト)

《요정대전쟁》의 엑스트라 보스 주제곡 〈마녀들의 무도회 ~ Magus〉의 편곡 버전이며, ZUN에 의해 작곡되었다


라고 되어 있고요. (보통 ‘연색’이라고 안하고 ‘사랑색’이라고 하긴 합니다만 그건 제쳐 놓고요.) 그래서, 여기의 목록의 경우에는 캐릭터마다 이런 식으로 붙여 줄 순 없으니까, 상자 안의 테마곡 목록은 말씀하신대로 해서 가만히 두고, 〈이 항목에서의 표기〉부분에 이러한 표시 원칙을 명시해 놓았으면 좋을 것 같다는 이야기입니다. 예컨데, “《췌몽상》, 《비상천》, 《비상천칙》의 어레인지들은 ZUN에 의해 만들어진 것들이 아니며, 캐릭터의 테마곡 목록에 표시하지 않는다”정도로 써놓았으면 좋겠는데요, 어떠신가요?Chanookim (토론) 2011년 8월 27일 (토) 21:13 (KST)답변

그런 식으로 써두는 편이 좋겠네요. 명시는 중요하니까요. --Minacle (토론) 2011년 8월 27일 (토) 21:24 (KST)답변
그런데 이렇게 해둘 때는, 췌・비・칙에서 처음 등장한 캐릭터는 테마곡이 없게 되는 건가요? --Minacle (토론) 2011년 8월 27일 (토) 21:27 (KST)답변
그런 경우는…ZUN님의 작곡인지는 확인 해봐야 하겠지만…아마 그건 ZUN에 의한 작곡일 것이고…아니더라도 써야 하겠죠? 어쨌든 그 경우는 ‘ZUN에 의한 작곡 여부’가 중요할 듯 보입니다. 어쨌든 쓰긴 써야겠고요.Chanookim (토론) 2011년 8월 27일 (토) 23:06 (KST)답변

주요 캐릭터만 남기고 정리 필요[편집]

틀을 모두 제거하고, 영어판처럼 주요 캐릭터만 남겨야 합니다. 가독성도 떨어지고, 정확하지 않는 정보가 확인 가능한 출처 없이 난립하고 있습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 2013년 7월 28일 (일) 22:38 (KST)답변

일본어판을 참고하면 되겠군요. 캐릭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등장한 게임 항목에 서술하면 될 것 같습니다. --RhapsoDJ (토론) 2014년 2월 24일 (월) 00:36 (KST)답변